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혈연·지연에 '땅 산 인연' 어필…'이건희 미술관' 구애 전쟁 [뉴스원샷]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뉴스 ONESHOT’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컬렉터 이건희의 기증품. [일러스트=박용석]

컬렉터 이건희의 기증품. [일러스트=박용석]

‘이건희 미술관’을 유치하려는 지자체의 경쟁이 점입가경입니다. 삼성가의 출생지와 혈연·지연에 ‘인연론’까지 등장했습니다. 아직 윤곽조차 없는 미술관에 이처럼 열을 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역경제·관광 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지만 과잉경쟁에 대한 우려가 벌써부터 나옵니다.

'키워드: 이건희 미술관'

미술관 경쟁은 지난달 28일 이건희 회장 유족 측이 미술품 기증의사를 밝히면서 촉발됐습니다. ‘이 회장 소유의 고미술품과 세계적 서양화 작품 등 2만3000여점을 기증하겠다’는 말에 전국이 들떴습니다.

이튿날 나온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는 유치경쟁에 불을 당겼습니다. “이 회장의 기증 정신을 살리고 좋은 작품을 국민이 감상할 수 있도록 ‘이건희 컬렉션’을 전시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방안을 검토하라’는 취지의 말이었습니다.

이중섭의 흰소. 연합뉴스

이중섭의 흰소. 연합뉴스

결론부터 말하면 이건희 미술관은 아직 입지는 물론이고 밑그림도 없는 단계입니다. 사실 미술관이 실제 만들어질 지조차 불투명 합니다. 하지만 이에 아랑곳 않고 국내 각 지자체와 미술계에선 이미 뜨거운 감자가 됐습니다.

이건희 미술관을 첫 언급한 건 미술계 입니다. 미술인 100여명이 “삼성가에서 기증한 근대미술품을 한곳에 모아 국립 근대미술관을 건립해야 한다”고 지난달 30일 성명을 낸 겁니다. 입지로는 서울 송현동 문화공원 부지와 세종시로 이전한 행정부가 자리했던 정부서울청사를 꼽았습니다.

미술계 주장은 방방곡곡에 기름을 끼얹은 형국이 됐습니다. “서울에 미술관이 들어서야 한다”는 주장에 지방 지자체들이 들고 일어난 겁니다. 부산시와 세종시·광주광역시·대구시·수원시·용인시·진주시·의령군 등은 “균형발전·문화분권 차원에서 지방에 와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지방 유치”라는 화두를 공론화한 건 박형준 부산시장 입니다. 지난 2일 페이스북을 통해 “안 그래도 서울 공화국이라는 얘기가 나온다”는 돌직구를 던졌습니다. 지난 13일에는 “우리나라 문화시설 2800여개 중에 36%, 미술관은 200개 중 50% 이상이 수도권에 편중돼 있다”고 재차 꼬집었습니다. 문화예술 균형 발전이나 문화 분권 차원에서 이건희 미술관을 봐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개인소장 미술품. 뉴스1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개인소장 미술품. 뉴스1

경남 의령군의 러브콜은 보다 구체적입니다. 지난 12일 의령군 정곡면에서는 ‘호암 이병철대로’라는 명예도로명이 만들어졌습니다. “정곡면 출신인 이병철 회장의 기업가 정신을 기리기 위한 것”이라는 게 의령군 설명입니다. 의령읍 무전리와 중교리 사이에는 이날 ‘삼성 이건희대로’도 생겼습니다.

전남 여수는 ‘인연론’을 들고 나왔습니다. “생전에 이건희 회장이 부동산을 샀을 정도로 애착을 갖던 곳이 여수”라는 주장입니다. 이 회장이 2006년 여수 소라면 일대에 ‘하트’ 모양 무인도 등 6만2000㎡의 부동산을 매입한 인연을 미술관 유치와 연계한 겁니다. 여수시는 2012년 엑스포가 열린 여수세계박람회장 부지를 미술관 적격지로 꼽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술품을 기증한 삼성 측의 뜻을 살리기 위해서라도 명확한 로드맵부터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아무런 기준도 없이 전국 각지에서 출혈경쟁을 하다보면 지역간 갈등이 불거질게 불을 보듯 뻔해서 입니다. 지역 발전을 위한 유치전략도 좋지만 삼성가의 기부 취지가 무엇인지부터 생각해볼 대목입니다.

최경호 내셔널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