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경록의 은퇴와 투자

세계가 은퇴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김경록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대표

김경록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대표

세계가 은퇴하고 있다. 매일 21만 명이 60세 생일을 맞는다.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숫자를 보면 2019년에 7억 3천만명에서 2050년에는 15억 4천만명으로 8억명이 증가한다. 향후 30년 동안 지구상에 65세 이상 인구만 모여 사는 독일 만한 나라가 10개 생겨나는 셈이다.

매일 21만명이 60세 생일 #숫자 많고 돈·기술도 갖춰 #고령사회와 기술혁명 교차 #데모테크에 투자기회 있어

고령자 증가는 선진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신흥국의 증가 속도가 훨씬 빠르다. 2020~2050년까지 선진국은 65세 이상 고령자가 50% 정도 증가하는 데 반해 신흥국은 100~150%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미국 53%, 한국 130%, 중국 107% 정도다. 중국과 인도의 고령자 수만 30년 동안 3억 2천만명 증가한다. 이는 같은 기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의 고령 인구 증가 1억 2천만명을 훨씬 넘어선다. 고령화는 앞으로 선진국과 신흥국이 모두 겪는 세계의 문제가 된다.

다들 고령사회 도래에 대해 위기감을 갖고 있다. 생산과 수요의 감소, 요양 비용의 증가, 국가 재정의 악화 등을 우려하고 있다. 고령사회라고 하면 으레 요양원에 있는 노인들을 떠올린다. 관점을 달리해야 한다. 부유해진 고령자들이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활용하면서 나타날 새로운 세상을 봐야 한다. 여기에 고령사회의 ‘기회’가 있다.

세계 베이비부머는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숫자가 많을 뿐 아니라 ‘돈’과 ‘기술’도 갖추고 있다. 이들은 1946년부터 1970년대까지 태어난 집단으로 30여년에 걸쳐 있다. 지금 맏형이 75세이고 막내는 40대 중반이다. 10년 후면 50대 중반에서 80대 중반에 걸쳐 있게 된다. 게다가 중국 베이비부머들은 1990년대 이후의 고성장으로 부유해졌다. 중국은 연간 소득이 5만~10만 달러에 속하는 가구 비중이 2012년 3%에서 2032년에는 16%로, 10만 달러 이상 가구 비중도 같은 기간 중 1%에서 9%로 증가할 것으로 본다.

또한, 기술혁명이 은퇴하는 세계의 베이비부머들을 기다리고 있다. 지금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은 인류가 경험한 기술혁명에 비해 범용 기술의 수가 월등하게 많다. 과거에는 인쇄술·증기기관 등 수백년에 걸쳐 1~2개의 범용기술이 출현했으나 이번에는 생명공학, 인공지능, 3D 프린팅, 가상현실, 블록체인 등 10여개가 넘는 범용기술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 융합하면서 세상을 바꾸고 있다.

은퇴와 투자

은퇴와 투자

기술혁명은 베이비부머의 삶·건강·수명을 송두리째 바꿔놓을 것이다. 세포와 분자 단위의 생명 연장 기술이 크게 진보하면서 115세까지 수명연장을 추구하고 있다. 확률 1억분의 1에 도전하는 셈이지만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 가상현실은 고령자들에게 또 다른 삶을 제공할 것이다.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할 수 있는 가상세계인 메타버스(metaverse)는 나이 든 베이비부머들의 다양한 삶의 공간이 될 수 있다. 지금도 고령자들의 과거 영상 자료를 통해 만들어진 가상현실을 통해 고령자들을 추억의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게임도 중독·도박·사행성이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앞으로 삶의 공간이라는 이미지가 덧붙여질 것이다. 영국 게임 개발업체 글리처스(Glithers)는 런던대학과 영국 알츠하이머 연구소와 함께 치매 검사용 가상현실 게임을 개발했다. 또한 산업 영역에 있던 로봇이 요양 간호, 말벗, 치매 치료, 펫 등 다양한 형태로 생활공간으로 들어오고 있다.

베이비부머 역시 머릿수와 돈을 기반으로 기술혁명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고령사회와 기술혁명의 접점에 있는 바이오테크, 디지털 헬스케어, 뷰티, 가상현실과 게임, 로보틱스 등이 크게 확장할 것으로 본다. 소위 인구 구조(demography)와 기술(technology)이 교차되는 데모테크(Demo-Tech)에 부합하는 기술들이다. 세계 고령화의 지속성과 4차 산업혁명의 파급효과를 감안할 때 데모테크는 앞으로도 30년 이상 지속될 초특급 메가트렌드다.

1960년대 히피문화를 만들고 1990년대 미국의 주식문화를 선도했던 베이비부머들은 기술혁명을 맞이하여 새로운 노년문화를 만들고 있다. 고령사회를 요양과 복지로만 보지 말고 하이테크와 결합된 고령사회를 꿈꾸어야 한다. 베이비부머가 올드부머(old boomer)가 되면서 만들어 갈 데모테크 테마에 앞으로의 투자와 비즈니스 기회가 있다.

김경록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