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만들자! 신세계 유니버스…정용진 부회장 ‘락인 생태계’ 전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정용진 부회장

정용진 부회장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신세계 유니버스(Universe)’ 구축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신세계 유니버스란 신세계의 서비스와 상품·공간 안에서 ‘소비자가 먹고·자고·보고·사고·즐길’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를 의미한다. 일종의 ‘락인(Lock in·묶어둠) 전략’이다.

“돔구장·스타필드서 10시간 점유” #배달·패션 등 온라인 확장도 가속 #디지털 전환 이끌 인재 확보 총력전

16일 신세계그룹에 따르면 정 부회장은 최근 음성 기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클럽하우스에서 “야구가 끝난 뒤 관중들이 그냥 떠나는 모습을 보면 아쉬웠다”며 “돔구장과 스타필드를 함께 지어 고객의 시간을 10시간 이상 점유하고 싶다”고 말했다. 정 부회장의 구상이 현실이 된다면 돔구장에서 경기가 있는 날에는 야구를 보고, 경기가 없는 날에는 콘서트나 이벤트를 즐기면 된다. 그에 더해 스타필드에선 쇼핑과 식사·레저까지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다. 신세계가 지난해 11월 화성 국제테마파크 조성을 위해 별도 법인인 신세계화성을 만든 것도 신세계 유니버스 구현을 위한 수순이다.

지난달 4일 인천 SSG랜더스필드를 찾아 신세계푸드 캐릭터 ‘제이릴라’와 사진을 찍는 정용진 부회장. [뉴시스]

지난달 4일 인천 SSG랜더스필드를 찾아 신세계푸드 캐릭터 ‘제이릴라’와 사진을 찍는 정용진 부회장. [뉴시스]

신세계는 정 부회장의 ‘신세계 유니버스’ 전략을 차근차근 현실화하고 있다. 신세계 유니버스 생태계에 필요한 퍼즐은 하나하나 맞춰 가면서도 어울리지 않는 사업들은 과감히 구조조정과 사업재편을 단행하는 게 첫 단추다. 삐에로쇼핑이나 부츠 등 수익이 나지 않으면서 결이 다른 사업은 과감하게 접었다. 대신 노브랜드나 일렉트로마트처럼 소비자가 몰리는 사업에는 힘을 싣고 있다.

최근에는 오픈마켓, 배달 플랫폼 등 온라인 채널 확장에도 공격적이다. 패션 편집몰인 W컨셉을 인수하고 네이버와 전략적 동맹 관계를 맺은 데 이어 이베이코리아와 요기요 인수를 검토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이에 더해 테마파크, 호텔, 야구 등 고객 시간 점유 사업에 대한 추가 투자를 검토 중이다.

지난해 10월 스타필드 안성 매장을 둘러보는 정 부회장. [뉴스1]

지난해 10월 스타필드 안성 매장을 둘러보는 정 부회장. [뉴스1]

오프라인 역량을 바탕으로 온라인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작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마트 점포 내 공간을 SSG닷컴의 배송 거점으로 활용한 일이 대표적이다. 성과도 나온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재배치하고 이를 활용한 덕에 올 1분기 이마트 영업이익(연결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154.4% 증가한 1232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SSG닷컴의 매출은 9.8% 늘고, 적자는 166억원 줄였다. 정 부회장은 또 최근 사장단 회의에서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에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핵심 인재를 확보하라”고 당부했다. 디지털 기술이 뒷받침돼야 신세계 유니버스 안의 다양한 사업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다.

한편, 정 부회장은 SNS 활동을 앞으로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회사를 운영하지 않았다면 SNS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올해 들어 그는 야구단 SSG랜더스는 물론 스타벅스와 노브랜드, 피코크의 인기 신상품과 신세계푸드의 캐릭터인 제이릴라(정 부회장 영문 이니셜 제이(J)+고릴라)에 대한 SNS 포스팅을 늘렸다. 정 부회장의 SNS를 찾은 소비자들이 자연스레 신세계 관련 제품과 서비스에 녹아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덕분에 그는 온라인상에서 ‘생활밀착형 대기업 총수’로 통한다. 이와 관련 신세계 측은 “정 부회장은 SNS로 자신의 일상을 공개해 친근감을 갖게 하고 있다”며 “이는 자연스레 신세계에 대한 친근감으로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수기 기자 lee.sook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