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LG화학, 분리막 사업 재진출…2분기 ‘사상 최대’ 매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지난 14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직접 소재를 들고 3대 신성장 동력 사업 육성 및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LG화학]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지난 14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직접 소재를 들고 3대 신성장 동력 사업 육성 및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LG화학]

LG화학이 LG전자의 화학·전자재료(CEM) 사업 부문을 인수하며 6년 만에 배터리 분리막 사업에 재진출한다. LG화학은 이로써 배터리 4대 핵심 소재 기술을 모두 보유하게 돼 세계 최대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LG화학은 29일 이사회를 열고 LG전자 BS(비즈니스솔루션) 사업본부 산하 CEM 사업부문을 인수하는 내용의 영업 양수 안건을 승인했다. 금액은 5250억원이며 생산설비와 사업부문 인력 등 유무형 자산 일체를 인수한다. LG전자 CEM사업부는 분리막 등 배터리 소재와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하고 있다. 청주와 중국 항저우, 폴란드 브로츠와프에 생산시설을 두고 있다. 국내외 임직원 800여명은 전원 고용이 유지된다.

배터리 4대 핵심소재 기술 모두 확보 

이로써 LG화학은 양극재, 음극 바인더, 전해액 첨가제, 탄소나노튜브(CNT) 분야 사업과 더불어 분리막 사업에도 뛰어들게 됐다. 배터리 4대 핵심 소재에 적용되는 주요 기술을 모두 보유한 기업은 전 세계에서 LG화학이 유일하다. LG화학은 LG전자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차세대 코팅 기술을 더해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분리막 사업을 수 년 내 조 단위 규모로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이차전지용 분리막 시장은 올해 약 4조1000억원 규모에서 2025년 약 11조 원 규모로 연평균 27.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학업계에서는 LG화학이 분리막 사업 재진출을 계기로 분리막 원단 생산에도 다시 뛰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도레이와 합작법인(JV)을 설립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LG화학은 지난 2015년 충북 청주시 오창공장 내 분리막 관련 제조 설비를 도레이에 매각하면서 분리막 사업에서 손을 뗐다. 만약 LG화학이 도레이와 JV를 설립해 원단 생산을 시작한다면 분리막 사업의 완전한 수직계열화가 가능하다.

LG화학은 이번 인수를 포함해 2025년까지 6조원을 투자해 배터리 소재를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신학철 부회장은 “분리막 사업을 적극 육성하는 한편 성장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세계 1위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분기 매출 11조4561억원…사상 최대 

이날 LG화학은 분기 사상 최대 실적 기록도 갈아치웠다. LG화학은 공시를 통해 지난 2분기 매출 11조4561억원, 영업이익 2조230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65.2%, 영업이익은 290.2% 증가했다.

특히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5조2674억원, 영업이익 1조3247억원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위생용품 사용 증가와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개선 등이 실적을 끌어올렸다. 생명과학부문도 매출 2030억원, 영업이익 291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차동석 LG화학 부사장(CFO)은 “석유화학사업의 실적이 두드러지게 상승했고 전지소재 사업이 확대되는 등 전 사업부문이 고르게 성장해 최대 성과를 창출했다”며 “친환경 지속가능사업과 전지소재 중심의 모빌리티 사업,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반의 3대 신성장 동력을 중심으로 사업을 실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