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삼성이 美 19조 투자 신중한 이유 “반도체는 신도 몰라서?” [뉴스원샷]

중앙일보

입력

뉴스 ONESHOT’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시에 운영 중인 삼성오스틴반도체(SAS) 건물 외관. 고용 인력은 3000여 명, 지난해 3조9000억원대 매출을 기록했다.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시에 운영 중인 삼성오스틴반도체(SAS) 건물 외관. 고용 인력은 3000여 명, 지난해 3조9000억원대 매출을 기록했다.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170억 달러(약 19조1700억원)를 투입해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다. 현 텍사스주 오스틴공장 인근에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라인을 건설해 2024년 가동 목표라는 게 시장의 예측이다.

키워드: 삼성전자 미국 파운드리 증설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에서 “최첨단 반도체와 전기차·배터리 분야에서 미국과 투자 협력을 강화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현대차,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4대 그룹은 이 자리에서 미국에 394억 달러(약 44조4200억원) 규모의 투자계획을 내놨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1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반도체 화상회의를 열고 국내 기업으론 유일하게 삼성전자를 초청했다. 말이 초청이지 “미국에 투자해 달라”는 압박이었다. 삼성은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20일 지나 러만도 미국 상무부 장관이 주재한 반도체 회의에도 초대받았다.

하지만 이때마다 “투자 규모·시기가 결정된 바 없다”며 조심스러운 반응이었다. 삼성은 이날 오전(한국시간) 구체적인 미국 투자계획을 공개하지 않았다.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은 “(미국 투자 관련해) 좋은 소식이 있을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삼성전자는 왜 이렇게 신중한 행보를 보이는 것일까. 이번 미국 파운드리 투자는 삼성전자의 단일 해외 프로젝트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반도체 업계에선 “신규 라인은 극자외선(EUV) 노광장비가 적용된 5나노 공정이 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예상한다.

삼성전자의 고위 임원과 나눴던 이야기 한 토막을 소개한다. 그는 최근 현역에서 물러났다.

- 삼성은 과감한 투자를 앞세워 경쟁사와 격차를 허용하지 않았다. 투자 원칙은 무엇인가.
“손에 (투자 자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것도 충분해야 한다. 전 재산을 한 군데 올인(다걸기)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면서 미래 성장동력을 찾는 것이다.”

- 반도체 투자는 어떻게 결정하나.
“반도체 경기는 신(神)도 모른다. 반도체 담당 중역들은 ‘(미래가) 잘될 거’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거는 (그들이) 반도체를 맡고 있으니까 하는 얘기다. 삼성은 시장의 큰 흐름을 본다. 수익이 난다고 믿을 때 수십조원을 투자한다.”

지난해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파운드리 규모는 808억 달러(약 91조원), 비중으로는 16.5%였다. 대만 TSMC가 점유율 56%로 절대 강자다. 삼성은 17%다. 삼성전자는 지난 13일 2030년까지 171조원을 투자해 시스템 반도체에서 세계 1위에 오르겠다고 밝혔다. 2019년 4월 발표했던 133조원보다 38조원 늘었다.

삼성전자 해외 반도체공장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삼성전자,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삼성전자 해외 반도체공장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삼성전자,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미국 투자는 기회요인이기도 하다. 미국은 강도 높게 압박도 해왔지만, 삼성전자가 필요하기도 하다. 에릭 슈밋 전 구글 회장이 의장을 맡고 있는 ‘인공지능국가안보위원회(NSCAI)’는 지난 2월 미국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파운드리에서 (미국 기업의) TSMC 의존이 과도하다”고 진단했다. 심지어 “중국이 대만을 흡수할 수 있다”며 “대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 파운드리 중 7나노 이하 공정이 가능한 회사는 TSMC와 삼성뿐이다.

다만 ‘과잉 투자’라는 리스크가 있다. 삼성은 현재 30조원을 들여 경기도 평택에 P3라인을 건설 중이다. 내년 하반기 완공이 목표다. 돈도 돈이지만 거의 동시에 두 나라에 공장을 지으면서 핵심 인력이 분산되는 것도 부담이다. 최신 반도체공장은 ‘종합과학의 요체’로 불린다. 토목·화학·전자공학자는 물론 조경·환경 전문가가 총동원된다. 진도 7에 견딜 수 있는 내진설계부터 가스·화학연료를 공급하는 수백㎞의 배관장치, 용수 조달 및 오·폐수 정화시설 등을 갖춰야 한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동시에 대규모 투자를 효과적으로 진행하는 게 숙제”라고 말했다.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장은 “그래도 지금이 투자 적기”라며 “오히려 이 기회를 놓치면 벼랑으로 몰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상재 산업2팀장 lee.sangjai@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