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점유율 하락에 리콜까지…테슬라, 되는 일이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글로벌 전기자동차 시장을 견인했던 테슬라의 입지가 급격히 쪼그라들고 있다. 시장 점유율은 급락하고, 품질 관리에도 이상이 생겼다. 주가도 하락세다. 장기적으로 수익성이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왔다.

자동차 메이저들과 전기차 경쟁 #점유율 떨어지며 주가 하향곡선 #볼트조임 불량으로 6000대 리콜 #탄소배출권 수익도 줄어들 전망

제조사별 유럽 전기차 판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제조사별 유럽 전기차 판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2일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에 따르면 지난 4월 테슬라의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11%로 전월(29%) 대비 18%포인트나 하락했다. 특히 미국과 더불어 전기차 3대 시장으로 꼽히는 서유럽과 중국에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조사업체 슈미트 오토모티브 리서치에 따르면 최근 12개월(2020년 5월~2021년 4월)간 독일을 포함한 서유럽 18개국에 등록된 테슬라 차량은 10만2500대다. 같은 기간 폴크스바겐의 순수전기차(BEV)는 20만6400대가 등록됐다. 2년 전과 비교하면 완전히 뒤집힌 결과다. 2019년 테슬라는 10만9700대, 폴크스바겐 BEV는 4만6500대를 팔았다.

또 다른 시장조사업체 EV볼륨즈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서유럽 전기차 시장에서 판매 1위는 폴크스바겐(21만6009대)이었다. 다음은 르노·닛산 얼라이언스(15만6494대)·스텔란티스(11만2640대)·현대차(10만9095대) 순이다. 테슬라는 5위(10만3346대)에 그쳤다.

중국에서도 신통치 않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테슬라 모델3은 올해(1~4월) 중국 시장에서 7만3296대를 팔아 우링홍광 미니(12만5925대)에 크게 뒤졌다. 우링홍광 미니는 GM과 상하이차·우링의 합작법인인 만든 초소형 전기차다.

올해 중국시장 모델별 전기차 판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올해 중국시장 모델별 전기차 판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또 중국 시장에서 생산·판매되는 모델Y(2만1829대)는 BYD의 한(2만7101대), 장성기차의 오라 R1(2만2371대), 체리차의 eQ1(1만8990대)에도 밀렸다. 특히 지난 4월 테슬라의 중국 내 판매량은 전달보다 27% 급감했다. 테슬라는 ‘오토 파일럿’과 같은 반자율 주행, 소프트웨어 실시간 업데이트(SOTA) 등 기존 완성차 업체보다 앞선 기술을 통해 전기차 시장을 선점했다. 그러나 ‘단차(차체 이음새의 틈)’ 등 고질적인 품질 문제, 부실한 사후관리(AS), 다른 브랜드보다 비싼 가격 등이 발목을 잡고 있다.

최근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암호화폐 관련 잇단 구설에 오르면 테슬라에 대한 전 세계 소비자의 반감도 커졌다는 분석이다.

주가도 맥을 못 춘다. 크레디트스위스의 전기차 시장 보고서가 공개된 2일 테슬라의 주가는 장중 4% 이상 떨어졌고, 마감 직전 낙폭(3%)을 줄여 간신히 600달러 선을 지켰다. 올해 들어 테슬라 주가의 하락 폭은 14%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날 테슬라는 브레이크를 잡아주는 장치의 볼트 조임 불량을 이유로 전기차 5974대를 리콜하겠다고 발표했다.

테슬라에 드리운 먹구름은 이뿐만이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정책이 정착하게 되면 테슬라가 수익 감소에 직면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마크 필즈 포드 전 CEO는 2일 CNBC 인터뷰에서 “그동안 테슬라는 자동차 판매보다 탄소배출권 매매로 더 큰 수익을 벌어들였다”며 “향후 전 세계적으로 저탄소 정책이 확대되면 탄소배출권으로 얻는 수익이 줄게 될 것이고, 그 결과 테슬라는 수익에 대한 더 큰 압박에 시달리게 돼 차량 가격을 올리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영주·홍지유 기자 humanes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