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백신 뒤처진 동남아, 한국 수출 발목 잡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백신 접종에서 뒤처진 아시아가 세계 경제의 ‘약한 고리’가 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충격이 커지고 있는 데다,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세계 경제 회복에 걸림돌이 됐다는 게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진단이다.

태국·인니 등 글로벌 생산기지 차질 #WSJ “한국 공급망 불확실성 커져”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현재 미국 등 선진국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이 40~50%인데 반해 아시아 지역의 접종률은 그 절반 수준에 그친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특히 저조하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전체 인구의 8%, 태국은 6%만 백신을 맞은 상태다.

결국 사회적 거리두기와 봉쇄 강화 조치를 잇달아 도입하면서 경제에 미치는 파장도 커지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지난 6월 초 의류업과 같은 필수 업종이 아닌 곳의 공장 문을 닫으라고 명령했다. 인도네시아도 의류 공장을 돌리곤 있지만 베트남 등 주변 국가의 봉쇄 조치 탓에 원재료 확보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런 영향에 선진국으로부터 수요 급증에 호황을 구가하던 한국과 중국 등 ‘수출 엔진’도 느려지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중국은 민간과 정부에서 발표하는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각각 모두 1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가통계국이 최근 발표한 7월 제조업 PMI는 전달의 50.9보다 낮아진 50.4를 기록, 지난해 2월 이후 17개월 만에 최저치였다.

WSJ은 “한국의 수출은 지난 6월(39.8%)과 7월(29.6%)에 증가했지만 향후 몇 달간 공급망 불확실성이 더 커진다면 중국과 비슷한 역풍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의 판징이 부국장은 “아시아발(發) 공급 문제 악화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나쁜 징조”라고 했다.

아시아 국가들의 걱정거리는 또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실시 등 긴축정책으로의 전환을 시도할 경우 자본 유출이 일어나는 등 금융 불안 상황을 맞을 위험도 배제할 수 없다.  무디스의 스티븐 코흐레인 이코노미스트는 “(경제 회복을 위해) 가장 필요한 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해제 여부”라면서 “빠른 백신 접종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정부로선 사회적 거리두기 외엔 택할 방법이 마땅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