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독도함보다 성능 높인 마라도함 취역, 경항모 건조 한발 더 다가서

중앙일보

입력

해군의 두 번째 대형수송함인 마라도함(LPH, 14,500톤급) 취역식이 28일 오전 경남 진해 군항에 정박 중인 마라도함 비행갑판 위에서 진행됐다. 마라도함이 항해하는 모습. 사진 해군

해군의 두 번째 대형수송함인 마라도함(LPH, 14,500톤급) 취역식이 28일 오전 경남 진해 군항에 정박 중인 마라도함 비행갑판 위에서 진행됐다. 마라도함이 항해하는 모습. 사진 해군

해군은 28일 진해 기지에서 마라도함(LPH-6112) 취역식울 열었다. 취역식은 정식으로 해군 함정이 됐음을 선포하는 행사다. 전력화 훈련을 통한 작전수행능력평가를 거친 후 10월께 실제 작전에 배치된다.

기동함대 지휘 및 상륙전 지원 #기존 독도함보다 성능 더 높여 #경항모 건조 기술과 경험 축적

마라도함 취역으로 2030년대 초 도입을 추진하는 경항모에 한 발 다가섰다는 평가다. 마라도함은 2007년에 취역한 독도함(LPH-6111)보다 성능을 높인 배로, 이를 건조하면서 경항모 기술을 축적할 수 있었다. 해군 관계자는 “마라도함 취역은 경항모 운용 노하우 습득과 능력 확보에도 기여한다”고 말했다.

취역식은 마라도함 비행갑판 위에서 부석종 해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진행됐다. 취역식에 참석한 장병들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사진 해군

취역식은 마라도함 비행갑판 위에서 부석종 해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진행됐다. 취역식에 참석한 장병들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사진 해군

해군은 한반도 남방해역과 해상교통로 수호 의지를 담아 한국 최남단의 섬 마라도를 함명으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당초 이어도가 함명 후보군에 함께 올랐지만, 이어도는 섬이 아니라 암초라는 이유로 탈락했다. 앞서 해군은 대형수송함의 함명을 동ㆍ남ㆍ서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섬 이름을 붙이기로 결정했다. 독도함과 마라도함으로 이름을 붙인 배경이다.

마라도함 명판. 송봉근 기자

마라도함 명판. 송봉근 기자

마라도함의 무게는 1만 9000톤(만재수량 기준), 크기는 길이 199.4m에 폭 31.4m, 최대 속력은 약 시속 43㎞까지 가능하다.

규모가 큰 만큼 승조원 330여명과 해병대 병력 등 총 1000여 명의 병력과 장갑차, 차량 등을 실을 수 있다. 또 헬기와 공기부양정(LSF-II) 2대를 탑재할 수 있다.

지난달 21일 거제도 인근 해상 경찰청 헬기(KUH-1P/앞) 및 해양경찰청 헬기(S-92/뒤)가 함상 이착함 자격(DLQ) 유지를 위해 해군 독도함 비행갑판에 이·착함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해군

지난달 21일 거제도 인근 해상 경찰청 헬기(KUH-1P/앞) 및 해양경찰청 헬기(S-92/뒤)가 함상 이착함 자격(DLQ) 유지를 위해 해군 독도함 비행갑판에 이·착함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해군

규모로 보면 작은 항공모함급이다. 게다가 헬기를 운용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마라도함을 경(輕) 항모로 분류하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마라도함의 갑판은 내열성이 부족해 수직이착륙기가 뜨고 내릴 수 없다.

이웃 나라 일본도 헬기가 뜨고 내리는 이즈모급(DDH-183) 호위함을 갖고 있지만, 경항모로 분류하지 않는다. 다만, 지난해부터 카가함(DDH-184) 함께 경항모로 개조하기 위해 갑판 교체 등을 시작했다.

지난 9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열린 '2021 부산국제조선해양대제전'을 찾은 관람객들이 해군 부스에서 경항공모함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지난 9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열린 '2021 부산국제조선해양대제전'을 찾은 관람객들이 해군 부스에서 경항공모함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마라도함은 두 번째 대형수송함으로 독도함 이후 14년 만에 취역했다. 2014년 12월 한진중공업과 계약을 체결한 뒤 지난 약 7년 동안 함정 건조 및 탑재 장비 설치를 했다.

마라도함에 장착한 고정형 대공레이더는 회전하던 기존 레이더보다 대공표적 탐지율이 높아졌다. 덕분에 주변을 잘 살펴보며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어 입체 고속상륙작전이 가능하다.

비행갑판과 현측램프를 보강해 항공기 이ㆍ착함 및 탑재능력을 높였다. 미국의 오스프리급 수직 이착함 항공기도 뜨고 내릴 수 있다.

외국산을 쓰던 주요 장비를 성능이 향상된 국산 장비로 교체했다. 국내에서 개발한 탐색레이더 및 전투체계를 달았고 대함유도탄방어유도탄 ‘해궁’으로 함정을 보호한다.

박용한 기자 park.yongh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