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눈염증에 호흡장애까지…‘오존의 역습’ 작년 횟수 넘어섰다

중앙일보

입력

"오존 농도 0.12ppm 이상으로 오존 주의보를 발령합니다. 어린이, 어르신, 호흡기·심혈관 질환자는 가급적 실외활동을 삼가시고, 건강관리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여름철이 되면 휴대전화로 심심찮게 오존 주의보 발령 문자가 날아든다. 지난 11일 오후 6시 서울시 동북권역(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노원)에도 오존 주의보가 발령됐다가 2시간 후인 20시 해제됐다. 지난달 29일 오후 2시쯤엔 서울 도심권, 서북권, 동북권, 서남권 등 거의 모든 지역에 오존 주의보가 내렸다. 지구를 지켜주는 존재로 알려진 오존, 주의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

오존으로 눈 염증, 농작물 수확량도 ↓ 

서울 대기중 오존 농도 상승 추세.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서울 대기중 오존 농도 상승 추세.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오존(O3)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질소산화물(NOx) 등 대기 오염물질이 높은 온도나 햇빛(자외선 등)과 함께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만들어지는 2차 오염물질이다. 오존은 산화력이 강해 적당량 있을 때는 살균, 탈취 등 작용으로 사람에게 이롭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고농도에 노출될 경우 호흡기나 눈에 자극이 심해지게 되고, 기침, 눈 따끔거림, 눈 염증을 일으키거나 심하면 호흡 장애까지 초래한다. 폐 기능을 저하하기도 한다.

오존 때문에 농작물 수확량이 줄어들 수도 있다. 무의 경우 오존농도 0.05ppm 상태가 하루 8시간, 20일간 지속하면 수확량이 50%까지 감소할 수 있다. 담배는 오존농도 0.1ppm에서 5.5시간만 노출돼도 꽃가루 생산이 절반까지 줄어든다. 엽록소 파괴, 효소작용에 문제가 생겨 식물 표면에 회색, 또는 갈색 반점이 생기기도 한다.

이미 작년 횟수 넘어선 오존 주의보 

서울 연도별 오존 주의보 발령 일수.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서울 연도별 오존 주의보 발령 일수.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16일 보건환경연구원이 내놓은 ‘서울시 오존 주의보 발령 현황과 증가 원인’ 자료를 보면 지난 1989년부터 2020년까지 오존 농도는 지속해서 오르는 추세(2020년 기준 연평균 0.025ppm)다. 2015년 연간 3회이던 서울의 오존 주의보 발령 횟수는 2016년 17회로 뛰었고, 이후 줄곧 두 자릿수를 기록 중이다. 올해 서울에선 총 10번의 오존 주의보(11일 기준)가 발령됐다. 전국 단위 오존 주의보 발령 횟수는 352회(8일 기준)로 벌써 지난해 전체 발령횟수(293회)를 넘어섰다.

대기 중 오존 농도가 오르는 이유는 뭘까. 보건환경연구원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 ▶일사량 증가 ▶평균 풍속 저하로 인한 대기 정체 ▶오존생성물질(VOCs 등) 농도 대비 오존파괴물질(일산화질소 등)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 등을 이유로 꼽고 있다. 특히 지상의 평균 풍속이 초속 3.0m 이하로 약할 때 오존이 생성되기 쉬운데, 2010~2020년 서울의 평균 풍속은 3.0m/s를 넘은 적이 없고 2018년엔 1.7m/s까지 떨어졌다.

“실외활동 자제, 무공해車 개발 시급”

서울시 평균 풍속 변화.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서울시 평균 풍속 변화.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오존 주의보가 내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신용승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대기 중 고농도 오존이 어린이, 노약자 및 호흡기질환자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실외활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유치원, 초등학교에선 실외수업을 자제해야 하고 노동활동이라 하더라도 일사량이 많은 오후 2~4시엔 가능한 그늘에서 휴식해야 한다. 또 경보 지역 내에선 자동차 운행을 자제하고 노천에서 소각행위도 금지된다.

지상이 아닌 하늘에선 오존이 이로운 역할을 한다. 지구에 존재하는 전체 오존의 90%는 사실 지상 10~50㎞ 사이의 성층권에 밀집해 있다. 이 오존층은 태양광선 중 생물에 해로운 자외선을 95~99% 정도 흡수하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지상에서) 오존 피해를 줄이려면 자동차 운행을 줄이고 대중교통시설을 이용하며 장기적으론 무공해 자동차 개발을 서두르는 게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