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스가 만날땐 마스크 두겹 썼던 바이든, 이번엔 벗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진행된 한미 정상회담은 코로나19 이후 마스크를 벗고 이뤄진 첫 '정상' 회담이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실내에서 문 대통령을 맞을 때부터 마스크를 벗은 상태였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시작부터 끝까지 거의 '노 마스크'로 진행됐다. [AP=연합뉴스]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시작부터 끝까지 거의 '노 마스크'로 진행됐다. [AP=연합뉴스]

지난달 16일 마스크를 두 겹 겹쳐 쓰고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를 맞았던 것과는 비교가 되는 장면이었다.
지난 13일 이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백신 접종자에 한해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쓸 필요가 없다는 지침을 내놓은 바 있다.

반면 지난달 16일, 미국 CDC의 방역수칙이 완화되기 전 이뤄진 미일 정상회담에선 참석자들이 모두 마스크를 썼다. 바이든 대통령은 두 겹으로 까지 겹쳐 쓴 모습이었다. [AP=연합뉴스]

반면 지난달 16일, 미국 CDC의 방역수칙이 완화되기 전 이뤄진 미일 정상회담에선 참석자들이 모두 마스크를 썼다. 바이든 대통령은 두 겹으로 까지 겹쳐 쓴 모습이었다. [AP=연합뉴스]

이날 오후 백악관 이스트룸에선 한국전쟁 영웅인 랠프 퍼켓 예비역 대령에게 미 육군 최고의 영예인 명예훈장을 주는 행사가 열렸다.  이곳에 모인 사람들 역시 '노 마스크'였다.
양국 정상은 물론 이스트룸을 채운 60명의 참석자가 거의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
백악관 공동취재단은 마스크를 쓴 이들이 일부 보이기는 했지만 거의 모두 착용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따로 거리 두기도 없었고, 악수도 자유롭게 했다. 참석자들의 의자는 코로나19 이전과 거의 다름 없이 다닥다닥 붙었고, 바이든 대통령보다 먼저 행사장에 등장한 문 대통령은 앞줄에서 기다리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남편 더글러스 엠호프,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과 차례로 악수했다.
선거 기간 내내 '팔꿈치 악수'만 하던 바이든 대통령도 문 대통령을 포함한 참석자들에게 거리낌 없이 손을 내밀었다.

21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열린 훈장 수여식에서 94세 고령의 퍼켓 예비역 대령을 비롯한 참석자 대부분이 마스크 없이 참석했다. [AP=연합뉴스]

21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열린 훈장 수여식에서 94세 고령의 퍼켓 예비역 대령을 비롯한 참석자 대부분이 마스크 없이 참석했다. [AP=연합뉴스]

특히 94세 고령의 랠프 퍼켓 예비역 대령이 양국 정상과 함께 가족 친지들과 바짝 다가서서 마스크도 쓰지 않고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은 지난 1년여 동안 마스크에 익숙해진 양국 국민에게 낯설 게 보이기도 했다.
지난달 스가 총리가 백악관을 방문했을 때와는 180도 달라진 분위기였다. 마스크 착용, 거리 두기가 엄격하게 유지되면서 공식 회담, 공동 회견 이외의 행사 자체가 없었다.
일본 측의 요청으로 오찬 일정이 갑자기 생겼지만, 오히려 멀찍이 떨어진 자리에서 햄버거만 덩그러니 놓여 국내외적으로 빈축을 사기도 했다.
회담 때도 바이든 대통령은 마스크를 겹쳐 쓰고 등장해 다소 딱딱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이번 문 대통령의 방미 수행단 역시, 방역에 완벽히 하는 미국 측의 요청으로 인원을 최소화하긴 했지만, 정작 회담 당일에는 모두 '노 마스크'로 참석하면서 정상화에 바짝 다가선 미국의 모습을 전 세계에 보여줬다.
이날 실내에서 열린 확대정상회담 역시 마스크 없이 진행됐다.
확대정상회담에서는 양국의 배석자 구성 차이도 눈길을 끌었다. 어떤 인사가 정상회담에 배석하는지가 각기 중시하는 의제가 무엇인지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미국 측 배석자는 각료급으로 구성됐다. 바이든 대통령의 양옆에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이 앉았다. 국방장관의 배석은 한반도에 대한 방위공약을 확인하고, 인도ㆍ태평양 지역 내에서 동맹에 대한 군사적 위협을 다루는 문제가 주된 의제로 다뤄졌음을 짐작하게 한다. 북핵과 중국의 군사적 부상 등이 논의됐을 가능성이 크다.
지나 레이몬도 상무장관도 배석했는데, 미국이 반도체 등 신기술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방안을 주된 의제로 보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존 케리 기후특사의 배석도 바이든 대통령이 중시하는 기후변화 대응이 의제로 다뤄졌음을 짐작하게 한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도 배석자에 포함됐다. 재무부가 대북 제재 총괄 부처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한국 측은 정의용 외교부 장관, 서훈 국가안보실장, 이호승 정책실장, 이수혁 주미 대사, 김형진 국가안보실 2차장, 정만호 국민소통수석 등이 배석했다. 참모진 위주의 구성이었다.
특히 김형진 2차장뿐 아니라 서훈 실장까지 회담에 배석한 것은 한국이 중점을 두는 의제는 역시 북한 관련 문제였음을 시사한다. 한국 측에선 미국과 비교해 자리에 없는 배석자가 더 눈에 띄었는데 국방부 장관이었다.

코로나19 이후 마스크·거리두기 없던 첫 회담 #94세 고령 퍼켓 대령 포함 참석자 대부분 '노 마스크' #13일 미 CDC에선 접종자 한해 실내 노마스크 허용

워싱턴=공동취재단, 김필규 특파원, 서울=유지혜 기자 phil9@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