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413일 만에 돌아온 김정은, 코로나·식량난 해결 급했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27일 오전 10시 판문점 기계실. 남과 북의 담당자들이 직통 전화의 호출 버튼을 눌러 수화기를 들었다. “잘 들리십니까?” “잘 들립니다”는 통화 상태 확인 대화가 오갔다. 이어 남북한의 연락대표부 역할을 하는 연락사무소 통신선은 기계 점검을 거쳐 오전 11시4분부터 3분 동안 통화가 이뤄졌다. 남측 연락 대표가 “1년여 만에 통화가 재개돼 기쁩니다”며 통신선이 복원된 만큼 온 겨레에 기쁜 소식을 전할 수 있길 바란다고 알렸다.

작년 6월 “남조선 것들…” 통신 끊어 #일주일 뒤엔 개성 연락사무소 폭파 #대선 앞둔 지금, 협상 적기로 본듯 #한국통해 제재해제 미국 설득 가능

지난해 6월 9일 조선중앙통신사 보도를 통해 남북한의 모든 통신선을 차단한다는 북한의 일방적 발표 이후 통신선이 차단된 지 413일 만이다. 이날 통화에서 양측은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에 정기적으로 통화하는 방식으로 통신선을 유지하기로 했다. 남측의 정기 통화 제안에 북측이 동의했다고 통일부는 밝혔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은 “남북 간 소통이 다시는 중단되지 않고, 복원된 통신연락선을 통해 남북 간 다양한 현안을 논의하고 합의 사항들을 실천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북한은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그 책임을 한국 정부에 돌리며 청와대를 향해 “저능아” “봄날은 오지 않을 것”이라고 독설을 퍼부었다. 지난해 6월 9일엔 “남조선 것들과의 일체 접촉 공간을 완전 격폐하고 불필요한 것들을 없애 버리기로 결심한 첫 단계의 행동”이라며 통신선을 끊어 버렸다. 일주일 뒤인 6월 16일엔 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

그런 북한이 “수뇌분들의 합의에 따라 북남 쌍방은 7월 27일 10시부터 모든 북남 통신연락선들을 재가동하는 조치를 취하였다”(조선중앙통신)고 발표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통신선 복구를 결정했다는 발표다. 이날은 정전협정 체결 68주년이기도 했다.

남북 연락 채널 차단·복원 1970년대 이후 8차례 반복

남북 연락 채널 차단·복원 1970년대 이후 8차례 반복

관련기사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과거 북한이 남북 관계의 문을 닫을 때 연락 채널을 가장 먼저 폐쇄한 점을 고려하면 반대로 연락 채널의 복구는 북한이 남북 관계 개선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조선중앙통신도 “통신연락선들의 복원은 북남 관계의 개선과 발전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이 180도 방향을 바꿔 대화 재개에 나선 건 북한 내부 상황과 내년 3월 한국 대선,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까지 고려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1차적으론 북한의 식량난과 코로나19 상황이다. 북한은 코로나19가 발생하자 ‘국경선 총살’이라는 극한 수단까지 동원하며 국경을 차단했지만 이는 식량난으로 이어졌다. 이 같은 악재를 완화하기 위해 대남 정책을 전략적으로 선회했다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의 대남 청구서엔 식량·비료 지원과 백신·의약품 지원이 들어있을 수 있다.

또 북한으로선 내년 대선을 앞두고 문재인 정부를 상대하는 게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봤을 가능성이 있다. 임기 내내 전력을 투입했던 남북 관계 개선이 임기 말에 무위로 돌아가는 상황은 청와대나 여당이 원하는 바가 아니다. 또 한국 정부가 미국 정부를 향해 ‘대북 제재 해제’를 설득하게 하고, 바이든 정부엔 ‘남북 함께’를 보여주며 압박 수위를 낮추라고 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