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 시국에 한자리 모였다...中-중앙아시아 5국 만난 까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12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국 외교장관들이 중국 시안을 찾았다.

얼마 전 치러진 ‘중국+중앙아시아 5개국 외교장관 제2차 회의’ [신화=연합뉴스]

얼마 전 치러진 ‘중국+중앙아시아 5개국 외교장관 제2차 회의’ [신화=연합뉴스]

‘중국+중앙아시아 5개국 외교장관 제2차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다. 코로나19 팬데믹 때문에 주요 국제회의들이 대부분 온라인으로 열리는 요즘, 흔하지 않은 풍경이었다.

이번엔 중앙아시아다.

중국이 서쪽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부쩍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이번 회의에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방안을 주도하는 한편 일대일로 프로젝트 관련 협력도 밀어붙이며 만방에 세를 과시했다.

중국과 중앙아시아 5개국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한 왕이 중국 외교부장 [신화=연합뉴스]

중국과 중앙아시아 5개국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한 왕이 중국 외교부장 [신화=연합뉴스]

◇ 중앙아시아 우군 만들기 나선 중국, 에너지 선점 욕심  

중국이 중앙아시아에 주목하는 것은 이곳이 매우 중요한 에너지 공급처이기 때문이다.

포브스는 “중앙아시아에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면 석유, 천연가스에서부터 금과 우라늄에 이르기까지 주요 원자재를 값싸게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며 “중국은 이미 이 지역에서 그런 영향력을 갖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카자흐스탄에서 생산되는 석유의 4분의 1이 중국 기업 소유다. 투르크메니스탄산 천연가스의 절반은 중국이 쓸어간다.

특히 최근 눈에 띄는 것은 투르크메니스탄과의 협력이다.

중국은 투르크메니스탄에서 더 많은 천연가스를 들여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번 ‘중국+중앙아시아 5개국 외교장관 제2차 회의’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라시드 메레도프 투르크메니스탄 부총리 겸 외교장관을 만나 “투르크메니스탄은 중국의 장기적인 협력 파트너”라고 거듭 강조한 이유다.

중국과 더욱 밀착하고 있는 투르크메니스탄 [로이터=연합뉴스]

중국과 더욱 밀착하고 있는 투르크메니스탄 [로이터=연합뉴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은 정치적 갈등을 빚고 있는 호주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눈을 돌렸다”고 설명했다. 이 나라는 이미 중국에 천연가스를 가장 많이 공급하는 곳인 데다, 두 나라를 잇는 가스 파이프라인은 ‘일대일로 사업’의 대표적인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다. 중국 정부는 중앙아시아를 ‘위안화 기반 지불 시스템’의 시험 무대로도 삼고 싶어 한다. 미국의 달러 패권에 대항하기 위한 전략으로다.

◇ 미국에선 중앙아시아와의 협력 강화해야 한단 우려 나와    

미국 언론은 이런 중국과 중앙아시아와의 관계를 주의 깊게 바라보고 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수’를 발표하자, 이를 기다렸다는 듯 중국이 치고 들어왔기 때문이다. 왕이 외교부장은 이번 회의에서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아프가니스탄 문제에 공동 대응하자는 방안을 내놨다. 상하이협력기구(SCO) 등을 통해 관여하겠단 방침이다.

우즈베키스탄에 들어오는 중국 코로나19 백신 [신화=연합뉴스]

우즈베키스탄에 들어오는 중국 코로나19 백신 [신화=연합뉴스]

미 의회전문지 더 힐은 “미군 철수 결정은 중앙아시아 전역에 안보 공백을 불러올 수 있으며 중국의 영향력이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 짚고 “미국 정부는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정치적ㆍ경제적 협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지역 패권 싸움에서 중국에 밀려선 안 된단 조바심이 읽힌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이라고 마음이 편한 것은 아니다.

역시 ‘돈 문제’ 때문이다. 중국의 수출입은행은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의 최대 단일 채권자다. 타지키스탄의 경우 정부 부채의 절반을 중국에 빚지고 있을 정도로 상황이 심각하다. 다른 나라들이라고 특별히 다르지 않다.

중국이 지원하는 인프라 건설 과정에서 벌어지는 문제들도 많다. 유라시아넷은 “중국 자본이 흘러들어오며 해당 국가 정치 엘리트들의 부패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고, 환경 오염 역시 골칫덩이가 되어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임주리 기자 ohmaj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