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팩플] 네이버의 ‘오프라인 상륙작전’…이마트 타고 페이ㆍ명품 영토 확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마트를 타고 상륙한 ‘쓱 랜더스’는 네이버였다. 16일 네이버와 신세계그룹은 2500억원 규모 주식을 주고받고 온·오프라인 커머스 협약을 진행했다. 온라인 강자 네이버의 ‘오프라인 상륙작전’이다. 마치 아마존이 자사의 첨단 기술을 적용한 상점 ‘아마존 고’와 ‘아마존 프레시’를 내듯, 온라인 강점을 오프라인으로 이식하는 작업이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왼쪽)과 이해진 네이버 창업주. [일간스포츠], 연합뉴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왼쪽)과 이해진 네이버 창업주. [일간스포츠], 연합뉴스

① ‘코로나 이후’를 대비하라

백화점·이마트·스타필드 같은 신세계그룹의 대형매장에 네이버의 IT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증강현실(AR)을 결합한 내비게이션으로 매장 내 길안내를 받으며 인공지능(AI)의 상품 추천도 받는 식이다. 로봇의 시중을 받는 로봇 컨시어지, 스마트 주차 정산 등도 가능하다. 그간 네이버의 기술 자회사 네이버랩스가 개발한 자율주행·로봇 기술을 실생활에 적용할 기회다.

서울 여의도 ‘더 현대’에 몰린 인파에서 보듯,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 백화점과 쇼핑몰 같은 오프라인 매장에 발길이 급증할 전망이다. 네이버는 대표적 비대면 기업이지만, 신세계와 협력으로 코로나19 이후 시대에 펼쳐질 소비 진작도 놓치지 않겠단 전략이다.

② 카카오와 ‘명품관’ 대결

네이버는 이번 주식 교환에서 이마트 주식 1500억원 어치(지분율 2.96%)와 신세계인터내셔날 주식 1000억원 어치(지분율 6.85%)를 받는다. 패션·뷰티·명품 사업을 하는 신세계인터내셔날과 함께 이 분야 온라인 쇼핑을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네이버가 갖춘 모바일 홈쇼핑 ‘라이브 커머스’에서 명품도 판매하고, 신제품 출시 행사도 온라인으로 열겠다는 것.

네이버·신세계 연합은 카카오가 구축한 ‘온라인 명품관’과 본격 대결하게 됐다. 그간 네이버 쇼핑이 다양한 공산품 위주였다면,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선물하기’에 샤넬·구찌·티파니 같은 명품 브랜드 공식 매장을 들이며 시장을 키웠다. 카카오가 밝힌 지난해 카카오톡 내 명품 거래액은 2400억원 규모. 명품은 판매 이윤이 높아 네이버 vs 카카오의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③ 멤버십 외연 확장

네이버는 지난해 6월 구독형 회원제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월 4900원~)을 내놓고 쇼핑 결제 혜택과 콘텐트 등을 결합했다. 이용자가 네이버 안에 더 오래 머물며 더 많이 소비하는락인(lock in) 효과를 위해서다.
이번 협력으로 양사는 네이버 멤버십과 신세계포인트를 통합하는 논의도 시작했다. 네이버 회원에게 무료 배송을 해주는 프로모션 등도 구상한다. 현재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은 웹툰·웹소설·동영상 같은 디지털 콘텐트 위주다. 신세계포인트나 배송과의 결합은 보다 구매력이 높은 5060 세대에도 소구할 수 있다.

④ 간편결제 사용처 확대

양사는 네이버의 간편결제 '네이버페이'를 전국 이마트 매장에서 사용·적립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네이버페이는 네이버 쇼핑 생태계를 금융과 연계하는 핵심이다. 네이버페이 결제 데이터를 통해 네이버는 소상공인 대상의 맞춤형 대출을 이미 내놨고, 데이터가 쌓일수록 이 대출 상품은 더 정교해진다. 또 경쟁 오픈마켓보다 판매수수료를 낮게 유지하면서도 결제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보완할 수 있다.

네이버페이는 지난해 11월 오프라인 결제를 시작했지만, 삼성페이·카카오페이·NHN페이코 같은 오프라인 선발사를 따라잡아야 하는 후발주자다. 전국 140여 개 이마트 매장에서 네이버페이가 쓰인다면 천군만마를 얻는 셈.

지난해 10월 문을 연 스타필드 안성. 사진 뉴스1

지난해 10월 문을 연 스타필드 안성. 사진 뉴스1

네·카와 주식교환, 이제까진 '남는 장사'

네이버·카카오 같은 대형 IT 기업과의 주식 교환은 상대방에게도 괜찮은 거래였다. 사업 시너지와 별개로, 재무적으로 이제까지는 '남는 장사'였다. IT 플랫폼 기업의 가치가 빠르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네이버와 CJ가 총 6000억원 어치의 주식을 교환하며 협력을 약속했다. 6개월이 지난 지금, 네이버가 가진 CJ대한통운·CJENM·스튜디오드래곤 지분의 가치는 총 6550억원이 됐다. 그런데 CJ가 가진 네이버 지분(1.28%)의 가치는 8070억원으로 35%나 늘어났다. CJ보다 네이버 주가가 더 많이 올라서다.

앞서 2019년 10월 카카오와 SK텔레콤의 주식 교환도 마찬가지다. 3000억원 어치 주식을 주고받았는데, 1년 반이 지난 지금 SKT가 소유한 카카오 지분(2.53%) 가치는 1조430억원으로 3배 넘게 뛰었다. 반면 카카오가 가진 SKT 지분(1.57%)의 현재 가치는 3350억원이다.

심서현 기자 shshim@joongang.co.kr

요즘 뜨는 기업 궁금하세요?

요즘 핫한 테크기업 소식을 입체적으로 뜯어보고 싶다면, 그것도 편하게 이메일로 받아보고 싶다면, 구독하세요! ‘기사 +α’가 찾아갑니다.
구독신청 → https://url.kr/factpl

QR코드를 찍으면 팩플 구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찍으면 팩플 구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