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천공항 4활주로 ‘쉬쉬’ 개통…가덕도 필요없단 말 나올까봐?[뉴스원샷]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뉴스 ONESHOT’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17일부터 운영을 시작한 인천공항 제4 활주로. [뉴스 1]

17일부터 운영을 시작한 인천공항 제4 활주로. [뉴스 1]

 강갑생 교통전문기자의 촉: 공항과 정치

 지난 17일 인천국제공항에는 아주 의미 있는 일이 있었습니다. 2018년 착공한 제4 활주로가 이날 0시를 기해 운영을 시작한 건데요. 제4 활주로는 길이 3750m, 폭 60m 규모로 모두 4121억원이 투입됐습니다.

 전 세계 주요 공항 가운데 4개 이상 활주로를 갖춘 곳은 스키폴공항(네덜란드), 프랑크푸르트공항(독일), 푸동공항(중국), 하네다공항(일본) 등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인천공항이 대형 여객기가 자유롭게 뜨고 내릴 수 있는 활주로 4개를 갖췄다는 건 외국 주요 공항과 견주어도 경쟁력에서 전혀 손색이 없다는 걸 의미하는 일이기도 한데요.

 인천공항, 17일 네번째 활주로 오픈  

 제4 활주로는 인천공항 4단계 확장사업의 핵심과업입니다. 총 4조 8000억원이 투입되는 4단계 확장사업은 제4 활주로 건설과 제2 여객터미널 확장 등이 주요 과제인데요.

 2024년께 사업이 마무리되면 인천공항은 항공기 운항이 연간 50만회에서 60만회로 증가하고, 여객 수용 능력도 7700만명에서 1억 600만명으로 대폭 늘어나게 됩니다. 이 정도면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공항이 되는 겁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 핵심과업 중 하나가 성공적으로 먼저 마무리되었다는 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이후 새롭게 도약을 준비하는 인천공항으로서는 상당히 뜻깊은 장면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례적으로 기념행사 없이 개통  

 그런데 제4 활주로 개통이 정말 너무도 조용하게 지나갔습니다. 예전 같으면 개통 행사도 치르고, 대국민 홍보도 제법 했을 겁니다. 2018년 말 제4 활주로 착공식을 성대하게 치른 것에 비하면 이상하리 만치 조용한 건데요.

 개통 전날인 16일에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이 인천공항을 방문해 신규 활주로를 돌아보고, 코로나 19 방역태세를 점검한 게 그나마 행사라면 행사였을 뿐입니다.

지난 16일 노형욱 국토부 장관이 인천공항 제4활주로를 방문,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공항사진기자단]

지난 16일 노형욱 국토부 장관이 인천공항 제4활주로를 방문,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공항사진기자단]

 이렇게 조용하게 활주로를 개통한 건 국토부의 지침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국토부 관계자는 "코로나 19 탓에 많은 사람이 모이는 행사를 하는 건 부적절하고, 현재 인천공항도 코로나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걸 고려해서 차분히 진행하자는 취지였다"고 말합니다.

 국토부 "코로나 고려해 차분하게"  

 하지만 인천공항 안팎에서는 결이 다른 얘기들이 많이 나옵니다. 국토부가 현재 사전타당성검토(사타)가 진행 중인 가덕도 신공항을 의식해서 제4 활주로 개통행사를 막았다는 겁니다.

 "인천공항의 규모가 더욱 커졌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 굳이 가덕도에 막대한 돈을 들여서 영남권 신공항을 지을 필요가 있겠느냐는 논란이 일지 않을까 우려한 것 같다"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는 모양새입니다.

 게다가 이례적으로 국토부나 인천공항에서 신규 활주로 개통을 알리는 공식 보도자료조차 나오지 않았던 점을 고려하면 이 같은 해석에 더 힘이 실리는데요. 익명을 요구한 공항 관계자는 "국토부에서 보도자료도 내지 말라고 해서 참고자료만 준비한 거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가덕도 신공항 조감도.[자료 부산시]

가덕도 신공항 조감도.[자료 부산시]

 "정부가 가덕도 의식해 홍보 막아" 

 또 다른 관계자도 "국토부에서 (제4 활주로를) 홍보하지 말라고 했다고 들었다"며 "비즈니스 관점의 일까지 너무 정치적으로 고려하는 것 같아 답답하다"고 토로합니다.

 물론 국토부는 이런 해석을 부인합니다. 그러나 전후 사정을 살펴보면 국토부의 설명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적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공항 현안에 정치적 고려가 개입됐다는 의혹을 떨치기 쉽지 않다는 건데요. 다수의 지방공항 건설처럼 공항 정책에 정치적 논리가 개입되면 대부분 실패작으로 끝났던 기억이 우리에겐 많습니다. 행여라도 이런 우(愚)를 다시 범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