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금리ㆍ물가 상승에 ‘시장 발작’ 가능성” 기재차관의 경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물가와 금리 상승 여파로 금융시장이 갑자기 흔들리는 ‘시장 발작(tantrum)’ 가능성을 경고했다. 2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 자리에서다. 이날 회의엔 금융위원회ㆍ한국은행ㆍ금융감독원ㆍ국제금융센터 관계자도 참석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왼쪽 두 번째)이 2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왼쪽 두 번째)이 2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차관은 회의를 주재하며 “금융시장이 상당 기간 저물가ㆍ저금리에 적응된 상태인 만큼, 물가 및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가 크게 불거질 경우 시장이 발작적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최근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백신 접종에 속도가 붙으면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 물가와 금리도 덩달아 상승 기류를 타고 있다. 이 차관은 “선진국에 비해 신흥국의 경기 회복이 더딘 불균등 회복 양상이 관찰되고 있어, 신흥국으로부터의 자금 유출 압력이 확대되며 금융시장에 부정적 여파를 가져올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짚었다.

지난 2013년 5월 벤 버냉키 당시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양적 완화(달러화 풀기) 종료를 시사하는 발언을 하면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통화가치와 증시가 급락했다. ‘긴축 발작(taper tantrum)’이다. 8년 전과 비슷한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에서 나오는 중이다.

 가계부채 비율 국제 비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가계부채 비율 국제 비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가장 큰 위험 요소는 가계ㆍ기업 할 것 없이 크게 불어난 빚이다.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실과 국제결제은행(BIS)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부채는 1998조3000억원, 기업부채는 2137조60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가계와 기업부채를 합한 민간부채는 1년 만에 352조7000억원 증가하며 처음 400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1924조5000억원의 배가 넘는 민간부채가 한국 경제를 짓누르는 상황이다.

이 차관은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들이 상존하는 만큼 국내 금융시장으로의 여파는 물론 한국 경제에 나타날 수 있는 파생적 영향들을 보다 폭넓고 세심히 살펴야 한다”며 “금리 상승이 가져올 수 있는 가계ㆍ기업의 부채 부담 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 부담 증가, 선진국ㆍ신흥국 간의 불균등 회복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 파급 효과 등이 대표적”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금리 상승이 가져올 수 있는 가계ㆍ기업의 부채 부담을 면밀히 분석하고, 취약 부문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서민금융 공급 확대, 신용 등급 하락 기업에 대한 대출 영향 최소화 등을 착실히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이 차관은 밝혔다.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