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미 연합훈련에 대한 북한의 연이은 공개 비난에도 불구하고 청와대는 또다시 침묵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0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이날 시작된 연합훈련 사전연습과 관련한 비난 담화를 낸 것에 대해 “지난 1일 담화를 발표한 데 이어 한ㆍ미 연합훈련에 대한 북측의 기존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담화의 의도, 앞으로의 북한의 대응 등에 대해 현 시점에서 예단하지 않고 북한의 태도 등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청와대의 구체적 입장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김 부부장은 지난 1일 “군사 연습은 북남관계의 앞길을 더욱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한 데 이어, 이날은 “남조선 당국자들의 배신적인 처사에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김 부부장은 특히 이날은 그동안 자제해왔던 주한미군의 철수까지 거론하며 “나는 위임에 따라 이 글을 발표한다”고 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에 따른 조치란 뜻이다.
이와 관련 서훈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담화의 성격이 중차대하다고 판단하고 문 대통령에게 담화의 내용과 의미 등을 직접 보고했다고 한다. 청와대는 그러나 서 실장이 보고한 상황 인식은 물론 김정은 위원장의 직접 비난에 대한 문 대통령의 반응과 관련해선 “(예의주시한다는)앞선 입장으로 갈음하겠다”고만 설명했다.
야권에선 청와대의 이러한 소극적 대응에 대해 “북한의 논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가 최선을 다해 대응하고 있고, 가능하면 명료하게 밝혀드리려고 노력은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대화 재개를 위한 남북 정상간 추가 친서 소통에 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했고, 한ㆍ미 훈련에 따른 북한의 향후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도 “북한의 특이 움직임에 대해 알고 있는 바가 없다”며 재차 입을 닫았다.
이런 가운데 홍현익 국립외교원장 내정자는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해 “사실 우리가 훈련하는데 북한은 훈련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자체가 상식적이지 않다”며 “이제 자기(북한)들도 단거리 미사일이라든지 장사정포 이런 것을 훈련할 가능성은 충분히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는 앞서 지난 6일 언론 인터뷰에선 “반드시 (한ㆍ미 연합)훈련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말로 논란을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