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죽음 부르는데…바다거북, 맛없는 플라스틱 먹는 진짜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애니띵

애니띵’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머리에 비닐을 뒤집어 쓴 바다거북. 그린피스

머리에 비닐을 뒤집어 쓴 바다거북. 그린피스

바다를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 때문에 가장 큰 피해는 보는 해양생물이 있습니다. 멸종위기종인 바다거북인데요. 폐그물에 걸리거나 비닐 같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고 목숨을 잃을 위험이 가장 높은 해양생물로 꼽히죠.

[애니띵]당신이 몰랐던 동물의 비밀 ⑤바다거북

왜 바다거북은 플라스틱을 먹는 걸까요?

#사람들이 잘 모르는 바다거북의 비밀,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바다거북, 플라스틱 냄새에 끌린다

지난해 12월 인도네시아 발리 해변에 플라스틱 쓰레기 사이로 바다거북 한 마리가 죽어 있다. EPA=연합뉴스

지난해 12월 인도네시아 발리 해변에 플라스틱 쓰레기 사이로 바다거북 한 마리가 죽어 있다. EPA=연합뉴스

바다거북은 주로 해파리나 정어리 등을 먹고사는데요. 이 과정에서 바다로 떠밀려온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이로 오인해 삼킨 뒤 질식사하는 사례가 종종 보고됩니다. 플라스틱이 바다거북에게 치명적인 가장 큰 이유는 위장 속 케라틴 돌기 때문인데요. 아래쪽을 향한 돌기는 삼킨 플라스틱을 다시 뱉을 수 없게 합니다.

플라스틱이 문제가 되는 건 단순히 먹이처럼 보이는 게 아니라 바다에 버려진 뒤에 시간이 지나면 먹이와 비슷한 냄새를 풍기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는데요.

지난해 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조지프 팔러 플로리다대 박사 등 연구진은 바다거북이 플라스틱을 먹는 건 플라스틱 표면에 들러붙은 미생물 등이 유발하는 냄새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실험에서 바다거북이 냄새를 맡기 위해 물 밖으로 코를 내밀고 있다. Joseph B. Pfaller

실험에서 바다거북이 냄새를 맡기 위해 물 밖으로 코를 내밀고 있다. Joseph B. Pfaller

연구진은 붉은바다거북이 있는 수조에 새 플라스틱 조각과 바다에 담가 생물이 붙은 플라스틱 조각, 먹이 등에서 풍기는 냄새를 각각 불어넣는 실험을 진행했는데요. 바다거북은 새 플라스틱에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먹이와 생물이 붙은 플라스틱에는 냄새를 맡기 위해 3배 이상 오랫동안 물밖으로 코를 내밀었습니다.

팔러 박사는 “해양 플라스틱은 해파리처럼 보이는 비닐봉지나 거북의 코를 뚫는 플라스틱 빨대보다 훨씬 복잡한 문제”라며 “모든 플라스틱 쓰레기가 거북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엔 바다거북의 근육에서도 플라스틱 물질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는데요. 스페인 국립연구위원회 연구진이 2014~2017년 카탈루냐 해안과 발레아레스 제도에서 발견한 붉은바다거북 사체 44구를 분석한 결과, 근육 1g당 6~100ng(나노그램)의 플라스틱이 검출됐습니다. 연구진은 바다거북의 근육에서 발견된 플라스틱 화합물이 바다거북의 번식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따뜻한 물 좋아하는 바다거북, 하수관에 머리 박기도

필리핀 보라카이의 하수관에 머리를 대고 있는 바다거북. 박부건씨 제공

필리핀 보라카이의 하수관에 머리를 대고 있는 바다거북. 박부건씨 제공

바다거북은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능력이 없는 변온동물입니다. 기온이 영상 10도 밑으로 떨어지면 활동력을 잃어버리고 기절합니다. 따뜻한 물을 좋아하는 이유입니다.

2019년 필리핀 중부의 휴양섬 보라카이에서 하수관에 머리를 박고 있는 푸른바다거북 한 마리가 발견됐습니다. 하수관에서 흘러나오는 오수의 온도가 바닷물보다 따뜻했기 때문에 머물러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반면, 올해 초 겨울 폭풍으로 기온이 영하 22도까지 떨어진 미국 텍사스주에서는 추위로 인해 기절한 3천500여 마리의 바다거북이 구조되기도 했습니다.

기온은 바다거북의 번식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바다거북의 알에서 부화하는 개체는 온도에 따라 다른 성별을 가집니다. 29.7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암컷으로, 낮은 온도에서 수컷으로 부화합니다. 때문에 지구 온난화는 암컷의 개체 수를 증가시킵니다. 성비 불균형이 심해지면 번식이 어려워지며 유전자 풀도 좁아집니다.

모든 바다거북 종은 국제자연보전연맹 IUCN 적색 목록의 멸종위기종에 속해 있는데요. 해양수산부는 국내 연안에 주로 출현하는 바다거북 4종을 보호하기 위해 2012년부터 바다거북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했습니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영상=왕준열PD·최경헌 인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