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홈술'이 주류 판도 바꿨다, 맥주 제치고 와인이 수입 1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술 문화까지 바꾸고 있다. 특히 지난해 와인 수입액이 급증하면서 전통적 수입 주류 1위였던 맥주를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와인 수입 역대 최고…수입 주류 1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영향에 홈술족이 늘면서 지난해 와인 수입액이 급증해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중앙포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영향에 홈술족이 늘면서 지난해 와인 수입액이 급증해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중앙포토

30일 관세청은 지난해 와인 수입액이 2019년보다 27.3% 증가한 3억3000만 달러(약 3843억원)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입량으로 보면 5400만L로 와인병(750mL) 기준 약 7300만 병이 지난해 국내로 들어왔다. 이 기록은 올해 깨질 가능성이 크다. 올해 7월까지 와인 수입액은 3억2500만 달러(약 3784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02.4% 급증하면서 이미 지난해 연간 수입액에 근접했다.

와인 수입이 맥주를 제친 것은 코로나19 확산 영향이 크다. 관세청은 “코로나19 시대에 회식보다는 '홈술(집에서 술을 먹는다는 신조어)', '혼술(혼자서 술을 먹는다는 신조어)' 문화가 자리 잡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주류가 인기를 끌며 와인 수요를 증가시켰다”고 했다.

지난해 종류별 수입 와인 비중(수입금액 기준)을 보면 레드와인(65.6%)·화이트와인(17.8%)·스파클링와인(14.1%) 순이었다. 수입국을 보면 프랑스(28.3%)·미국(17%), 이탈리아(14.8%)·칠레(17.7%)·스페인(7.8%) 순으로 많았다.

지난해 주류수입액 및 와인 수입액 추이. 관세청

지난해 주류수입액 및 와인 수입액 추이. 관세청

수입 와인 인기에 지난해 전체 주류 수입액(11억 달러)도 전년 대비 8.2% 늘었다. 역대 최대 주류 수입액이다. 주종별로 보면 와인(3억3000만 달러), 맥주(2억3000만 달러), 양주(위스키·브랜디, 1억4000만 달러), 기타(2억5000만 달러) 순으로 많았다. 올해 7월까지 주류 수입액(8억 달러)도 전년 동기 대비 26.2% 증가하면서 고공행진 중이다.

일본 불매·수제 인기에 맥주 수입 감소

주류 수입액 추이 및 주종별 비중. 관세청

주류 수입액 추이 및 주종별 비중. 관세청

전통적으로 수입 주류 1위를 차지했던 맥주는 지난해 수입액(2억2700만 달러)이 전년보다 19.2% 줄면서 2위로 밀렸다. 맥주 수입이 준 것은 일본산 맥주 인기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 2018년 수입 맥주 중 일본산이 차지했던 비중은 25.3%로 전체 1위였다. 하지만 일본 수출규제 영향에 불매운동이 시작했던 2019년(14.2%)과 지난해(2.5%)는 비중이 급감했다. 지난해 맥주 수입국 1위는 네덜란드(19.8%), 2위는 중국(16.9%)이다.

여기에 국산 수제 맥주가 인기를 끌면서 맥주 수입액은 더 감소했다. 실제 맥주 수입액은 2018년 역대 최대를 기록한 뒤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특히 일본 맥주 수입액은 2018년 1위였으나 올해 7월까지 기준 10위로 떨어졌다.

맥주 수입은 줄었지만, 무알코올 맥주 수입은 지난해 전년 대비 113.5% 늘었다. 무알코올 맥주는 올해 들어서 7월까지 수입액이 전년 동기 대비 179.6% 늘며 급성장 중이다.

양주 수입액은 유흥업소 등이 방역 조치로 영업을 못 하면서 지난해 13.6% 줄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7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48.1%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길어지면서 집에서 즐기는 술 종류도 다양화되고 있다고 관세청은 분석했다.

한편 지난해 우리나라 주류 수출은 3억7400만 달러로 전년보다 10.3% 감소했다. 다만 올해(1~7월 기준)는 전년 동기보다 수출액이 9.8% 늘었다. 최근 소주·혼성주(양조주나 증류주에 과실, 약초 등을 첨가해 가공한 술) 수출이 증가세다. 소주·혼성주 지난해 수출액(1억4000만 달러) 전년 대비 14% 늘면서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 올해(1∼7월) 수출액(1억 달러)도 전년 동기보다 56.6% 급증했다. 소주·혼성주는 아시아, 북미, 중남미, 아프리카 등 전체 대륙에서 수출이 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