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여전히 뜨거운 친일 논란…"후퇴하면 날 쏴라" 백선엽 1주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9일 오전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열린 고(故) 백선엽(1920~2020) 장군 별세 1주기 추모 행사에서 김정수 육군 제2작전사령관, 서욱 국방부 장관, 폴 러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 김승겸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왼쪽부터)이 헌화·분향을 마친 뒤 경례하고 있다. 뉴스1

9일 오전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열린 고(故) 백선엽(1920~2020) 장군 별세 1주기 추모 행사에서 김정수 육군 제2작전사령관, 서욱 국방부 장관, 폴 러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 김승겸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왼쪽부터)이 헌화·분향을 마친 뒤 경례하고 있다. 뉴스1

“오늘 추모 행사가 단지 아버님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투쟁하고 희생한 모든 분을 위한 것이 되기를 아버님께서 원하셨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9일 오전 경북 칠곡군 가산면 다부동전적기념관에서 열린 고(故) 백선엽(1920~2020) 장군의 1주기 추모 행사에서 백 장군의 장녀 백남희 여사는 이렇게 말했다. 다부동은 6·25전쟁 당시 백 장군이 사단장으로 이끌던 1사단이 북한군 3개 사단을 격파해 낙동강 방어선을 사수하게 한 곳이다.

행사가 열린 다부동전적기념관은 다부동 전투를 기리고 이 땅에 다시는 전쟁의 참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다짐하기 위해 세워졌다. 백 장군은 국군 1사단장으로서 다부동 전투에 앞장섰다. 기습남침 후 파죽지세로 밀고 내려오던 북한군은 다부동에서 막혔다.

백 장군의 1주기를 추모하는 자리에는 서욱 국방부 장관과 폴 러캐머라 신임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 김승겸 연합사 부사령관, 민홍철 국회 국방위원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백선기 칠곡군수 등이 참석했다.

전직 한미연합사령관이었던 빈센트 브룩스(주한미군전우회장)와, 존 틸럴리, 토머스 슈워츠, 버웰 벨, 제임스 서먼, 월터 샤프, 커티스 스캐패로티 등이 추모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브룩스 전 사령관은 “다부동 전투에서 가장 명성을 떨친 지휘관은 고 백선엽 대장님이셨다”며 “다부동에서 그의 용맹한 저항과 적과 기꺼이 맞서는 투지는 모든 미 8군 전원에게 결의를 불어넣었고 결국 이를 통해 전세를 바꿀 수 있었다”고 했다.

1954년 백선엽 당시 제1야전군 사령관이 김웅수 장군에게 선물한 친필 사인과 사진. 사진 김웅수 장군 가족

1954년 백선엽 당시 제1야전군 사령관이 김웅수 장군에게 선물한 친필 사인과 사진. 사진 김웅수 장군 가족

백 장군이 사투를 벌인 다부동은 6·25 전쟁의 최대 격전지였다. 대구에서 20㎞ 떨어진 경북 칠곡군 가산면 다부리 지역으로 유학산과 팔공산 사이의 큰 골짜기다.

다부동 전투는 1950년 6월 25일 남침한 북한군이 파죽지세로 남하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김일성은 마산~왜관~영덕을 잇는 낙동강 방어선을 뚫기 위해 4개 사단을 대구 축선에 집중, 국군 1사단을 공격했다. 그 중심에 다부동이 있었다. 이곳이 뚫리면 북한군은 곧장 부산까지 밀고 들어갈 상황이었다.

다부동 전투는 1950년 8월 1일∼9월 24일 사이 55일간 이어졌다. 이 전투에서 북한군은 5690여 명이, 국군과 미군은 3500여 명이 전사했다. 부상자까지 더해 남북이 2만750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다부동 전투에서의 승리는 전쟁의 기세를 돌려놨다. 낙동강 전선을 지킴으로써 유엔군이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할 수 있었다.

이 전투의 주역이었던 백 장군은 일제강점기인 1920년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7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는 3남매를 데리고 평양으로 이주해 생계를 꾸렸다.

군인이 되고 싶었던 백 장군은 1941년 12월 만주국 중앙육군훈련처 9기 군관 후보생으로 입교해 이듬해 소위로 임관했다. 이후 자무쓰(佳木斯) 부대에서 신병훈련소 소대장으로 근무하다 1943년 2월 간도특설대로 배치돼 광복 이전까지 활동했다. 광복 후 백 장군은 38선의 경비를 담당하는 제1사단장으로 보직됐다.

한국전쟁 발발 직후 북한군은 빠르게 남하해 불과 5주 만인 1950년 8월 1일 낙동강 유역까지 도달했다. 이에 미8군 사령관 월튼 워커 중장은 마산~왜관~포항을 방어선으로 설정하고 죽는 한이 있어도 무조건 방어하라라고 미8군에 명했다. ‘낙동강 방어선’이다.

6·25전쟁 제71주년을 맞은 지난달 25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백선엽 장군묘역에서 육군 부사관들이 거수경례하고 있다. 뉴스1

6·25전쟁 제71주년을 맞은 지난달 25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백선엽 장군묘역에서 육군 부사관들이 거수경례하고 있다. 뉴스1

1사단은 낙동강 전선 중 대구를 방어하는 위치에 있었다. 낙동강 전선에서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한 곳이었다. 당시 대구에는 대한민국 정부와 육군본부, 미8군 사령부가 위치해 있었다. 1사단은 턱없이 부족한 병력과 무기에도 불구하고 미8군의 도움을 받아 큰 희생을 감수하면서 이곳을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백 장군은 치열한 전투 선봉에 서서 “우리는 여기서 더 후퇴할 장소가 없다. 더 밀리면 곧 망국”이라며 “내가 선두에 서서 돌격하겠다. 내가 후퇴하면 너희들이 나를 쏴라”고 말했다고 한다.

6·25 전쟁에서의 혁혁한 전공에도 백 장군에게는 친일 논란이 항상 따라붙는다. 간도특설대 복무 경력 탓이다. 간도특설대는 만주국 영토에서 무장 항일 투쟁을 벌이던 팔로군과 동북항일연군 등 공산당 계열 빨치산들을 토벌하고 치안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부대다.

2005~2009년 활동한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는 백 장군의 간도특설대 활동 내역을 토대로 그를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했다. 이에 일부 친여(親與) 단체가 백 장군의 국립대전현충원 안장식 때 반대 집회를 열기도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