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뉴스분석] 사흘새 시가총액 1.5조 사라진 신풍제약에 무슨 일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서울 한 대학병원에서 임상연구를 하는 A씨는 지난 7일 자신의 증권 계좌를 확인하다 충격을 받았다. 이날 오후 늦게 계좌를 열어봤더니 지난해 투자했던 신풍제약 주가가 거의 반토막이 났기 때문이다. A씨는 “코로나19 관련 연구를 하면서 두루 검토해 보니 신풍제약의 코로나19 치료제가 나쁘지 않다고 봐서 주식을 샀다”며 “나도 손실이 크지만, 함께 투자한 연구실 후배도 있어 상당히 곤혹스럽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소식에 #작년 주가 16배 올라 상승률 1위 #최근 “유의성 없다” 판정에 급락 #임상3상 신청, 전문가 “확률 낮아”

지난 5일 이 회사가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인 ‘피라맥스’가 임상2상 평가결과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판정을 받은 후 시가총액이 1조5000억원가량 빠졌다. 발표 다음날 하한가(6만7000원)를 기록하더니 7일 2.69% 하락한 6만5200원, 8일엔 0.15% 오르면서 6만5300원으로 마감했다.

신풍제약 최근 1년간 주가 변동.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신풍제약 최근 1년간 주가 변동.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피라맥스는 원래 항말라리아 치료제다. 2012년 국내 신약 16호로 등록됐으며 지난해 매출은 40억원 미만이다. 신풍제약은 지난해부터 피라맥스가 코로나19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했고, 이 과정에서 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탔다.

지난해 1월 2일 기준으로 7320원이던 이 회사 주가는 정부가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한 지난해 5월 2만원대로 뛰었다. 지난해 9월엔 20만9000원까지 치솟았다. 매출 1900억원대 회사가 11조원대의 가치로 평가받은 셈이다. 지난 한해 주가 상승률이 1612.7%로 거래소 2위였다. 1위는 신풍제약 우선주(1955.4%)였다.

주가 16배 뛸 때 증권사 리포트는 하나뿐

신풍제약은 사업 구조가 비교적 단순한 회사다. 실적은 100% 의약품 제조에서 나오고, 굵직한 자회사도 없다. 지난해 매출이 1977억원으로 2019년(1897억원)과 비슷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각각 56억원, 78억원이었다. 외려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은 1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0억원) 보다 줄었다.

투자자 사이에선 화제였지만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금융투자업계에서 내놓은 신풍제약 기업분석 보고서는 단 1개다. 유일하게 신풍제약 기업분석 보고서를 작성한 KB증권의 홍가혜 연구원은 당시 리포트에서 “피라맥스가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에 영향을 미쳤다”며 “치료제 개발 경쟁 심화와 신약 개발의 불확실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때도 투자 의견이나 목표 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익명을 요청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그간 신풍제약 주가가 급등락한다는 점을 인지했지만, 뚜렷한 원인이 없어 굳이 재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일부 대주주는 3차례 차익 실현

피라맥스는 임상2상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피라맥스를 투여한 경증 코로나19 환자(52명)와 이 제품을 투여하지 않은 환자(58명)가 28일 후 각각 어떻게 됐는지 봤더니, 별 차이가 없었다. 안정성 평가도 마찬가지다. 파라맥스 투여군에서 이상 반응을 보인 환자 비율(40.4%)은 대조군(48.3%)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지난 5일 이 소식이 알려지자 주가가 급락했다. 최고점 대비 3분의 1도 안 된다.

개인 투자자는 ‘손절이냐’ ‘존버냐(수익이 날 때까지 버팀)’를 고민하고 있지만, 일부 대주주는 이미 일부 지분을 처분하며 차익을 실현했다. 지난해 5월 장원준 전 신풍제약 사장의 친인척으로 알려진 민모씨는 보유한 신풍제약 주식 전량(92만3902주)을 장내 매도했다.

주가변동에 달리 큰변화 없는 신풍제약.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주가변동에 달리 큰변화 없는 신풍제약.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신풍제약도 지난해 9월 자사주(128만9550주)를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 당시 시가 기준으로 2153억원 규모다. 지난 4월엔 최대주주(송암사)가 블록딜 방식으로 1680억원어치(200만 주)를 매각했다. 송암사는 장원준 전 신풍제약 사장이 지분 72.9%를 보유한 개인회사다.

신풍제약은 피라맥스 임상3상을 신청한 상태다. 일부 지표에서 피라맥스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억제하고 중증으로 악화하는 비율을 낮출 가능성을 보였다는 것이 회사 측의 판단이다. 임상2상 결과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비만을 동반하는 등 중증 악화 가능성이 높은 환자(고위험군) 통계만 떼어놓고 봤더니, 피라맥스를 투여한 환자(16명)는 모두 10일 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음성으로 전환됐다는 것이다.

“3000개 중 하나 성공 … 전략 차원일 수도”

전문가는 임상2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상황에서 임상3상이 성공할 확률은 높지 않다고 말한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임상3상은 통상 3000여 개 후보 물질 중 1개 정도가 성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약물 재창출 방식의 코로나19 치료제는 임상 성공이 쉽지 않다”며 “신풍제약이 전략적인 차원에서 임상3상을 신청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중앙일보는 이날 신풍제약 측에 수차례 연락했지만 전화를 받지 않았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바이오 기업이 임상에서 성공하면 대규모 수익이 날 수 있지만, 반대로 임상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