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건희 컬렉션만 있는게 아니다···국보 고려대장경도 개인기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삼성 측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이건희 컬렉션' 중에 첫손에 꼽히는 국보 제 216호. 정선 필 인왕제색도(鄭敾 筆 仁王霽色圖). 조선 후기 화가인 겸재 정선(1676~1759)이 비온 뒤의 인왕산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크기는 가로 138.2㎝, 세로 79.2㎝이다. 1984년 8월 6일 국보로 지정됐다. [사진 문화재청]

삼성 측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이건희 컬렉션' 중에 첫손에 꼽히는 국보 제 216호. 정선 필 인왕제색도(鄭敾 筆 仁王霽色圖). 조선 후기 화가인 겸재 정선(1676~1759)이 비온 뒤의 인왕산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크기는 가로 138.2㎝, 세로 79.2㎝이다. 1984년 8월 6일 국보로 지정됐다. [사진 문화재청]

“이번에 기증받은 ‘인왕제색도’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화 6000여점을 대표할 만한 걸작이다. 기증자의 뜻이 잘 살아나게끔 관리‧준비해서 오는 6월 특별전을 통해 국민께 선보이겠다.”

국립중앙박물관 컬렉션 '업글'한 기증유물 #"딸 시집보내는 듯" 만감 속에 내놓은 그들

지난달 삼성 측이 이른바 ‘이건희 컬렉션’을 기증하면서 국보 14건, 보물 46건 등 총 9797건(2만1600여점)의 문화재를 품에 안은 국립중앙박물관 민병찬 관장의 말이다. 그 말처럼 이번에 기증된 이건희 컬렉션은 양과 질에 있어 전무후무한 ‘역대급’ 리스트를 자랑한다. 특히 겸재 정선의 후기 걸작 ‘인왕제색도’(국보 제216호)와 현존하는 고려 유일의 ‘고려천수관음보살도’(보물 제2015호), 단원 김홍도의 마지막 그림인 ‘추성부도’(보물 제1393호) 등은 상대적으로 빈약했던 국립중앙박물관의 서화 컬렉션을 단번에 업그레이드 했다.

관련기사

1946년 정식 개관한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장 유물은 올 3월31일 기준으로 총 41만3004점. 이 가운데 2만8657점(6.93%)이 개인‧단체의 기증 유물이다(이건희 기증품 제외). 시간‧돈‧안목을 투자해 평생 모은 수집품을 대가 없이 내놓은 기증자들 덕에 관람객‧연구자들이 누릴 수 있는 문화재가 대폭 늘었다. 특히 지난해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국보 180호)까지 총 305점을 기증한 ‘개성상인 후손’ 손창근(92)씨의 사례는 ‘노블리스 오블리주’ 정신을 일깨우며 감동을 안겼다. 그에 앞서 국립중앙박물관을 술렁이게 했던 대표적인 기증품과 기증자를 돌아본다.
(※대표 기증유물 선정은 박물관 유물관리부의 도움을 받았고 기증에 얽힌 사연은 이광표 저『명품의 탄생』(산처럼) 등을 참고.)

백자 상감 연꽃 넝쿨무늬 대접(국보 제175호)

백자 상감 연꽃 넝쿨무늬 대접(국보 제175호, 조선 15세기) 높이 7.6cm 입지름 17.5cm. 1981년 이홍근 기증. 소장품 번호 동원887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백자 상감 연꽃 넝쿨무늬 대접(국보 제175호, 조선 15세기) 높이 7.6cm 입지름 17.5cm. 1981년 이홍근 기증. 소장품 번호 동원887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상감백자 중 첫손에 꼽히는 작품이다. 고려 백자의 부드러운 유백색 질감을 띤 단정한 형태에 연꽃넝쿨 무늬를 섬세한 상감 기법으로 새겼다. 이 같은 상감백자는 15세기 초 경기도 광주 일원과 경상도 지역에서 시작해 16세기 전반까지 제작됐다. 무늬를 음각하고 바탕흙과 질이 다른 흙을 넣어 표현한 고려 말 상감청자나 조선 초 상감분청사기와 달리 음각 선에 채색하듯 철화 안료를 넣어 장식한 점이 특징이다.

조선 15세기 제작으로 추정되는 이 백자는 동원 이홍근(1900~80)이 30년 넘게 수집했다가 사후 중앙박물관에 인계된 4941점(국보 1점, 보물 2점 포함) 중 하나다. 그의 유족들은 현재 시가 수천억원대 미술품을 통째 기증했을 뿐 아니라 고고학과 미술사학 연구 발전기금으로 은행 주식 7만여주(당시 가액 약 8000만원 상당)도 함께 내놨다. “수집 문화재는 단 한 점도 자식들에게 물려주지 않겠다”는 고인의 유지에다 힘을 보탠 결과다.

동원 이홍근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강세황의 《송도기행첩》 11면에 실린 〈태종대〉. 이 태종대는 개성(송도) 북쪽 성거산에 있는 넓고 평평한 바위를 말한다. 이 화첩에는 이 그림과 같이 개성 지역의 명승지를 그린 16개의 그림과 3건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송도기행첩》 제11면, 강세황, 조선 1757년 추정, 종이에 엷은 색, 32.8 x 54 cm, 동원 이홍근 기증.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동원 이홍근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강세황의 《송도기행첩》 11면에 실린 〈태종대〉. 이 태종대는 개성(송도) 북쪽 성거산에 있는 넓고 평평한 바위를 말한다. 이 화첩에는 이 그림과 같이 개성 지역의 명승지를 그린 16개의 그림과 3건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송도기행첩》 제11면, 강세황, 조선 1757년 추정, 종이에 엷은 색, 32.8 x 54 cm, 동원 이홍근 기증.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이홍근은 1900년 개성에서 태어났다. 1919년 개성 간이상업학교를 졸압하고 서울에 올라와 동양물산에 입사한 뒤 곡물상회, 양조회사, 보험사 등을 이끌다 1960년 동원산업을 설립했다. 6‧25 전쟁을 거치면서 많은 문화재가 방치되고 훼손되는 걸 안타깝게 여기다 사재를 털어 이들 유물을 수집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모은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해 1967년 서울 성북동 자신의 집에 동원미술관을 설립하기도 했다. 기름 값이 오를 때는 자신의 거주 공간 난방비를 줄이면서도 지하 수장고의 냉난방 제습시설을 가동하는 등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한다.

동원 컬렉션은 불교 공예, 토기, 와당, 고려청자, 조선백자와 분청사기, 각종 서화 등을 망라했다. 동원미술관 개관 직후 일본의 모 재벌총수가 미술관 관람 뒤에 도자기 한 점을 마음에 들어하며 어떤 조건이라도 좋으니 양도해달라고 3일간 요청했는데 거부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그는 한번 수집한 것은 다시 내다팔지 않았다. 우리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산 것이니 되판다는 생각이 없었고 선인들의 삶이 깃든 고미술품이 여러 손을 거쳐 떠도는 것도 예의가 아니라는 생각에서였다.

대보적경 권 제59(국보 246호)

대보적경 권 제59(국보 246호) 세로 30cm, 가로 47cm. 소장품번호증 3450.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대보적경 권 제59(국보 246호) 세로 30cm, 가로 47cm. 소장품번호증 3450.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대보적경』은 8세기 초 당나라에 왔던 인도의 승려 보리유지(菩提流志)가 불교경전 가운데 중요한 경(經)을 모아 120권 49회 77품으로 엮은 경전이다. 특히 국보 246호 『대보적경』은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거란의 침입을 막고자 만들어진 초조대장경 인쇄본 가운데 일부다. 이 초조대장경은 목판의 새김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당시 동아시아에서 가장 방대한 분량을 자랑했지만 13세기 초 몽골의 침입으로 목판은 불타 없어졌고, 그 인쇄본 일부만 한국과 일본 곳곳에 흩어져 내려온다.

이를 기증한 이는 혜전 송성문(1931~2011). 예전 수험생의 필독서라 할 『성문종합영어』의 저자다. 2003년 30여년간 모은 고문서 컬렉션 26점과 운보 김기창 화백의 ‘동해일출도’ 등 27점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국보 5건, 보물 21건을 포함, 총 102점에 이르렀다. 특히 지정문화재 26건이 한 번에 기증된 건 당시로선 전례없는 일이었다. 한석봉의 서첩 1건, 숙종대의 화첩인 ‘기해기사계첩’ 1건 등도 포함됐다.

기해기사계첩己亥耆社契帖, 조선 1719년, 2003년 송성문 기증,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929호.

기해기사계첩己亥耆社契帖, 조선 1719년, 2003년 송성문 기증,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929호.

평북 정주 출신으로 신의주교원대를 나온 송성문은 6·25 전쟁 때 통역장교로 근무하면서 영어 검정고시 중등·고등과정에 합격했다. 부산 동아대를 졸업한 뒤 부산고와 서울고 등에서 교사로 일했다. 그가 1967년 처음 펴낸 『성문종합영어』(당시 정통종합영어)는 한때 연간 30만 부 이상 판매되는 등 70~90년대 중·고등학생들에게 ‘영어의 바이블’로 통했다.

그는 1970년대 “제지공장 등에서 양잿물에 씻겨내려가는 귀중한 고서와 고문서를 보고 가만 있어선 안 되겠다는 생각”에 수집을 시작했다. 모을 때부터 나라에 헌납하겠단 생각이었고 『성문종합영어』 등으로 번 돈을 모두 고서, 전적 수집에 썼다. 2003년 기증식엔 관심 받는 게 부담스럽다며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의 뒤를 이어 성문출판사를 운영하는 아들 송철씨는 기증식 당시 “아버지 재산은 살고 계신 아파트 한 채밖에 남은 게 없다. 그래도 생애 최고 결정을 한 것이라고 기뻐하고 계시다”고 전했다. 혜전은 8년 간암 투병 끝에 2011년 별세했다.

백자 청화 난초무늬 조롱박모양 병(보물 제1058호)

백자 청화 난초무늬 조롱박모양 병(보물 제1058호, 조선 18세기). 높이 21.1cm. 1974년 박병래 기증. 소장품 번호 수정111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백자 청화 난초무늬 조롱박모양 병(보물 제1058호, 조선 18세기). 높이 21.1cm. 1974년 박병래 기증. 소장품 번호 수정111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조롱박 모양 기본 형태에 위아래 몸체가 다른 모습을 갖춘 18세기 백자 병이다. 아래쪽엔 난초와 패랭이꽃을, 위쪽엔 칠보무늬를 청화 안료로 장식했다. 18세기 조선에선 병이나 항아리 같은 기종의 몸체를 각지게 만드는 청화백자 양식이 유행했는데, 이처럼 여덟 면으로 깎은 몸체와 목이 긴 병의 형태가 함께 어우러진 사례는 드물다. 당시 장식 무늬로 애용된 난초‧패랭이까지 조선 후기 백자의 조형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 백자 병이 기증된 때는 1974년 3월. 수정 박병래(1903~1974)가 작고하기 두달 전이다. 성모병원 설립자이자 가톨릭의대 학장, 한국결핵협회 회장 등을 역임한 그가 40여년간 모은 조선백자 가운데 362점을 국립중앙박물관에 선뜻 내줬다. 개인의 컬렉션을 대량으로 사회에 기증한 것은 이때가 처음으로 꼽힌다.

수정 박병래가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문화재 가운데 〈백자 투각 청화채 운룡문 필통〉 높이 15cm, 입지름 12cm, 바닥지름 12.4cm 소장품번호수정 363.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수정 박병래가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문화재 가운데 〈백자 투각 청화채 운룡문 필통〉 높이 15cm, 입지름 12cm, 바닥지름 12.4cm 소장품번호수정 363.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박병래가 우리 문화재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26세 때인 1929년. 경성대 부속병원 내과 교실의 조수로 일할 때였다. 어느날 일본인 교수가 접시 하나를 사서 그에게 “어느 나라 접시인 것 같으냐?”고 물었다. “글쎄요. 조선시대 것은 아닌 듯한데….” “뭐라고? 조선인이 조선의 접시를 몰라서야 말이 되는가?” 크게 부끄러움을 느낀 그는 박물관을 드나들기 시작, 도자기에 흠뻑 빠졌고 의사 봉급을 털어 하나씩 사 모았다. 도자기 외에 서화도 100여 점 모았는데 1‧4 후퇴 때 피란 가며 모두 땅에 묻었더니 서화는 습기 차서 썩어버렸다고 한다.

“도자와 함께 살아온 내 인생은 지극히 행복했다. 그러나 조상들이 만든 예술품을 혼자만 가지고 즐긴다는 것이 죄송스럽기도 했다. 몇십년 동안 도자와 함께 지냈던 즐거움을 여러 사람에게 나누어줄 수 있다면 얼마나 더 행복하겠는가. 지금 나는 과년한 딸을 정혼(定婚)시킨 듯한 기쁨에 넘쳐 있다.” 이렇게 소회를 말한 그는 기증 특별전 개막을 열흘 앞두고 눈을 감았다.

고려불화 수월관음도

고려불화 수월관음도. 전체세로 172.0cm, 전체가로 63.0cm, 세로(화면) 80.0cm, 가로(화면) 42.7cm, 세로(화면) 91.0cm, 가로(화면) 42.8cm. 소장품번호 증 9354.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불화 수월관음도. 전체세로 172.0cm, 전체가로 63.0cm, 세로(화면) 80.0cm, 가로(화면) 42.7cm, 세로(화면) 91.0cm, 가로(화면) 42.8cm. 소장품번호 증 9354.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수월관음도는 불교에서 선재동자가 관음보살이 머무는 보타락가산을 방문해 지혜를 구하는 장면을 담은 그림으로 고려불화의 백미로 꼽힌다. 전 세계적으로 160여 점이 전하는 고려불화 가운데 수월관음도는 46점에 불과하다. 이 작품은 비교적 크기가 작지만 700여 년의 세월을 넘어 관음보살과 선재동자의 모습이 원형에 가깝게 잘 유지됐다. 관음보살의 자비로운 얼굴과 부드러운 선묘, 선재동자의 천진한 표정이 생생하고 관음보살이 걸친 옷에 표현된 정교한 문양이나 투명하게 빛나는 베일에 금으로 그린 둥근 당초문, 붉은 치마에 수놓듯 그린 육각형의 귀갑문 등이 보는 이를 빨아들인다.

“제가 한 일이라기보다 그림 자체가 제자리를 찾아온 셈이죠.” 2016년 윤동한 한국콜마홀딩스 회장이 기증식 때 한 말이다. 그가 수월관음도를 처음 만난 건 이로부터 6~7년 전 프랑스 파리 기메박물관 한국관에서였다. 당시 해설사가 “한국 중앙박물관에도 없는 그림”이라고 소개하자 자존심이 상했던 그는 수년 간 수소문 끝에 재일동포 소장자로부터 한 점을 구매했다. 구매가는 25억원으로 알려진다. 그는 이를 그대로 기증했고 국립중앙박물관은 처음으로 수월관음도를 보유하게 됐다. 작품은 14세기에 제작돼 조선시대 일본에 건너간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고려불화 수월관음도를 부분 확대한 모습.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2016년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고려불화 수월관음도를 부분 확대한 모습.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윤 회장은 대웅제약 부사장을 거쳐 1990년 화장품·의약품 제조업체인 한국콜마를 세웠다. ‘역사 경영’이라는 철학을 내세워 2006년 처음 치러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점수를 그해 신입사원 채용부터 반영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순신 연구가’로 이름 났고 아예 이를 특화해 연구하는 여해재단을 2017년 설립했다. 윤 회장은 2019년 29년간 한국콜마를 이끌었던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