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분리수거해도 딸랑 30% 재활용? 수거트럭부터 틀렸다

열심히 분리수거해도 딸랑 30% 재활용? 수거트럭부터 틀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재활용 선별장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선별 과정을 거치고 있다. 왕준열PD

재활용 선별장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선별 과정을 거치고 있다. 왕준열PD

대한민국 가정과 사무실에서 배출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연간 323만톤. 이중 종량제 봉투에 담겨 버려지는 178만톤(55.1%)은 소각·매립된다. 나머지 145만톤(44.9%)만 재활용품으로 분리 수거된다.

[플라스틱 어스]③부활-플라스틱은 왜 재활용하기 어려울까

시민들이 분리 배출한 쓰레기는 제대로 재활용되고 있을까. 환경부에 따르면 선별장을 거쳐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은 분리수거된 물량의 절반 수준인 53.6%(연간 77만6000톤)에 그쳤다. 이 중 태워서 에너지로 쓰는 고형연료제품(SRF)를 제외하면 실제로 물질 형태로 재활용되는 양은 총 44만6000톤에 그친다.

가정에서 플라스틱을 열심히 분리배출해도 실제 폐플라스틱의 30.7%만 다시 플라스틱으로 '부활'한단 얘기다. 이렇게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취재팀은 가정에서 분리배출한 폐플라스틱이 어떻게 재활용되는 지 전 과정을 추적했다.

분리수거한 폐플라스틱 어떻게 될까.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분리수거한 폐플라스틱 어떻게 될까.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분리 배출해도 수거 차량에서 뒤섞여

서울 영등포구의 폐플라스틱 분리수거 현장. 강찬수 기자

서울 영등포구의 폐플라스틱 분리수거 현장. 강찬수 기자

투병 페트병만 따로 분리수거한 모습. 강찬수 기자

투병 페트병만 따로 분리수거한 모습. 강찬수 기자

지난달 19일 서울 영등포구의 한 아파트. 이날 오전 아파트 주민들은 커다란 마대자루에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나눠 담았다. 폐지·고철·유리 외에 라벨을 제거한 투명 페트병용 자루, 일반 플라스틱용  자루, 각종 비닐을 담은 커다란 봉지 8개가 눈에 띄었다.

수집업체 트럭에 담긴 폐플라스틱. 페트병과 일반 폐플라스틱을 다시 섞었다. 강찬수 기자

수집업체 트럭에 담긴 폐플라스틱. 페트병과 일반 폐플라스틱을 다시 섞었다. 강찬수 기자

하지만 이렇게 애써 분리 배출한 쓰레기는 운송 과정에서 뒤섞이기 일쑤다. 이날 정오 무렵 재활용품 수거 트럭이 도착해 대형 집게로 재활용품을 싣기 시작했다. 이 와중에 투명 페트병과 비닐 등 다른 플라스틱 재활용품이 뒤섞여 버렸다.

왜 이런 일이 생길까. 재활용 플라스틱 종류별로 운반 차량을 운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청한 재활용 업계 관계자는 “개별 아파트 단지별로는 플라스틱 재활용품 수거량이 많지 않고, 선별장까지 거리도 있기 때문에 운반 차량을 따로따로 마련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분리수거 물량 30%는 다시 소각장으로 

경기도 김포시 공공선별장에 모인 폐플라스틱이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2층으로 옮겨지고 있다. 강찬수 기자

경기도 김포시 공공선별장에 모인 폐플라스틱이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2층으로 옮겨지고 있다. 강찬수 기자

이처럼 불완전한 분리 배출은 플라스틱 재활용의 효율과 의미를 반감하고 있다. 지난달 11일 취재팀이 방문한 경기도 김포시 재활용수집소는 단독주택·원룸·빌라촌에서 수거한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곳으로 하루 평균 32톤을 처리한다.

수집소에 도착한 트럭들이 컨베이어 벨트 앞에 플라스틱을 쏟아내자 불도저가 플라스틱을 컨베이어벨트로 밀어냈다. 사람 키보다 높은 플라스틱 더미에서 컨베이어밸트가 플라스틱을 2층으로 운반했다.

김포시 공공선별장에서 작업자들이 종류별로 폐플라스틱 분리하고 있다. 강찬수 기자

김포시 공공선별장에서 작업자들이 종류별로 폐플라스틱 분리하고 있다. 강찬수 기자

2층 선별장 컨베이어밸트 양편엔 20여 명이 작업 중이었다. 페트병, ‘물렁이’(폴리프로필렌), 유리병, 우유 팩, 요구르트, 종이, 장난감 등 각자 맡은 물품을 손으로 골라냈다. 하나하나 골라낸 쓰레기는 작업자 옆 구멍을 통해 1층 적재함에 모였다.

원칙적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만 있어야 할 쓰레기 더미에서 금속 캔 같은 다른 종류의 재활용품이 자주 눈에 띄었다. 컨베이어벨트가 '자석 터널'을 통과하자 쓰레기 속 고철이 위로 쏟아 올라 자석에 붙었다.

이렇게 처리한 더미에도 일회용 플라스틱 컵 등 재활용이 안 되는 물품이 꽤 있었다.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는 종류에 따라 재질이 다르고, 사람 눈으론 식별조차 어려워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선별장에서 분리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 공장으로 보내기 위해 묶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강찬수 기자

선별장에서 분리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 공장으로 보내기 위해 묶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강찬수 기자

김포시 재활용수집소의 김흥섭 차장은 “주민이 비닐에 담아 내놓는 재활용품엔 이것저것 다 들어 있는 경우가 있어 봉투를 찢어 꺼내야 한다"며 "선별장에 온 물량 중 30% 이상은 재활용이 안 돼 소각장으로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재활용품으로 분리수거된 폐플라스틱·폐비닐의 절반에 가까운 46.4%가 선별장, 재활용업체에서 다시 쓰레기로 버려져 소각·매립되거나 시멘트 소성로에서 태워진다.

"페트병 재활용은 라벨과의 싸움" 

김포시 월곶면 페트병 재활용 공장에 도착한 폐플라스틱. 강찬수 기자

김포시 월곶면 페트병 재활용 공장에 도착한 폐플라스틱. 강찬수 기자

분리 수거된 투명 페트병도 미처 제거되지 않은 라벨과 이물질 탓에 재활용에 애를 먹는다. 취재팀은 페트병을 재활용하는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의 ㈜씨케이 김포지점을 방문했다. 공장 안엔 지게차가 압축한 페트병 덩어리를 나르고 있었다.

컨베이어벨트 앞에서 선 작업자 네 명은 손으로 페트병을 선별하고 있었다. 페트병은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물질 제거 장치로 들어가고, 원심력을 이용해 라벨을 떼어낸 뒤 분쇄기로 파쇄한다.

페트병 재활용 공장에서 작업자들이 재활용이 안 되는 이물질을 골라내고 있다. 강찬수 기자

페트병 재활용 공장에서 작업자들이 재활용이 안 되는 이물질을 골라내고 있다. 강찬수 기자

뚜껑까지 다 파쇄한 뒤 세척하는 데, 이때 재질이 다른 뚜껑·라벨을 분리된다. 페트병 조각을 헹구고 바람으로 건조한 뒤 모으면 ‘페트병 플레이크’가 정미소의 흰 쌀알처럼 부댓자루에 쌓인다.

페트병 재활용 공장에서 만든 플레이크(페트병 조각). 강찬수 기자

페트병 재활용 공장에서 만든 플레이크(페트병 조각). 강찬수 기자

업체 측은 페트병의 10% 정도가 라벨이나 이물질 탓에 재활용이 어렵다고 했다. 이 회사 권두영 대표는 “재활용이 잘 되려면 페트병이 깨끗하게 배출해야 하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 공장 라인 45m 전체가 페트병에 붙은 라벨과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물질이 담긴 페트병도 골치다. 권 대표는 "선별장에서 압축하다가 올리브 오일이 든 플라스틱병이 터져 다른 페트병들까지 기름이 묻어 재활용할 수 없게 된다”고 덧붙였다.

페트병 재활용 공장에서 생산한 플레이크. 강찬수 기자

페트병 재활용 공장에서 생산한 플레이크. 강찬수 기자

폐비닐 재활용 공장에서 생산한 펠릿. 플라스틱 제품 제조에 다시 사용된다. 강찬수 기자

폐비닐 재활용 공장에서 생산한 펠릿. 플라스틱 제품 제조에 다시 사용된다. 강찬수 기자

허술한 분리 배출은 폐비닐의 재활용에도 어려움을 준다.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의 청솔씨앤티 파주지점은 고양시의 공동주택 60만 세대가 배출하는 폐비닐을 가공해 플라스틱 조각(펠릿)으로 만들고 있다. 생활계 복합필름(폐비닐) 재활용 기술로 전국 최초로 특허를 받은 업체다. 생산된 펠릿은 플라스틱 재질의 가로수 보호판을 만드는 데 쓰인다.

공장에선 분쇄-세척-탈수-건조를 거친 비닐을 녹여 고무줄 모양으로 뽑아낸 다음 물에 담가 식히고 다시 잘라내고 있었다. 마치 방앗간에서 가래떡을 만드는 모습과 유사했다.

폐비닐 재활용 공장에서 폐비닐을 녹여 고무줄처럼 뽑아낸 다음 찬물에 담가 식혀 굳히고 있다. 강찬수

폐비닐 재활용 공장에서 폐비닐을 녹여 고무줄처럼 뽑아낸 다음 찬물에 담가 식혀 굳히고 있다. 강찬수

폐비닐 재활용 공장. 녹은 폐비닐이 고무줄처럼 뽑히고 있다. 강찬수 기자

폐비닐 재활용 공장. 녹은 폐비닐이 고무줄처럼 뽑히고 있다. 강찬수 기자

폐비닐 재활용도 사실상 '이물질과의 전쟁'이다. 이 회사 유창범 이사는 “재활용품으로 분리한 비닐 중 고무장갑, 기저귀, 생리대 등 재활용하지 못 하는 쓰레기가 약 35%나 된다”며 “살펴보면 닭 뼈나 음식물 쓰레기, 고추장·마요네즈가 묻은 비닐봉지도 나온다”고 말했다.

플라스틱 재활용의 활성화엔 정부, 지자체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업계 관계자들은 말했다. 폐비닐 중 깨끗한 비닐을 재활용해 가로수 보호대와 화단, 기와, 빗물 저금통을 제작하는 ㈜포우천개발의 남순우 대표는 “가로수 보호대 등으로 활용하고, 오래되면 다시 녹여 제품을 만들 수 있어 10번 이상 재활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기름을 만들어 태우면 된다”고 설명했다.

포우천개발의 남순우 대표가 폐비닐을 재활용해서 만든 화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강찬수 기자

포우천개발의 남순우 대표가 폐비닐을 재활용해서 만든 화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강찬수 기자

포우천 개발이 폐비질을 재활용해서 만든 제품들. 강찬수 기자

포우천 개발이 폐비질을 재활용해서 만든 제품들. 강찬수 기자

남 대표는 “플라스틱 재활용을 제대로 하려면 정부가 제품 규격을 마련하고, 업체는 재활용(GR) 마크를 획득하고, 지자체가 이런 제품을 구매하는 체제를 갖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폐비닐 재활용 공장에서 나온 쓰레기. 재활용할 수 없어 소각 매립된다. 강찬수 기자

폐비닐 재활용 공장에서 나온 쓰레기. 재활용할 수 없어 소각 매립된다. 강찬수 기자

최근엔 폐플라스틱이나 폐비닐을 재활용하는 다양한 기술이 나오고 있다. 지난 2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기름을 생산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제아무리 훌륭한 기술이 나와도 플라스틱 재순환 과정이 제대로 정착되지 않으면 재활용은 더딜 것이란 지적이다. 재활용업계 관계자는 “폐비닐과 폐플라스틱에서 기름을 얻으려면 무엇보다 선별과 세척이 잘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70년. 플라스틱이 지구를 점령하기까지 걸린 시간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플라스틱 사용이 급증하면서 플라스틱 쓰레기는 지구의 문제를 넘어 인류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에 중앙일보는 탄생-사용-투기-재활용 등 플라스틱의 일생을 추적하고, 탈(脫)플라스틱 사회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플라스틱 어스(PLASTIC EARTH=US)’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특별취재팀=강찬수 환경전문기자, 천권필·정종훈·김정연 기자, 왕준열PD, 곽민재 인턴, 장민순 리서처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