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View & Review] 주택공급 미적…176개 시·군·구 중 두 곳만 아파트값 하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값(지난 19일 기준)이 일주일 전보다 0.36% 올랐다고 한국부동산원이 22일 밝혔다. 수도권 주간 아파트값 상승 폭은 2012년 5월 통계 작성 이후 9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이 잇따라 집값 거품 가능성을 경고하고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했지만 아파트 시장은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수도권 1주새 0.36% 오르고 #9주 연속 하락 세종시도 반등 #서울 전셋값은 올 최고폭 상승 #서울 주택 준공물량 18% 감소 #내년엔 올해보다 더 줄어들어 #33만 가구 공급? 착공 불투명

서울에선 중저가 아파트 단지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정차역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오르고 있다. 익명을 원한 부동산원 관계자는 “GTX·신분당선 등 교통과 (지역) 개발 호재가 있는 중저가 단지와 재건축 단지에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 추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 추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관련기사

서울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지난주 0.15%에서 이번 주 0.19%로 확대했다. 주간 아파트값 상승 폭으로는 2019년 12월 셋째 주(0.2%)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경기도의 아파트값 상승률도 지난주 0.4%에서 이번 주 0.44%로 확대했다. 인천에서도 같은 기간 0.44%에서 0.46%로 아파트값 상승 폭이 커졌다.

서울에선 노원·도봉·강북구를 가리키는 ‘노도강’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노원구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보다 0.35% 올랐다. 서울의 25개 구 가운데 15주 연속으로 아파트값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도봉구(0.27%)와 강북구(0.18%)도 비교적 많이 올랐다. 경기도에선 안성(0.89%)과 안양 동안구(0.87%), 군포(0.76%)의 아파트값 상승 폭이 컸다. 인천에선 연수구(0.59%)와 부평구(0.5%)가 아파트값 상승을 주도했다.

지난주까지 9주 연속으로 하락했던 세종시 아파트값은 이번 주 0.05%의 상승세로 돌아섰다. 부동산원이 조사한 전국 176개 시·군·구 중 아파트값이 하락한 지역은 두 곳에 그쳤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번 주 0.15% 올랐다. ▶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셋집을 찾는 수요가 늘었고 ▶재건축 아파트의 철거를 앞두고 다른 곳으로 이사하려는 수요도 많아졌다고 업계에선 보고 있다. 양천구(0.24%)와 노원(0.21%)·도봉구(0.19%)에서 전셋값이 강세를 보였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등 일부 재건축 아파트 단지에선 전세 매물이 많이 늘었다. 정부와 여당이 재건축 아파트 소유자를 대상으로 새 아파트 입주권을 얻으려면 2년 이상 실거주해야 한다는 규제를 도입하려다가 철회한 영향이다. 서초구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주 0.3%에서 이번 주 0.25%로 낮아졌다. 강남구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주와 이번 주에 0.14%로 같았다.

올해 들어 지난 5월까지 서울에선 주택 준공과 착공 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크게 줄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1~5월 서울에선 주택 2만9475가구가 준공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3만6020가구)과 비교하면 18.2% 줄었다.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입주자 모집공고 기준)은 지난해 4만9415가구에서 올해는 3만864가구로 감소한다. 내년에는 2만463가구로 올해보다 더 줄어든다.

주택 공급의 선행 지표로 볼 수 있는 주택 착공 물량도 부진하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1~5월 주택 착공은 1만7555 가구였다. 1년 전(2만7724가구)에 비해 36.7% 감소했다. 2019년 1~5월(2만4410가구)과 비교해도 28% 줄었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정부의 공급 대책이 속도를 내지 못하는 데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실시 이후 민간 기업의 공급 물량이 많이 줄었다. 공급 문제가 단기간에 해소되긴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의 주택 건설 인허가 물량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 인허가 물량(5만8181가구)은 11년 만에 가장 적었다. 다만 올해 들어선 증가세를 보인다. 지난 1~5월 서울의 주택 건설 인허가는 3만915가구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2만2149가구)과 비교하면 39.6% 증가했다. 최근 5년간 1~5월 평균(2만9377가구)과 비교해도 5.2% 늘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사업 추진을 미뤘던 물량을 올해 들어 재개한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정부는 지난 2·4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에 주택 33만 가구를 공급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현재 사업 후보지를 선정하고 주민 동의 절차를 진행 중이다. 언제쯤 신규 주택의 착공에 들어갈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부는 3기 신도시를 활용해 서울의 주택 수요를 분산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16일 3기 신도시의 1차 공공분양 입주자를 모집하기 위해 사전청약을 받는다는 공고를 냈다. 다만 3기 신도시는 토지 보상 등의 절차가 남아 있어 사전청약에 당첨된 사람이 새집에 입주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부동산 업계는 보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