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로이터 "화이자·모더나와 10억회분 국내 생산 협의"···거론 업체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으로 생산된 화이자와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으로 생산된 화이자와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한국이 화이자, 모더나 등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제조업체들과 백신 국내 생산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5일 보도했다.

이번 합의가 이뤄질 경우 북미와 유럽에 비해 뒤처진 아시아 지역의 코로나19 백신 공급 상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한국 정부 당국자를 인용한 서울발 보도에서 한국은 최대 10억 회분의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면서 합의가 이뤄지면 '글로벌 백신 허브'가 되겠다는 한국의 목표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한국은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Ⅴ 등 바이러스 백터 방식의 코로나19 백신 3종을 국내에서 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모더나와 백신을 충진하고 포장하는 계약을 맺었다.

이강호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mRNA 백신의 국내 생산을 위해 대형 제약사와 수시로 협의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mRNA 백신 제조사는 화이자, 모더나, 큐어백, 바이오앤테크 등 극히 일부에 불과해 전 세계적인 수요를 충족시킬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며 "한국은 숙련된 인적 자원과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와 제약사들 간 협상이 얼마나 진전되었는지, 합의가 언제 타결될 것인지는 당장으로선 분명하지 않다. 로이터는 관련 질의에 바이오엔테크는 답변을 회피했고, 모더나와큐어백은 응답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화이자 대변인은 "코로나19 백신 공급망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현재 특별히 발표할 것은 없다"고 말했다.

mRNA 코로나19 백신 생산을 맡을 국내 제조업체와 관련해 이강호 국장은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지만,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한미약품과 큐라티스 등이 후보군에 포함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와 관련해 한미약품은 당뇨병 치료제인 사노피를 위해 확보해둔 생산 능력이 큰데, 사노피 프로젝트가 중단되면서 코로나19 백신 생산에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결핵 백신을 생산하는 쿠라티스도 지난해 새로 건설한 공장을 mRNA 코로나19 백신 생산에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