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재·보선 사전투표율이 역대 재·보선 최고치(20.5%)를 기록하자 여야는 서로 아전인수식 주장을 폈다.
민주당 “박영선 지키려는 투표열기” #국민의힘 “정권 심판 유권자 행진”

역대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율.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더불어민주당이 높은 사전투표율에 기대를 거는 건 사전투표율이 20%를 넘긴 최근 세 번의 전국 단위 선거에서 모두 이겼던 경험 때문이다. 지난해 4·15 총선에서 민주당의 격전지 승리에도 사전투표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김두관(양산을), 김남국(안산 단원을) 민주당 의원이 각각 1523표 차, 3653표 차로 승리할 수 있었던 건 사전투표 격차(4990표 차, 5721표 차) 덕분이었다. 신영대 민주당 대변인은 4일 “역대 재·보선 최고치를 기록한 사전투표율은 박영선·김영춘 후보를 지키기 위한 투표 열기”라고 주장했다.
반면에 국민의힘은 ‘사전투표율 상승=민주당 유리’란 공식이 깨졌다고 본다. 사전투표 적극 참여 세대인 20~30대에서 야권 지지율이 높다는 게 자신감의 근거다. 사전투표자 가운데 국민의힘 지지층이 두터운 60세 이상 비중이 늘고 있다는 점도 낙관론의 배경이다. 19대 대선 때 20.2%였던 60세 이상의 사전투표 비율은 2018년 지방선거(26.1%), 지난해 총선(30.8%) 등을 거치며 꾸준히 높아졌다. 배준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쏟아지는 폭우, 코로나19 감염 우려도 위선 정권을 심판해 삶을 바꿔보자는 유권자 행진을 막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서울시 구별 사전투표율을 보면 특정 정당의 유불리를 따지긴 애매하다. 야권 지지세가 강한 송파구 사전투표율이 2018년 지방선거 대비 3.8%포인트 상승(19.6%→23.4%)해 상승률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성북(19.27%→22.97%)·서대문(19.38%→23.02%)·노원(18.4%→21.97%)구 등 여당 강세 지역 사전투표율 증가세도 수위권이었다.
한영익·성지원 기자 hanyi@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