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이은주의 아트&디자인

대구의 거장, 이인성과 이쾌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이은주 기자 중앙일보 문화선임기자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이인성의 ‘노란 옷을 입은 여인’(1934), 이쾌대의 ‘항구’(1960), 서동진의 ‘자화상’(1924), 서진달의 ‘나부입상’(1934), 변종하의 ‘오리가 있는 풍경’(1976)···. 무슨 목록인지 눈치채셨나요? 지난주 고 이건희 삼성 회장 유족들이 대구미술관에 기증한 작품들입니다. 작품 다섯 점이 기증된 유영국(1916~2002)은 경북 울진이 고향이지만, 위에 소개한 작가는 모두 대구 출신입니다.

이건희 회장이 평생 모은 미술품, 이른바 ‘이건희 컬렉션’ 중 많은 작품이 여러 미술관에 기증됐는데요, 대구미술관은 이인성(1912~1950) 그림 7점, 이쾌대(1913~1965) 그림 1점 등 근대 대표 작가들의 작품 21점을 기증받았습니다. 소장품이 턱없이 빈약한 지역 미술관에 기증된 미술품은 ‘가뭄에 단비’와 같은 귀한 선물이 되었습니다. 특히 이쾌대 작품은 대구미술관에 단 한 점도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이인성, 사과나무, 캔버스에 유채, 91x116.5㎝, 1942. [사진 대구미술관]

이인성, 사과나무, 캔버스에 유채, 91x116.5㎝, 1942. [사진 대구미술관]

이인성과 이쾌대, 두 작가의 작품을 접하며 이런 질문이 떠올랐습니다. 왜 그동안 두 거장은 박수근(1914~1965)과 이중섭(1916~1956)보다 덜 조명됐을까? 물론 한국 근대 미술사 연구자들에게 이인성과 이쾌대를 항상 중요한 작가로 거론하고 있습니다만, 우가 이인성과 이쾌대의 작품을 충분히,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습니다. 여기엔 작가의 단명(短命)과 월북(越北), 미술시장 메커니즘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겠지만요.

이인성과 이쾌대는 대구 수창학교를 함께 다닌 동창입니다. 이인성은 1930년대에 일찍이 두각을 드러냈고, 이쾌대는 1940년대에 절정기를 보여준 작가로 꼽힙니다. 두 화가는 또 작품의 형식과 기법에서 당대 최고의 기량과 원숙함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만, 이인성은 만 서른여덟에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했고, 이쾌대는 월북했습니다.

그런데 다행히도, 지금 대구미술관에선 두 거장의 작품을 나란히 소개하는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대구 근대미술을 망라해 조명하는 ‘때와 땅’ 전입니다. 작가 64인의 작품 140여 점을 소개하는 큰 전시인데요, 여기서 우리는 ‘가을 어느 날’(1934)과 ‘경주의 산곡에서’(1935) 등 이인성의 대표작 8점과 함께 ‘두루마기를 입은 자화상’ 등 이쾌대 작품 6점을 볼 수 있습니다. 최은주 대구미술관장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한국 미술의 절정을 보여주는 걸작들”로, 각각 개인·기관 소장품으로 흩어져 있던 것을 한자리에 모은 것입니다.

100여 년 전에 태어난 이인성과 이쾌대, 두 거장이 한 걸음 더 우리에게 다가왔습니다. 이건희 컬렉션은 여기에 더욱 불을 붙였습니다. 지역 미술관의 컬렉션은 더욱 풍부해져야 하고, 작가의 위상은 재정립돼야 합니다. 이제 우리가 이 거장들을 만나고 응답할 차례입니다. 전시는 30일까지입니다.

이은주 문화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