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말 바루기] 코로나가 퍼뜨린 외래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코로나19는 바이러스를 퍼뜨린 것과 더불어 수많은 외래어를 전파하기도 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전에는 들어보지 못한 전문용어나 외래어를 일반인들도 자주 접하게 됐다.

우선 ‘팬데믹(pandemic)’이 있다. 현 상황처럼 전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를 뜻한다. 쉬운 말로 바꾸면 ‘감염병 세계적 유행’이다.

‘드라이브 스루(drive through)’도 많이 듣는 말이다. 원래 차에 탄 채로 커피나 음식 등을 사는 방식을 말한다. 승차한 상태로 코로나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체계를 우리나라에서 만들어 내면서 이 이름을 붙였다. ‘승차 진료소’ ‘승차 검진’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

더욱 어려운 용어로는 ‘코호트(cohort) 격리’가 있다. 감염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을 통째로 묶어 전원 격리함으로써 확산 위험을 줄이는 조치를 말한다. ‘동일 집단 격리’로 대체할 수 있다.

‘풀링(pooling) 검사’도 있다. 여러 사람에게서 검사 대상물을 채취한 뒤 모두 섞어 한꺼번에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결과가 양성으로 나오면 대상자들을 개별 검사하는 방법이다. ‘취합 선별 검사’로 바꿔 쓸 수 있는 말이다.

이 밖에도 에피데믹(→감염병 유행),  워킹 스루(→도보 진료), 셧다운(→가동정지), 패닉 셀링(→공황 매도), 글로브월(→의료용 분리벽), 언택트(→비대면), 온택트(→영상 대면) 등이 있다.

국립국어원은 코로나 블루(→코로나 우울), 위드 코로나 시대(→코로나 일상), 엔(N)차 감염(→연쇄 감염), 트윈데믹(→감염병 동시 유행), 스니즈 가드(→침방울 가림막) 등의 용어도 쉬운 우리말로 바꿔 쓸 것을 권하고 있다.

배상복 기자 sbb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