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분수대

크랩 케이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박해리 기자 중앙일보 기자
박해리 정치국제기획팀 기자

박해리 정치국제기획팀 기자

크랩 케이크는 게의 살을 발라 우유·달걀 등을 섞어 튀기거나 구워낸 요리다. 여기서 케이크란 떡을 영어로 라이스 케이크(rice cake), 어묵을 피쉬 케이크(fish cake)라고 부르듯 재료를 갈아 만든 반죽을 굽거나 튀긴다는 의미다.

미국 체서피크 만은 대표적인 게 생산지다. 북쪽은 메릴랜드주에, 남쪽은 버지니아주에 걸쳐 있다. 냉장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기 전인 1900년대 초까지만 해도 게는 주로 이 지역 주변에서 소비됐다. 게 요리가 미국 전역에 퍼진 건 냉장 기술이 발달한 1920년대 이후다.

크랩 케이크의 유례는 다양하지만, 아메리카 원주민에서부터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그중 유력하다. 체서피크 만에 살던 원주민들은 게 껍데기와 살을 분리해 여러 재료와 섞어 구워 먹었다. 이후 정착민들도 원주민의 방식을 차용해서 게 요리를 즐겼다고 한다. 크랩 케이크라는 용어가 공식화된 것은 1930년 요리사 크로스비 게이지가 자신의 요리책에 게살과 향신료·빵가루를 섞은 레시피를 체서피크 만 인접 도시 이름을 붙여 ‘볼티모어 크랩 케이크’라고 소개하면서부터다. 이 책은 뉴욕 세계 요리책 페어에 선정돼 명성을 얻었다. 이후 메릴랜드 지역에서 이 레시피를 재창조한 게 요리를 적극적으로 판매하며 ‘메릴랜드 크랩 케이크’는 고유명사처럼 굳어져 미국 전역에 퍼졌다. 역사가 짧은 탓에 전통 깊은 요리를 찾기 쉽지 않은 미국에서 이 정도 유서 있는 요리는 드물다.

방미한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 시각) 조 바이든 대통령과 37분간 오찬 겸 단독 정상회담을 했다. 메뉴는 바로 메릴랜드 크랩 케이크였다. 해산물을 좋아하는 문 대통령의 식성을 고려한 메뉴라고 한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20분간 햄버거 오찬을 한 것에 비하면 괜찮은 대접이었다는 평가다.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 대해 “최고의 순방이었고 최고의 회담이었다”고 말했다. 여권에서도 “역대급” “건국이래 최대 성과”라는 극찬이 나왔다.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등 성과도 많은 게 사실이다. 하지만 여전히 일반 국민을 위한 시급한 백신 확보라든가 대북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미지수다. 방미 성과에 대한 자화자찬보다, 1년 남은 문 대통령의 임기 중 풀어야 할 숙제를 다시금 확인한 것은 아닐까. 크랩 케이크 접대에 만족만 할 수 없는 이유다.

박해리 정치국제기획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