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쿠팡·이마트 이어 롯데마트도 참전…'최저가'전쟁 불붙었다

중앙일보

입력

쿠팡과 이마트, 마켓컬리에 이어 롯데마트도 최저가 전쟁에 뛰어들었다. 롯데마트는 14일 “최근 온ㆍ오프라인 유통사간의 가격 경쟁에 우리도 뛰어들겠다”고 밝혔다. 이달 15일부터 소주와 라면 등 가공ㆍ생활 생필품 500가지를 최저가로 대응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롯데마트 GO’ 앱으로 결제하면 자체 마일리지인 ‘엘 포인트(L.POINT)’를 5배까지 얹어주겠다는 게 골자다.

다만 경쟁사의 최저가 대응 기준은 하루(日)가 아닌 한 주(週) 단위다. 롯데마트 측은 “대형마트들의 가격 정책상 생필품의 가격 차가 크지 않고 가격 비교에 대한 피로감을 줄이기 위해 일자별ㆍ실시간 가격 대응이 아닌, 대형마트의 행사 단위인 주 단위로 가격 대응을 하겠다”며 “최저가 정책 흐름 싸움에서 더 이상은 밀릴 수 없다는 의미”라고 전의를 불살랐다.

롯데마트가 15일부터 가공 및 생활 관련 500개 생필품에 대해 대형마트와 동일한 가격에 선보이며 해당 상품 구매 시 포인트를 기존 적립률의 5배 적립해주는 행사를 진행한다. 14일 서울 중구 봉래동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이 회사 직원이 행사 상품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롯데쇼핑

롯데마트가 15일부터 가공 및 생활 관련 500개 생필품에 대해 대형마트와 동일한 가격에 선보이며 해당 상품 구매 시 포인트를 기존 적립률의 5배 적립해주는 행사를 진행한다. 14일 서울 중구 봉래동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이 회사 직원이 행사 상품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롯데쇼핑

유통업체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최저가 전쟁에 참전하고 있다. 롯데마트에 앞서 이마트는 지난 8일 ”경쟁사인 쿠팡, 롯데마트, 홈플러스보다 상품 가격이 더 비싸면 차액을 현금처럼 쓸 수 있는 ‘e머니’로 돌려주겠다”며 최저가격 전쟁을 선언했다. 새벽 배송으로 유명한 마켓컬리 역시 장바구니의 기본이 되는 기본 채소ㆍ과일ㆍ수산ㆍ정육ㆍ유제품과 쌀, 김 등 60여 가지 식품을 1년 내내 가장 낮은 가격에 판매하는 EDLP(Every Day Low Price) 정책을 시행한다고 12일 밝힌 바 있다.

최저가 강조점이나 보상 방식은 달라 

최저가 경쟁을 선언했지만, 업체마다 조금씩 그 방법은 다르다. 사실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 같은 대형마트 3사에서 판매하는 주요 생필품 가격 차이는 이미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책정돼 있다. 이마트는 최저가를 정해놓고, 경쟁사보다 비쌀 경우 그 차액을 포인트로 돌려준다. 최저가의 기준은 쿠팡을 비롯한 경쟁 대형마트이다.

롯데마트는 차액 보상이 아닌 포인트 전환에 주력한다. 최저가로 정한 500가지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에게는 구매액의 2.5%를 포인트로 적립해준다. 주 단위로 가격을 업계 최저가로 재조정함은 물론이다. 쿠팡은 해당 제품의 가격은 물론, 배송가격 등이 포함되는 경우를 고려해 무료배송을 앞세우고 있다. 쿠팡 측은 당초 “상품가격이 아무리 최저가여도, 실제 배송 가격이 더해지면 최저가가 아닌 경우가 많다”고 배경을 설명한 바 있다.

최저가 경쟁에 뛰어든 업체들은 기존에 대형마트 간 가격 경쟁처럼 포장이나 용량을 달리하고, 각 업체에 적용되는 포장을 기준으로 ‘타 업체와는 다른 포장이나 구색’이라고 우기는 일은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분명히하고 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요즘은 소비자가 워낙 세심하고, 점검 주체들이 많아서 유통업체 입장에서는 이제 소비자를 속이거나 하는 일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제조업체들, "납품가 인하 압력 커질 것"

유통업체들의 최저가 전쟁을 바라보는 제조업체의 속내는 복잡하다. 특히나 주요 식품업체들은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입장이다. ‘갑’인 유통업체 간 경쟁이 길어질수록, 결국엔 어떤 식으로든 부담이 전가될 수밖에 없어서다. 또 대형마트와 쿠팡 같은 이커머스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과정에서 슈퍼나 편의점 같은 다른 업태의 유통업체도 가격 인하 압력을 받을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익명을 원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아직은 대형마트나 특정 이커머스 업체로부터 납품가를 낮춰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은 없다”면서도 “하지만, 싸움이 길어지면 어떤 식으로든 납품가 인하 등의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수기 기자 lee.sooki@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