ADVERTISEMENT

코로나로 집에서 받고 먹고…배달원 40만명 시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배달원 수가 지난해 하반기 40만 명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늘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배달 수요가 급증하면서 관련 종사자 수도 크게 증가했다.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계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기준 전국 배달원 수는 39만 명이다. 2013년 관련 수치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래 최대 인원이다. 지난 1년 사이 4만1000명(11.8%) 늘었다. 증가 폭도 역대 가장 컸다.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배달 노동자가 배달업 무를 하고 있다. 뉴스1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배달 노동자가 배달업 무를 하고 있다. 뉴스1

여기서 배달원은 배민 라이더로 대표되는 음식ㆍ음료 배달원과 택배원, 우편집배원, 신문 배달원 등 배달에 직접 종사하는 사람에 해당한다. 택배 상·하차 업무같이 운반ㆍ하역ㆍ적재 업무 종사자는 포함하지 않는다.

2015~2019년 사이만 해도 배달원 수는 35만 명 수준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2018년 한때 31만3000명(하반기 기준)까지 줄었다가 2019년 34만9000명 수준을 회복한 정도가 다였다.

그러다 지난해 초 코로나19 사태가 닥치며 배달원 수가 빠르게 늘기 시작했다. 지난해 상반기에만 2만2000명, 하반기 1만9000명 배달원 수가 각각 늘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외출ㆍ외식이 제한되면서 음식ㆍ상품 배달 수요도 덩달아 증가했기 때문이다. 통계청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음식을 온라인으로 주문해 받는 서비스(음식 서비스) 금액은 17조3336억원으로 1년 전과 9조7354억원과 비교해 78% 급증했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가 2019년 대비 21만8000명 감소할 만큼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이 나빴던 것도 한 이유다. 신규 채용 수요가 많고 소득도 나은 배달업계에 새로 뛰어드는 사람이 그만큼 많았다.

배달원 수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고용 안전망은 여전히 부족하다. 직접 고용이 아닌 배달대행업체와 배달원 간 1대 1 사업자 계약 형태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지난 7월 공정거래위원회와 국토교통부, 지방자치단체 등이 합동 점검에 나선 결과 배달대행업체가 ▶계약서에 정확한 배달료를 기재하지 않고 ▶수수료를 맘대로 바꾸며 ▶배달원에게 불리하게 배상 책임을 물리고 ▶겸업을 막는 등 불합리한 ‘갑질’ 사례가 많았다.

배달 과정에서의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ㆍ과로 등 산업재해 위험에 대한 보험ㆍ배상 체계도 빈약하다. 양경숙 의원은 “코로나19를 계기로 배달원 등 직업군이 늘고 있는 만큼 직업 안전성, 사회 안전망 제공에 대한 고민을 미리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