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연간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2만톤”…부산에 재활용 연구단지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 부산에 플라스틱 재활용 연구단지 조성

거문도해수욕장에 밀려온 플라스틱 쓰레기들. 중국산 페트병도 보인다. 왕준열PD

거문도해수욕장에 밀려온 플라스틱 쓰레기들. 중국산 페트병도 보인다. 왕준열PD

최근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처리와 이로 인한 환경문제가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정부가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재활용품 사업화를 위한 연구단지를 부산에 조성한다.

부산시는 정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는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개발 등을 위한 연구단지인 ‘자원순환(post-플라스틱) 클러스터’를 유치했다고 23일 밝혔다.

 유럽 등 선진국과 글로벌 기업이 플라스틱을 단순 소각하거나 매립하지 않고 하나의 자원으로 다시 재활용하는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자 정부는 국가사업으로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에 착수하기 위해 자원순환 클러스터 공모사업을 추진해왔다. 이에 부산시가 공모에 응하고 최근까지 환경부와 대상부지 등을 놓고 세부 협의를 거쳐 사업대상지로 선정됐다.

 466억 투자, 2022년 착공해 2023년 완공

자원순환 클러스터 개념도. 제공:부산시

자원순환 클러스터 개념도. 제공:부산시

 현 정부 ‘그린뉴딜’과 ‘2050 탄소 중립 전략’의 하나로 추진하는 자원순환 클러스터는 부산 강서구 구량동 일대 국제 산업물류산업단지 9공구(3만2000㎡)에 들어선다. 정부가 2023년 완공을 목표로 466억원을 들여 올 연말까지 기본계획 수립과 설계에 들어가 내년 착공한다. 정부가 사업을 직접 수행하고 운영을 맡는다.

 이 클러스터가 완공되면 재활용기술 연구개발(R&D), 실증·실험, 신기술 검·인증, 창업센터 같은 사업화 지원 시설 등을 갖춰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개발과 사업화 전 과정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로봇 선별장을 갖추고 열분해로 나오는 화학물질의 재활용을 위한 실증시설 등을 갖춘다.

 부산시는 이 클러스터 조성을 계기로 환경 분야 대학·연구소의 고급인력, 부·울·경 지역 화학·기계 분야 산업단지와 연계한 산학캠퍼스를 구축해 벤처창업 등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플라스틱 대체소재 개발 등에도 나설 계획이다.

정부 자원순환 클러스터 위치도. 제공:부산시

정부 자원순환 클러스터 위치도. 제공:부산시

 지난해 말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발간한 ‘해양 유입 하천 쓰레기 관리체계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연간 약 9만9000톤(t)의 하천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부는 하천을 통해 바다로 가는 쓰레기의 70%는 나무와 풀이고, 플라스틱은 20% 안팎으로 추정한다. 연간 약 2만톤 정도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유입된다는 얘기다.

플라스틱의 운명.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플라스틱의 운명.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중앙일보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지구의 문제를 넘어 인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다고 판단, 탈 플라스틱 사회 대안을 모색하는 플라스틱 어스(PLASTIC EARTH) 캠페인에 나섰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