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이달의 예술

오페라와 우리말의 행복한 만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오희숙 음악학자·서울대 작곡과 교수

오희숙 음악학자·서울대 작곡과 교수

“아름다운 영혼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인간이 만들어낸 방법 중 가장 완벽하고 의미있는 것은 단연코 오페라일 것이다.” 이탈리아의 계몽주의 사상가 알가로티가 이처럼 칭송한 오페라를 즐길 수 있는 기회가 왔다. 4월 6일부터 25일까지 한국소극장 오페라축제(사진)에서는 ‘김 부장의 죽음’(신영선 대본, 오예승 작곡), ‘달이 물로 걸어오듯’(고연옥 대본, 최우정 작곡), ‘춘향탈옥’(윤미현 대본, 나실인 작곡) 등 3편의 한국오페라와  ‘엄마 만세’(길라르도니 대본, 도니제티 작곡), ‘서푼짜리 오페라’(브레히트 대본, 바일 작곡)가 공연되고 있다. 이번 공연은 모두 우리말로 진행돼 반갑다.

오페라는 17세기 탄생 시기부터 지금까지 언어와 음악 사이에서 상생과 라이벌 관계를 지속해왔다. 특히 극적 내러티브와 등장인물의 대사를 어떻게 음악적으로 실현하는지는 오페라 창작의 핵심 과제였다. 예컨대 18세기 ‘부퐁 논쟁’에서 사상가이자 오페라 작곡가였던 루소는 오페라에 대한 미학적 논쟁을 벌이며, 프랑스어가 오페라에 어울리지 않는 언어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주장하였다. 루소에게 프랑스어는 비음악적 언어였으며 경직되고 거슬리게 느껴진 것이다. 한국어는 어떠한가?

이달의예술용사진

이달의예술용사진

그간 한국의 오페라 작곡가들은 한국어를 음악에 활용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하였지만, 이번 공연은 달랐다. ‘달이 물로 걸어오듯’의 작곡가 최우정은 인간의 심리를 다루는 이 오페라에서 가사의 정확한 전달이 필수적이라며 대본의 뉘앙스를 음악적으로 살리는데 주력하였다. ‘김 부장의 죽음’에 등장하는 윤 부장·김 부장·노숙인의 삼중창은 한 인물의 과거·현재·미래를 동시에 담았다. 한국어 특유의 섬세한 감정묘사가 각기 다른 선율에 드러남은 물론, 이것이 동시에 어우러져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이는 자막을 읽기에 급급한 외국어 오페라 관람에서는 체험할 수 없는 ‘언어와 음악’의 통합적 경험이었다.

외국 오페라의 한국어 번안도 성공적이라 평가된다. 도니제티의 ‘엄마 만세’의 한국어 공연은 바로 이해할 수 있는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덕에 오페라에 푹 빠져 감상할 수 있었다. ‘아무리 잘난척 해도 소용없어’라고 외치며, 자신의 딸이 부를 ‘아리아를 넣지 않는다면 박살날 줄 아세요’라고 노래하는 엄마 아가타에게 ‘아줌마’라 비난하는 장면에서 청중은 모두 폭소를 터뜨렸다. 긴 역사를 자랑하는 베를린 코미쉐 오페라극장에서 모든 오페라를 독일어로 번역하여 공연하는 것도 이러한 전달력 때문일 것이다.

이번 오페라축제는 한국어도 오페라의 언어로 당당히 등극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국내 관객이 비로소 온전한 의미의 ‘종합예술’을 객석에서 경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언어와 음악의 아름다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게 된 것이다.

오희숙 음악학자·서울대 작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