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학 입학생 15년만에 최저, 경남 13% 급감…전문대도 위기

중앙일보

입력

전국 대학 총장들의 모임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일까지 이틀간 '코로나·저출산시대 대학의 도전과 응전'이란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사진은 대교협 회장인 김인철 한국외대 총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는 모습. 대교협 제공

전국 대학 총장들의 모임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일까지 이틀간 '코로나·저출산시대 대학의 도전과 응전'이란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사진은 대교협 회장인 김인철 한국외대 총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는 모습. 대교협 제공

올해 대학과 전문대학 입학자 수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전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의 위기는 경남·강원·전북 등 지역에서부터 시작되는 모양새다.

6월 대학정보 공시자료를 종로학원이 분석한 결과 올해 대학 입학자 수는 33만6265명, 전문대학 입학자 수는 15만1267명으로 총 48만7532명이 고등교육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 입학자 수(48만 6989명)와 비슷한 수준이다.

대학 및 전문대학 입학자 수는 1996년 50만 명, 1998년 60만 명을 돌파한 후 2000년대 초반 66~68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접차 줄어 2015년에는 60만 명 선이 깨졌다. 입학자 수가 50만 명 밑으로 떨어진 건 1996년 이후 15년 만의 일이다.

경남 4년제·대전 전문대 입학생 큰 폭 줄어 

수도권보다는 지방에서, 대학보다는 전문대학에서 입학자 수가 많이 줄었다. 서울과 인천 소재 대학은 지난해보다 신입생이 1% 안팎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경남(-12.9%), 강원(-11.2%), 전북(-10.8%), 경북(-10.1%) 대학에선 입학자 수가 크게 줄었다. 전국 평균 감소세(-4%)를 훌쩍 넘는다.

2020년대비 2021년 4년제 대학 입학지 증감.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2020년대비 2021년 4년제 대학 입학지 증감.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지난해보다 입학자 수가 500명 이상 크게 줄어든 대학 8곳 중 7곳이 이들 지역에 몰려있다. 경북 경산에 위치한 대구대는 일 년 새 신입생이 851명이, 경남 창원의 경남대는 823명이 줄었다. 원광대(전북·735명), 상지대(강원·651명), 가톨릭관동대(경북·609명), 대구가톨릭대(경북·502명)도 입학생이 많이 줄었다.

전문대 입학자 수는 지난해보다 13.1% 줄었다. 전문대의 위기는 서울도 피해 가지 못했다. 서울의 전문대에 입학하는 학생은 지난해보다 5.4% 줄었다. 다만 대전(-24.3%)·충남(-19.5%)·경기(-17.5%)와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이다. 경기도에는 장안대(-962명)·용인송담대(-523명)가, 대전에는 우송정보대(-608명) 등의 입학생이 대거 줄었다.

종로학원 오종운 평가이사는 "학령인구 추이를 고려해 보면 앞으로 2년 정도는 입학자 수가 정체 현상 보이다 현재 고1이 진학하는 2024년 대입 때 한 차례 감소하고 이후 증감을 반복하다 2033년부터는 가파르게 감소할 것"이라고 봤다.

대학 총장들 "인구감소로 위기…지원 늘려달라" 

이런 가운데 전국 대학 총장들의 모임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일까지 이틀간 부산에서 세미나를 열고 정부에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교육부 차관이 참석한 1일 세미나에서는 지방대 총장들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원광대 박맹수 총장은 "올해 신입생 충원율 79.9%라는 전대미문의 사태를 겪었다"면서 "지방 사립대 총장으로서 고등교육 정책이 국립·수도권·대형 대학 중심이라는 걸 실감했다"고 말했다. 대구대 김상호 총장은 "열악한 환경에 있는 지방 사립대에는 정부 지원이 강화돼야 하고, 우수한 명문 대학은 정부 지원이 제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인철 대교협 회장은 1일 개회사에서 "학령인구급감, 13년 동안 계속된 등록금 동결 등으로 대학의 생존과 생태계가 위협받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현재 6900억원 수준인 대학혁신지원사업비를 2조원 수준으로 늘려 달라고 했다. 대교협은 이날 대학 재정 확충을 위해 조세 제도를 개선하고 법제화를 하는 등 노력을 함께 하자는 결의문을 교육부에 전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