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미 백신 파트너십 구축 의미는...“세계 백신 부족상황에 한국이 핵심 역할”

중앙일보

입력

한ㆍ미 양국이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4종을 생산하게 됐다. 당장 국내 백신 공급에 도움이 되는건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국내 백신 생산 역량을 쌓는데 보탬이 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 위탁 생산 계약 MOU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문 대통령,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연합뉴스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 위탁 생산 계약 MOU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문 대통령,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연합뉴스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은 23일 브리핑에서 “한ㆍ미 양국은 전 세계 코로나19 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기 위해 백신의 신속한 보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포괄적인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강 차관은 “한국은 이미 아스트라제네카(AZ), 노바백스, 스푸트니크V 등을 생산해 전 세계에 공급하며 글로벌 백신 생산기지로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라며 “한국의 백신 제조ㆍ생산 역량과 미국이 가진 백신기술ㆍ원부자재 공급능력을 결합한다면 코로나19 백신 생산 및 공급을 획기적으로 확대해 전 세계 백신 수급문제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ㆍ미 양국은 백신 생산능력 확대, 원부자재 등 백신 공급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으로 대응하고, 백신 개발·생산과 관련 과학ㆍ기술협력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미국이 정부 차원의 백신 파트너십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23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삼성바이오로직스 건물이 우뚝 서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는 전날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백신 파트너십' 행사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연합뉴스

23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삼성바이오로직스 건물이 우뚝 서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는 전날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백신 파트너십' 행사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연합뉴스

파트너십 구축으로 당장 국내에 백신이 추가로 도입되거나 조기에 들여오는 등의 눈에 띄는 효과는 없다.  백신 위탁생산 공정은 원료를 가공해 백신 원액으로 만들어내는 원료의약품(DSㆍDrug Substance) 생산과 백신 원액을 공급받아 병에 담고 라벨을 붙이고 뚜껑을 씌우는 완제의약품(DPㆍDrug Product) 생산으로 나뉜다. 이번에 확정된 모더나와 삼성바이오로직스 간의 계약은 DP 생산만 위탁하는 것이다. 모더나는 스위스 제약사 론자 한 곳에만 DS 계약을 맡겼다.

국내에서 생산된다고 마음대로 가져다 쓸 수 있는게 아니다. 모더나는 한국에서 생산되는 백신을 ‘미국 외 지역’에 공급할 예정이다. 주로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에 뿌려질 전망이다. 강 차관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기술이전, 시험생산 등을 거쳐서 3분기부터 본격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고, 수억 회분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국내에 도입되는 모더나 백신은 위탁ㆍ생산시기와 상관없이 계약된 일정에 따라 도입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 국내 제약사 관계자는 “백신 병입(병에 담는) 공정이 단순할 것 같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게 아니다. 무균 시설에서 상당한 기술력을 갖춰야 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정은영 복지부 백신도입사무국장은 “DP 위탁계약 체결을 통해 국내에서 mRNA백신을 위탁생산하는 기반을 처음으로 저희가 갖췄다. 장기적으로 mRNA 백신(기술)을 확보하는 데 상당히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바이러스 벡터(AZㆍ스푸트니크V),합성항원(노바백스)에 이어 mRNA(모더나) 백신까지 3가지 방식의 백신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나온다. 정부 내부에선 백신 허브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있다. 강 차관은 “글로벌 백신 부족상황에서 인류의 일상회복을 위한 코로나19 조기종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첨단기술과 한국의 제조생산을 능력의 파트너십으로 글로벌 보건위기에 공동 대응한다는 큰 의미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글로벌 백신 부족상황의 타개에 한국이 중요하고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됐고,  K-방역에서 글로벌 백신허브국가로 발전하는 데 새로운 계기가 됐다”라고 말했다.

국내 공급 AZ 백신의 상당부분을 안동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생산한 물량을 당겨오는 것처럼 모더나 역시 국내 생산-국내 접종할 수 있게 돼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해질 것이란 기대도 있다. 정은영 국장은 “백신 유통의 효율성 측면에서 국내생산 물량으로 국내에 공급하는 긍정적인 효과,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백신수급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김윤 서울대의대 교수(의료관리학 교실)는 “현재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는 없지만 위탁생산 과정에서 기술이전이 조금씩 이뤄질 것이고, 장기적으로 국산 백신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거라 본다”라며 “과거 제조업이 OEM(위탁제조)하다가 우리 기술로 만든 제품을 생산하게 됐듯, 상당한 과학기술 격차가 있는 만큼 백신 분야도 비슷한 길을 걸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