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시선2035

더 다양한 사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채혜선 기자 중앙일보 기자
채혜선 사회2팀 기자

채혜선 사회2팀 기자

‘시선2035’ 칼럼을 쓰게 되면서 비슷한 연령대 필자들이 다른 언론에 기고하는 글을 많이 찾아봤다.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또래들의 생각이 궁금해서다. 그 가운데 특히 마음에 오래 남았던 것은 “더 다양한 사람의 글을 보고 싶다”는 내용의 글이다.

여기에는 “언론이 성별·학력·지역·나이·직업·경제력 등 다양한 범주에 속한 시민의 글을 자주 보여줘야 한다”는 주장이 담겼다. “젊은 엘리트의 목소리 말고 당사자의 이야기는 또 다른 힘을 가진다”는 이유에서다. 필자 주장대로 낯선 타인이 직접 들려주는 진솔한 경험은 사회에 울림을 주는 묵직한 한방이 될 수 있다.

이 글을 본 뒤 ‘다양한 범주에 속한’ 사람이 아닌 내가 2030의 시선을 대변한다며 신문에 글을 쓸 자격이 있는지를 돌아보게 됐다. 청년 세대 문제를 조명한 책 『세습 중산층 사회』에 따르면 “90년대생은 출신 학교, 직업, 소득, 자산 나아가 결혼 등 사회적·문화적 경험에 이르기까지 다중의 불평등을 경험한다”고 한다. 그 불평등을 조금이라도 이해하는 사람일까. 당장 책에서 그 예로 설명된 “20대 내부에서 ‘주변부’를 형성하는 지방대생과 고졸자”의 삶도 잘 모르는데 말이다.

‘박탈감닷컴’ 접속 화면. [박탈감닷컴 캡처]

‘박탈감닷컴’ 접속 화면. [박탈감닷컴 캡처]

청년 세대에 속하지만 단지 나잇대만 운 좋게 맞아떨어졌을 뿐이라는 반성이 종종 밀물처럼 밀려왔다. 현재 20대가 느끼는 고단함을 공감한다고 하기에는 나는 그들보다 좋은 여건에 놓여 있는 것 같다. 나도 그땐 힘들었지만, 이미 지나온 터널이다. 이런 내가 어찌 ‘내 생각=2030의 마음’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까. 항상 부끄러웠다.

25세 대학생인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의 임명에 청년들의 아쉬운 소리가 쏟아지는 이유도 이와 비슷할 것이다. ‘단편적’인 정치 이력만 있는 그가 다중적이고 복잡한 청년들의 세계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겠냐며 의문을 제기하는 이가 많다.

졸업한 대학교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후배들은 “정치적 감투 몇 개만 거친 그가 어떻게 우리 마음을 알 수 있냐”고 불만을 나타냈다. 대학생이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박탈감닷컴’이라는 사이트를 만들기도 했다. “청년 비서관이면 청년의 힘듦을 대변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면서다. 온라인에서는 “준비된 청년이 아니라 여의도를 서성거리던 청년이 올라왔다”는 냉소적인 반응도 나왔다.

더울 땐 더운 데서 추울 땐 추운 데서 일하는 사람, 중소기업에 취업해 ‘청년내일채움공제’를 2년 동안 꽉 채워본 사람, 지방대 졸업생, 고졸…. 어른들이 이참에 큰맘 먹고 2030에 주목해준다고 한다면 ‘다양한 범주에 속하는’ 그들의 목소리를 먼저 들어주길 바라는 건 욕심인 걸까. ‘더 다양한 사람’을 언론에서, 정부에서 보고 싶다.

채혜선 사회2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