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동호의 시시각각

반도체 1등 당연한 게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김동호 기자 중앙일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 백악관에서 화상으로 주재한 ‘반도체 및 공급망 회복 최고경영자(CEO) 회의’.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웨이퍼를 직접 흔들며 ″반도체는 미국의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12일 백악관에서 화상으로 주재한 ‘반도체 및 공급망 회복 최고경영자(CEO) 회의’.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웨이퍼를 직접 흔들며 ″반도체는 미국의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AP=연합뉴스]

반도체 대한민국이 백척간두에 서 있다. 한마디로 사면초가다. 미국과 중국이 사활을 걸고 반도체 전쟁에 나서면서다. 일본은 반도체 부활에 시동을 걸고, 유럽연합(EU)은 반도체 자립을 선언했다. 한국은 이 격변에 휘말려 들고 있다. 이 반도체 세계 대전은 이제 시작에 불과해 10년이 갈지, 언제 끝날지 아무도 모른다. 확실한 것은 무적함대처럼 보였던 삼성전자가 이 격랑에 휩쓸려 1등 자리를 잃을 가능성도 있다는 현실이다.

세계 열강 모두 반도체 생산 나서 #삼성전자 1등도 신기루 될 수 있어 #국민 힘 모아 반도체 산업 지킬 때

그동안 한국은 반도체 독주 체제를 누렸다. 반도체 기술의 종주국인 미국이 1980, 90년대 들어 일본과 한국에 잇따라 메모리 반도체 생산의 주도권을 내주면서다. 컴퓨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시스템 반도체(비메모리 반도체) 설계는 미국이 주도하되 메모리 반도체는 굳이 직접 생산하지 않겠다는 전략이었다. 한국·일본이 경쟁해 값싸게 만들어 주면 사다 써도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판을 바꾸는 변수가 등장하면서 미국이 생각을 고쳐 먹었다.

첫째 배경은 4차 산업혁명이다. 자율 주행차 전장 부품부터 플랫폼 경제의 핵심이 되는 인공지능(AI), 이런 장치를 초고속으로 연결해 주는 통신 시스템에다 군사장비까지 모두 고성능 반도체의 안정적 공급이 관건이 됐다. 이로 인해 반도체 산업은 수퍼 사이클을 올라탔다.

중국이 2050년 경제력과 군사력 모두 미국을 넘어서겠다는 중국몽 선언은 여기에 기름을 부었다. 반도체 생산 능력은 중국이 추구하는 패권 도전의 마지막 관문이다. 반도체가 미·중 경쟁의 게임 체인저라는 얘기다. 이 여파로 반도체 한국이 누렸던 독점 체제는 언제 신기루처럼 사라질지 모르는 상황이 됐다. 당장 미국은 반도체의 직접 생산에 나섰다. 500억 달러의 재정을 투입해 반도체 인프라를 확충하고, 마이크론·인텔 등 미 기업들도 공격적 투자를 시작했다. 미국은 이와 함께 메모리 반도체 1위 삼성전자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 생산) 1위 대만 TSMC의 미국 내 투자 유치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미국은 여전히 반도체 생산의 핵심 기술을 가진 만큼 이들 기업이 미 정부의 요청을 모른 체할 수 없다. 지난 12일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백악관 반도체 회의에서 웨이퍼를 흔들며 “반도체는 우리의 인프라”라고 선언했다. 사실상 중국을 향한 전면전의 선포다. 미국은 나아가 통신 장비에서 운영 체제를 분리하는 ‘오픈 랜’을 도입해 화웨이의 위력을 무력화하려고 한다. 이 싸움이 끼인 삼성전자는 곤혹스럽기 짝이 없게 됐다. 이 중차대한 시기에 사령탑이 국정 농단에 휘말려 옥에 갇혀 있다. 세계를 무대로 뛰고 전략회의를 거듭해 생존 전략을 짜내야 할 골든타임을 하염없이 흘려보내는 중이다.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이 중국 공산당의 견제를 받아 힘을 쓰지 못하게 되면서 알리바바의 미래가 불투명해진 것과 비유하면 이해하기 쉬운 상황이다.

우리는 삼성전자가 난공불락의 요새라고 봤다. 하지만 최근 국제 정세로는 그 믿음이 신기루처럼 사라질 수 있게 됐다. 당장 삼성전자가 2030년까지 133조원을 투자해 TSMC를 제치고 파운드리 분야에서도 세계 1위가 되겠다는 계획부터 불확실성이 커졌다. TSMC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옥에 갇히는 날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요청에 부응해 2024년 완공을 목표로 미 애리조나의 파운드리 공장 건설에 착수했다.

일본은 자존심을 버렸다. 일본 내 파운드리 건설 요청을 TSMC가 거절하고 애리조나를 선택하자 연구개발센터라도 지어 달라고 해 최근 합의에 이르렀다. 이 거대한 반도체 공급망의 지각변동은 한국을 뒤흔들고 있다. 우리는 삼성전자의 1등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지만 세계열강이 반도체 세계대전에 참전하면서 앞날을 기약할 수 없게 됐다. 기업의 힘만으로는 반도체 기득권을 지키기 어려워졌다. 온 국민이 힘 모아 반도체 한국을 지켜야 할 때다.

논설위원

김동호 논설위원

김동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