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신라 시대에 180㎝ '구척 거인'…학계 놀란 유골의 정체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80㎝ 거구의 신라인은 누구였을까.
5세기 때 만들어진 경주의 신라 무덤에서 발견된 180㎝의 인골이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문화재재단은 경주 탑동 유적의 신라 고분에 대한 발굴 조사를 벌이던 중 목곽묘(木槨墓·덧널무덤) 2호로 명명한 무덤에서 키 180㎝ 정도의 남성 인골을 찾아냈다고 15일 밝혔다. 지금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인골 중에서는 최장신이라는 것이 문화재재단 측의 설명이다.
다만 인골의 직업을 확실하게 유추할 수 있는 유물은 나오지 않았다. 부장품은 대부분 토기였고, 머리 쪽에서 농기구인 괭이의 날로 짐작되는 쇠붙이가 발견됐다. 무기류는 없었다고 조사단은 전했다.

경주 탑동유적 목곽묘 2호에서 출토된 180cm 인골 사진 및 3D스캐닝 사진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경주 탑동유적 목곽묘 2호에서 출토된 180cm 인골 사진 및 3D스캐닝 사진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강력한 지도자였을까
"바닷가의 할멈이 줄로 끌어서 바닷가에 매어두고 궤짝을 열어서 보니 어린아이 한 명이 들어 있었다. 할멈이 거두어 길렀다. 장성하니 신장이 9척이나 되었고, 풍채가 빼어나며 지식이 남달랐다. 어미가 말하기를, “너는 보통 사람이 아니다. 골상이 특이하니 마땅히 학문을 배워 공(功)과 이름을 세우도록 해라”라고 하니, 이에 학문에 정진하여 땅의 이치를 겸하여 알게 되었다." (『삼국사기』「신라본기」 탈해 이사금)

 경주 탑동유적 목곽묘 2호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경주 탑동유적 목곽묘 2호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삼국사기』는 석탈해의 키가 9척(현재의 184㎝)이었다고 전한다. 하지만 "골상이 특이하다"고 말했듯이 당시 180㎝에 달하는 신장은 남들과 두드러지게 다른 특징에 속했다. 이번 발굴에서도 무덤 24기 중 12기에서 인골이 발견됐는데, 목곽묘 2호를 제외하고는 160㎝대였다. 그렇다면 목곽묘 2호의 남성도 강력한 지도급 인사였을까.

발굴 조사 결과는 그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한국문화재재단 측은 "무덤 안에서 무기나 금세공품 등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며 "높은 신분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또한 외국인이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무덤 양식도 전형적인 5~6세기의 신라 무덤이고, 무덤 안에 외국에서 온 흔적을 보여주는 아무런 유물이 없기 때문에 신라인이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중노동에 시달린 하층 노동자였나  
대신 목곽묘 2호 인골의 머리맡에서는 나무 삽에 쓰이는 철기 삽날이 발견됐다고 한다. 따라서 농민이거나 노동 계층이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추정이다. 5~6세기는 신라의 국력을 확장해나가는 시기였던 만큼 피지배층의 노동 강도는 이전보다 더욱 높았을 가능성이 있다.

탑동유적 적석목곽묘 6호 출토 인골 사진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탑동유적 적석목곽묘 6호 출토 인골 사진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목곽묘 2호 인골의 특징 중 하나는 척추 변형 흔적이다. 디스크 환자처럼 척추가 변형돼 있었다는 것이다. 한국문화재재단 관계자는 "가혹한 노동에 시달리다가 척추가 변형된 것인지, 아니면 무덤 안에 시신을 욱여넣는 과정에서 굽은 것인지는 조금 더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골이 발견됐을 당시 얼굴이 하늘을 향하지 않았고, 관도 신체에 맞춰 만든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관에 억지로 넣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신장이 크지만 지체 높은 귀족이 아니다 보니 기존 관에 무리하게 넣어 매장했다는 것이다.

한편 경주 도당산 아래에 있는 탑동 유적은 신라시대 중요 무덤군으로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돌무지덧널무덤) 130기를 비롯해 180여 기의 옛 무덤이 분포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발굴 조사한 무덤 24기는 5~6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일부는 환두대도(環頭大刀·손잡이 끝이 둥근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는 칼) 등 철기 무기류가 발견돼 중하급 귀족의 무덤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탑동유적 적석목곽묘 7호 출토 인골 사진 [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탑동유적 적석목곽묘 7호 출토 인골 사진 [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탑동유적 적석목곽묘 9호 유구 3D스캐닝 결과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탑동유적 적석목곽묘 9호 유구 3D스캐닝 결과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탑동 유적지는 선상지로 물길이 흐르고 점토로 된 지형이다 보니 인골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며 "다만 이번처럼 장신 인골이 온전히 보존되어 나온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한국문화재재단 측은 "향후 고고학적 조사와 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유골의 주인공이 어떤 사람이었는지 보다 정확한 정보를 알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