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단 같이 쓰자” 대구·구미 취수원 12년 갈등 실마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20면

지난달 14일 경북 구미코에서 열린 통합물관리방안 설명회장에 취수원 이전을 찬성하는 주민들과 반대하는 주민들이 집회를 열고 있다. [뉴스1]

지난달 14일 경북 구미코에서 열린 통합물관리방안 설명회장에 취수원 이전을 찬성하는 주민들과 반대하는 주민들이 집회를 열고 있다. [뉴스1]

“낙동강 상류 ‘구미 해평취수장’에 대구 취수원을 옮겨 안전한 식수를 확보해야 한다.”(대구시)

“대구에서 물을 빼가면 해평취수장의 수량이 줄고 수질이 나빠질 수 있다.” (구미시)

이런 주장을 펴며, 낙동강 취수원 자리를 두고 10년 넘게 팽팽하게 계속된 대구와 경북 구미시의 ‘물싸움’ 갈등이 해결 실마리를 찾았다. 구미시가 대구 취수원 공동 활용에 대해 ‘조건부 동의’ 의사를 밝히면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23일 영상회의로 열린 간부회의에서 “30년 동안 상황 변화가 없었던 취수원 다변화 정책에 구미시장이 공동취수 조건부 수용 의사를 표명했고, 해평 지역 주민들의 지역발전 원동력으로 삼자는 여론이 형성돼 가는 등 상황이 좋아졌다”며 “시민사회가 적극 나서 구미시민을 설득해 이번 기회에 꼭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강조했다.

권 시장은 지난 12일에도 성명을 통해 “대구시는 구미시와 협정을 체결하는 즉시 해평취수장 인근 주민을 위한 100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농축산물 직거래 장터 등을 통해 인근 농가의 소득향상을 돕겠다”며 “해평취수장 공동활용에 따른 구미시민의 재산권 침해, 용수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앞서 11일 장세용 구미시장은 ‘구미시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대구 취수원 공동 활용에 대해 조건부 동의 의사를 밝혔다. 그는 “주민 피해가 조금이라도 발생한다면 동의하지 않는다는 원칙 아래, (구미에) 실질적인 이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대처하겠다”고 했다.

구미시 측의 조건부 동의 의견은 지난 6월 환경부의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의결 결정에 따른 것이다. 의결을 통해 구미 해평취수장(30만t)과 추가고도정수처리(28만8000t)를 통해 대구에 57만t, 경북에 1만8000t의 물을 배분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지난해 말 환경부는 두 지자체 간 갈등이 이어지자,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만들어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화 산하 낙동강유역물관리위에 심의를 요청했었다.

해평취수장을 대구와 공동 활용하는 것으로 결정됐지만, 구미시는 계속 반대 입장을 보이며 고민했다. 그러다 TK(대구·경북) 상생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공동 활용에 대해 조건부 동의 의사를 시장 성명을 통해 밝힌 것이다.

구미시 관계자는 “조건부 동의 형태로, 갈등 해결의 실마리는 풀렸지만, 아직 대구 취수원 공동 활용에 반대하는 시민들과 구미시의회 의원들이 있다. 국무총리실·환경부 등이 나서 반대 의견을 해소하는 방법을 찾아야 실제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대구 취수원 문제는 12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발암 의심물질인 ‘1, 4-다이옥신’이 구미국가산업단지(이하 구미산단)에서 낙동강으로 유출됐다. 낙동강은 대구시민이 사용하는 수돗물의 67%인 53만t을 취수하는 곳이다.

대구 취수원은 구미산단으로부터 34㎞ 하류에 있다. 구미산단이 대구 취수원 상류에 있고, 폐수 유출이 일어났다는 사실에 불안해진 대구시는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구미 해평취수장을 새 취수원 이전 후보지로 꼽았다.

그러자 구미시가 반발했다. 대구에서 물을 빼가면 해평취수장의 수량이 줄고 수질도 나빠질 수 있다는 이유였다. 그러면서 대구가 취수원을 옮겨 공동으로 물을 나눌 게 아니라, 스스로 낙동강 수질 개선 사업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맞서 두 지자체간 갈등이 오랜 세월 이어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