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그래픽텔링]일상된 코로나19 전쟁, 그래도 지갑은 열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일상이 되면서 그동안 억눌렸던 소비가 다시 ‘폭발’하고 있다. 지난해가 외출과 소비를 최소화하는 코로나19 ‘피난기’였다면, 올해는 최대한 조심하면서도 쓸 때 쓰는 ‘소비 회복기’로 접어들고 있다. 본지가 단독 입수한 롯데백화점의 올 1분기(1월 1일~3월 28일) 매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1분기에 롯데백화점에는 총 432만명의 고객이 방문해 3512만 건을 구매했다.

1분기 롯데百 매출 빅데이터 분석…객 단가 24% 늘어

1분기 소비 얼마나 늘었나.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1분기 소비 얼마나 늘었나.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지난해보다 구매액 24% 늘어  

성별·연령대별 소비 얼마나 늘었나.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성별·연령대별 소비 얼마나 늘었나.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롯데백화점의 올해 1분기 고객 1인당 객단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커졌다. 구매 고객 수는 전년보다 1.2%가 늘었다. 특히 ‘상위 1%’ 소비자는 지난해보다 30%가량 많은 1인당 평균 325만원을 사용했다.

가구 유형별 소비 증가세.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가구 유형별 소비 증가세.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의 객단가가 평균 74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가장 적은 평균 38만원이었다. 가구 형태별로는 ‘1인 가구’의 소비가 가장 큰 폭(42%)으로 늘었다. 최성철 롯데백화점 디지털사업부문장은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 등으로 상대적으로 젊은 층이 많은 1인 가구 소비자들이 소비를 통해 보상받으려는 심리가 반영된 게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 행태도 코로나19 이전 일상으로의 회복 경향이 뚜렷했다. 우선 백화점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졌다. 올 1분기에는 평균 53분(17% 증가)을 백화점에 머물렀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였던 지난해 1분기의 체류 시간은 45분이었다.

일 평균 체류시간, 객단가, 구매수량.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일 평균 체류시간, 객단가, 구매수량.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상품별로는 코로나 19 이후 희비가 엇갈린다. 초ㆍ중ㆍ고 등교가 늘어나면서 아동의류 매출은 지난해보다 48%가 늘었다. 개인 운동용품별 차이도 있다. 골프(65%)와 캠핑용품(93.7%) 매출은 많이 늘었지만, 자전거(-87.4%)ㆍ수영복(-49.4%)ㆍ야구용품(-93%) 등의 매출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5인 이상 집합 금지’의 영향으로 동호회 활동 등이 위축된 탓이라는 분석이다.

매출 증가 vs 감소 품목.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매출 증가 vs 감소 품목.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가정용품 소비도 지난해와는 사뭇 다르다. 지난해에는 홈 인테리어에 눈을 떴다면 올해는 집을 채울 가구나 가전을 구매하고 있다. 특히 올해 TVㆍ소파 같은 대형제품 구매가 지난해보다 많다(41%). 또 주방과 홈패션 매출도 늘었다(31%).

역시 명품의 힘…전연령대서 고른 인기

꾸준히 늘어나는 명품 소비.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꾸준히 늘어나는 명품 소비.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연령대를 떠나 인기를 얻는 상품도 있다. 명품이 그렇다. 수백만, 수천만 원의 고가 상품의 인기는 20ㆍ30세대를 중심으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샤넬이나 롤렉스 같은 브랜드가 대표적이다. 올 1분기 이들 세대가 해외 부티크와 명품시계ㆍ보석 상품군에 쓴 돈은 전년 동기보다 53.1% 늘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신장률은 100.6%에 달한다. 다른 연령대(40~60대 이상)에서도 66~68%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여기에 한 가지 더. 멋을 아는 ‘액티브 시니어’의 활약이 기초 화장품 등의 매출을 끌어 올리고 있다.

기초 화장품 부상 중.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기초 화장품 부상 중.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올 1분기 기초 화장품 매출이 50ㆍ60세대의 구입이 늘면서 6.8% 성장했다. 지난해 24% 감소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특히 60대 이상 연령층이 기초 화장품 소비를 주도했고, 이들의 구매액은 전년 동기보다 크기(23.6%) 늘었다.

이수기ㆍ추인영 기자 lee.sooki@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