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곧 한그릇 1만원 시대…냉면 가격 7월에 또 올랐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금(金)면’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냉면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9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올해 7월 서울 지역 기준으로, 대표 외식 품목 8개 가운데 7개 품목이 올해 1월보다 상승했다.

이 중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냉면으로 6개월 만에 평균 9000원(1월)에서 9577원으로 6.4%가 뛰었다. 6월에는 9500원이었는데 한 달 새 평균 가격이 또 올랐다.

크게 오른 주요 외식품목.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크게 오른 주요 외식품목.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서울 유명 음식점들은 평양냉면 한 그릇에 1만3000~1만7000원을 받을 정도로, 이름이 알려진 냉면 맛집의 냉면 가격은 1만원을 훌쩍 넘은 지 오래다.

냉면값 인상은 주재료인 메밀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6일 기준 수입 메밀 도매가격은 ㎏당 평균 4400원이다. 1년 전(2910원)보다 51.2%나 뛴 가격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4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업계에 따르면 국산 메밀 가격은 수입산보다 약 2배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역대급 장마 여파로 생산량이 급감한 것이 원인이다.

서울 한 유명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냉면의 가격표

서울 한 유명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냉면의 가격표

냉면 육수 맛을 결정하는 한우 양지의 가격도 올랐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6일 한우 양지(1++) 1㎏의 도매가격은 평균 4만9942원으로 지난해 8월7일(4만4612원)과 비교해 11.9% 올랐다.

냉면에 이어 가격 상승률이 높은 종목은 9115원을 기록한 비빔밥으로 6개월 전보다 3.9% 상승했다. 1인 가구의 대표 메뉴로 꼽히는 김밥(2.9%), 김치찌개 백반(2.3%), 자장면(2.2%), 칼국수(2.1%) 등도 6개월 전보다 2% 넘게 올랐다.

이런 외식비 급등세는 통계청의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서도 나타난다. 외식 물가지수는 전국이 113.47(2015년=100)로 1년 전보다 2.28% 올랐다. 이는 2019년 2월(2.86%) 이후 2년 4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외식물가의 전년 대비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0.92%를 기록한 이후 지난달까지 매달 한차례도 빠짐없이 오름폭을 키워가고 있다. 서울 지역 역시 지난달 외식 물가지수 상승률이 2.08%로 2019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점점 가파르게 오르는 전국 외식물가 지수.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점점 가파르게 오르는 전국 외식물가 지수.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외식 물가만 뜀박질하는 것이 아니다. 통계청과 OECD에 따르면 지난 2분기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 7.3% 상승했다. 상승률은 10년 만의 최고치다.

이는 OECD 전체 평균(1.6%)의 4.5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38개 회원국 가운데 터키(18.0%)와 호주(10.6%)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지난해 2분기 우리나라 식품물가 상승률은 2.5%로 OECD 국가 중 26위(당시 회원국은 37개국)에 그쳤으나 1년 만에 상승률 순위가 23계단이나 뛰어오른 것이다.

이는 지난해 저물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최근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진 여파다. 특히 농축수산물 물가는 2분기에만 11.9% 뛰어올라 1991년(12.5%) 이후 30년 만의 최대 상승을 기록했다.

하반기에도 식품물가 상황은 여전히 불안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폭염이 이어지며 잎채소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작황 부진으로 쌀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가는 탓이다. 국제곡물 가격도 불안 요인 중 하나다. 국제곡물 가격이 오르면 빵이나 식용유 등 가공식품 가격이 오르고, 사료 가격 등도 상승 압력을 받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