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뱅크시는 '짝퉁(FAKE)' 전시라 하고, 관람객은 줄 서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성수동에서 열리고 있는 '아트 오브 뱅크시'. [사진 이은주]

서울 성수동에서 열리고 있는 '아트 오브 뱅크시'. [사진 이은주]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아트 오브 뱅크시' 전시장. [사진 이은주]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아트 오브 뱅크시' 전시장. [사진 이은주]

'아트 오브 뱅크시' 전시장. [사진 기획사 제공]

'아트 오브 뱅크시' 전시장. [사진 기획사 제공]

지난 22일 서울 성수동 갤러리아 포레 상가 지하의 전시장. 약 30여 명이 출입구 앞에 길게 줄 섰다. 전시장 직원들은 메가폰을 들고 "지금부터 입장하려면 약 30분 정도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람객들이 입장을 기다리는 것은 세계적인 화가 뱅크시의 이름이 붙은 전시다. 관람료 2만 원의 이 전시는 기획사에 따르면 25일 현재까지 사전 예약 인원만 3만명에 달한다.

20일 개막 '아트 오브 뱅크시'전 #뱅크시 "내 이름 건 전시 중 #나와 합의한 것 하나도 없어" #150점 중 120여점 '레플리카' #복제품 전시에 '오마주 전시' #전시 완성도 자체도 논란

20일 서울에서 개막한 대규모 전시 '아트 오브 뱅크시:위다웃 리밋(Art of Banksy:Without Limits)을 두고 '짝퉁 전시' 논란이 일고 있다. 주최사는 '아시아 최초' '오리지널(원본) 포함 150여 점'을 내세웠으나 그 중 오리지널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27점. 나머지 120여점은 레플리카(복제본)다.

게다가 뱅크시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내 이름을 내건 전시회 중 나와 합의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내 이름을 내건 모든 전시는 가짜(FAKE)"라고 밝힌 바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서울 전시도 작가 뱅크시와 관계없는 '가짜' 전시란 얘기다.

뱅크시 "그 전시 쓰레기일 수도"  

[사진 뱅크시 인스타그램] [사진 Pest Control 홈페이지]

[사진 뱅크시 인스타그램] [사진 Pest Control 홈페이지]

[사진 뱅크시 인스타그램] [사진 Pest Control 홈페이지]

[사진 뱅크시 인스타그램] [사진 Pest Control 홈페이지]

뱅크시는 '얼굴 없는 예술가'로 유명한 영국 출신의 작가다. 1990년대부터 게릴라처럼 남몰래 거리에 등장해 벽에 낙서하듯 그림을 남긴 그는 전쟁과 불평등, 현대인의 속물근성 등을 재치있고 날카롭게 풍자한 벽화로 주목받아왔다. 그의 작품은 경매에서 100억~200억원 대에 거래될 정도로 인기이지만, 그는 현재까지도 자신의 신원을 철저히 숨기고 있다.

서울 전시에 대해 주최사는 "뱅크시의 작품 세계를 공유하는 관객 참여형 전시"며 "아시아 최대"라고 말한다. 주최사에 따르면, 전시에 선보이는 것은 '풍선과 소녀', '폴리스 키즈', '펄프 픽션', '꽃던지기' 등 뱅크시의 대표작 벽화들을 "재현"하거나 "사진, 조각, 다양한 재료로 구현한 판화"들이다. 주최사 LMPE 박봉수 본부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P.O.W(과거 뱅크시 작품 공식 인증기관)가 인증한 27점 외 나머지는 모두 레플리카"라고 밝혔다. 다만 "월드투어 기획사에서 보내준 레플리카라는 것"이다.

현재 해외에서는 '아트 오브 뱅크시'란 타이틀로 두 종류의 전시가 세계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프라이빗 컬렉션'이라는 부제의 전시는 컬렉터들로부터 대여한 80여 점의 원본(400억원 가치)을 포함한 것이고, '위다웃 리밋'은 "원본보다는 작가의 메시지에 집중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1118만 명에 달하는 뱅크시는 지난 16일 한 팔로워와 주고받는 메시지를 공개했다. "당신의 전시가 모스크바에서 열리고 있다"는 팔로워의 말에 뱅크시는 "그것(전시)은 나와 아무 상관 없다"고 답했다.

현재 뱅크시의 공식 작품 보증기관이자 작품 판매를 주관하는 페스트 컨트롤 역시 문답 형식의 공지문을 통해 뱅크시 관련 모든 전시가 '가짜(FAKE)'라고 밝혔다. 이 홈페이지는 "뱅크시는 현재 열리고 있는 그 어떤 전시와도 아무 관계가 없다. 그 전시는 쓰레기일 수 있으니, 제발 여기 와서 환불 요청을 하지 말아달라"고 공지했다.

"분명한 저작권 침해"

'아트 오브 뱅크시' 서울 전시장. [사진 이은주]

'아트 오브 뱅크시' 서울 전시장. [사진 이은주]

뱅크시처럼 작가가 '익명'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해서 저작권은 무시해도 되는 것일까. 예술품 관련 법제를 연구해온 캐슬린 김 미국 변호사는 "뱅크시의 허락을 받지 않은 전시는 엄연히 저작권 침해"이라고 말했다. 그는 "뱅크시는 예술은 동시대의 메시지를 담아야 하고 공유돼야 한다는 입장이라 저작권 침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뿐"이라며 "그렇다고 해서 뱅크시가 누구나 레플리카나 리프로덕션을 만들어 상업적으로 이용하도록 공개적으로 동의한 것으로 볼 순 없다"고 말했다. 작가가 법적 대응을 하지 않는 것을 악용한 상술이라는 지적이다.

또 다른 미술 관계자는 "뱅크시가 법적 대응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이렇게 복제본을 전시하는 게 정말 괜찮은 것인지 돌아봐야 한다"며 "이것은 상식과 윤리의 문제다. 뱅크시 그림으로 전혀 엉뚱한 사람들이 돈을 버는 '봉이 김선달'의 21세기 버전 아니냐"고 반문했다.

오마주 아닌 복제품 

'아트 오브 뱅크시'전시 포스터. 영어로 '승인받지 않았다'는 뜻의 영어 ''unauthorized'라고 쓰여있다..

'아트 오브 뱅크시'전시 포스터. 영어로 '승인받지 않았다'는 뜻의 영어 ''unauthorized'라고 쓰여있다..

전시가 끝나는 공간에선 굿즈를 팔고 있다. [사진 이은주]

전시가 끝나는 공간에선 굿즈를 팔고 있다. [사진 이은주]

주최사가 주장하는 "오마주 전시"란 표현도 옳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작가이자 저작권자가 현재 진행 중인 모든 전시는 ‘가짜’라고 선언한 마당에, 작가의 예술 철학이나 가치관에 반하는 전시가 어떻게 ‘오마주’가 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정준모 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실장은 "오마주란 작가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그 감독이나 작가가 만든 영화의 대사나 장면을 인용하는 것을 가리킨다"며 "레플리카로 채운 것은 오마주 전시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뱅크시가 아무리 익명으로 활동하지만 작품 중 원본은 거의 없고, 리프로덕션이면 작품마다 그 출처나 적어도 에디션 등을 세세하게 밝히는 것이 상식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뱅크시라는 정체성의 모순

이런 논란의 배경에는 '현대 미술계 이단아'로 불려온 뱅크시의 독특한 정체성도 있다. 뱅크시가 남의 건물 벽에 그림을 그리는 행위 자체부터 '불법'이다. 또 뱅크시는 작품을 통해 현대 상업미술 시스템을 조롱해왔다.

이를테면 2006년 연작 '모론(Morons)'은 미술품 경매를 풍자하고 조롱한다. 이 작품에는 사람들이 붐비는 경매장이 그려져 있는데 입찰 중인 그림에는 “너희 멍청이들이 진짜 이 쓰레기를 사다니 믿을 수 없군(I can’t believe you morons actually buy this shit)”이라고 적혀있다.

2018년 10월 소더비 경매에선 그의 작품 '풍선과 소녀'가 불꽃 튀는 경합 끝에 104만 파운드(약 15억원)에 낙찰되는 순간, 캔버스 뒤에 설치된 파쇄기에 의해 작품이 잘게 잘려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 이튿날 뱅크시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몇 년 전 나는 이 작품이 경매에 나갈 경우를 대비해 은밀하게 파쇄기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일부 전문가들은 뱅크시가 기존 미술 제도를 풍자해온 점을 고려할 때 쟁점은 작가의 동의 여부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오히려 이 전시가 과연 뱅크시가 추구해온 거리 예술운동 정신에 부합하느냐를 따져봐야 한다는 것.

박봉수 LMPE 본부장은 "뱅크시의 작품세계에서 벽 자체를 뜯어오지 않는 이상 '원본'을 따지는 것도 큰 의미는 없다고 본다"며 "이 전시는 뱅크시의 작품 철학을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전 세계 흩어져 한자리에서 볼 수 없는 것을 집중적으로 보여주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뱅크시로부터 인증을 받고 싶은데 그럴 방법이 없어서 인증받지 못했을 뿐 우리는 해외 '아트 오브 뱅크시' 월드투어 기획사와 긴밀한 계약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했다.

"관람객이 스마트해져야"  

양정무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는 "복제 작품도 얼마든 전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복제일 경우 그것이 복제임을 명시하는 것이 전시의 기본 중의 기본이고, 관객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강조했다. '최악의 전시'라는 부정적인 견해가 나오는 등 이 전시의 완성도 논란에 대해서는 "전시장을 찾는 관객도 이제 스마트해질 필요가 있다. 내용과 형식을 충실히 갖춘 전시에는 박수를 보내줘야 하지만 그것이 충분치 못한 전시에는 냉정한 평가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의 다른 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