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RM도 홀딱 반한 달항아리...조선 백자실에 ‘달멍’ 하러 갑니다

중앙일보

입력

국립중앙박물관이 새로 단장해 선보인 달항아리 감상 공간. 뒤쪽 벽에는 한겨울 벗을 찾아가는 마음을 담은 영상 속에 이를 지켜보는 달이 둥그러니 떠있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이 새로 단장해 선보인 달항아리 감상 공간. 뒤쪽 벽에는 한겨울 벗을 찾아가는 마음을 담은 영상 속에 이를 지켜보는 달이 둥그러니 떠있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나도 이런 독방 하나 있었으면 싶은 아담한 공간에 희고 둥근 항아리가 놓여 있다. 뒤쪽 벽면엔 누군가의 일기 같은 영상이 고요히 흐른다. 눈 내리는 겨울 심산유곡의 친구를 찾아가는 길, 보름달이 응원하듯 내려다보는 풍경이다. 그야말로 ‘달멍’(달을 멍하게 바라봄)하게 되는 시간이다.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 백자실 새단장 #17~18세기 꽃피운 달항아리 전용공간도 #"무심한 아름다움"… 해외 컬렉터들 열광

최근 새단장한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3층 분청자기 백자실에서 만날 수 있는 달항아리 공간이다. 유독 너른 공간(면적 13.5㎡)을 전세 낸 주인공은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 높이 41㎝, 입지름 20㎝, 바닥지름 16㎝, 몸통지름 40㎝의 넉넉한 크기다. 벽면에 흐르는 영상은 중앙박물관 소장 19세기 그림 4점을 조합하고 재구성했다. 김수철(?~1862 이후)의 ‘매화서옥도’, 전기(1825~1854)의 ‘매화초옥도’, 이인문(1745~1824 이후)의 ‘눈 속에서 벗을 찾아가다’, 조희룡(1789~1866)의 ‘붉은 매화와 흰 매화’ 등이다. 모두 달밤의 정취가 잘 어우러지는 그림들이다.

조선 도자기 500여 년의 역사적 흐름을 한데 보여주는 분청자기 백자실엔 ‘분청사기 구름 용무늬 항아리’(국보 제259호) 등 국보 6점과 보물 5점을 포함한 400여 점이 전시된다. 그 중에서 ‘백자 달항아리’만 단독 공간에 전용 의자까지 배치했다. 이수경 학예연구관은 “담백한 방에서 순백색 달항아리를 마주하며 무언의 대화를 나눌 수 있게 연출했다”면서 “코로나19로 인해 번잡하고 지친 마음을 힐링하게 된다는 관객들이 많다”고 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 높이 41.0cm, 입지름 20.0cm, 바닥지름 16.0cm, 몸통지름 40.0cm로 17세기 후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 높이 41.0cm, 입지름 20.0cm, 바닥지름 16.0cm, 몸통지름 40.0cm로 17세기 후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분청사기실과 백자실을 통합해 새롭게 조성한 '분청사기·백자실에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 가 별도로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분청사기실과 백자실을 통합해 새롭게 조성한 '분청사기·백자실에 보물 제1437호 '백자 달항아리' 가 별도로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달항아리를 특별 대우한 건 조선 백자 가운데서도 특히 인기가 많아서이기도 하다. 그 격조 높은 아름다움을 칭송한 문인, 예술가는 많았지만 최근 들어선 대중적 인지도가 크게 올랐다. 지난달 롯데홈쇼핑에선 강익중 작가의 대표작인 ‘달항아리’ 아트에디션(일종의 판화 프린트) 604점이 날개 돋친 듯 팔렸다. 쇼호스트로 출연해 2억4000만원의 매출을 올린 배우 겸 작가 이광기씨는 “코로나19로 홈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커진데다 달항아리가 복을 불러온다는 속설이 있어 더욱 호응이 컸던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2019년 11월 방탄소년단의 리더 RM(김남준)이 권대섭 작가의 달항아리 1점을 구매하고 ‘인증샷’을 SNS에 올린 게 젊은 세대의 관심을 불지폈다. 지난 7일 폐막한 서울 화랑미술제도 이 같은 열기를 반영하듯 여러 갤러리들이 다채로운 재질과 기법의 달항아리 조소·회화를 선보였다. 세계적인 부호 빌 게이츠가 최영욱 작가의 달항아리 회화를 구매·소장 중인 것을 비롯해 해외 컬렉터들의 관심도 높다. 지난해 4월엔 호주 빅토리아국립미술관이 18세기 후반 달항아리 1점을 전시 목적으로 구매해 문화재청이 영구 반출 허가를 내기도 했다.

2019년 11월 방탄소년단 리더 RM(김남준)이 공식 SNS에 올린 사진. 〈달항아리 #kwondeesup〉이라고 덧붙였다. 도예가 권대섭 작가에 따르면 RM은 그해 10월 박여숙화랑에서 열린 권대섭 개인전에 찾아와 전시를 감상하고 달항아리 1점을 구매했다고 한다. [사진 BTS 인스타그램 캡처]

2019년 11월 방탄소년단 리더 RM(김남준)이 공식 SNS에 올린 사진. 〈달항아리 #kwondeesup〉이라고 덧붙였다. 도예가 권대섭 작가에 따르면 RM은 그해 10월 박여숙화랑에서 열린 권대섭 개인전에 찾아와 전시를 감상하고 달항아리 1점을 구매했다고 한다. [사진 BTS 인스타그램 캡처]

달항아리는 원래 백자대호(白磁大壺)라고 불렸다. 일제강점기에는 둥근 항아리라 하여 원호(圓壺)라고도 일컬어졌다. 낭만적인 현재의 이름이 붙은 것은 한국미학의 선구자로 꼽히는 미술사학자 고유섭(1905-1944)과 화가 김환기(1913-1974)의 공으로 돌리는 이들이 많다. 남다른 백자 애호가였던 김환기는 “글을 쓰다가 막히면 옆에 놓아둔 크고 잘생긴 백자 항아리 궁둥이를 만지면 글이 저절로 풀린다”(수필집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고 했다. 희고 둥근 항아리 그림을 수도 없이 그렸고 술이 한잔 들어가면 품에 꽉 차는 백자 항아리를 껴안고 “달이 뜬다, 달이 떠”라고 흥얼거리며 춤을 추었다는 일화도 전한다. 그와 교우하던 혜곡 최순우(1916~1984)는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의 ‘백자 달항아리’ 편에서 “폭넓은 흰빛의 세계와 형언하기 힘든 부정형의 원이 그려주는 무심한 아름다움을 모르고서는 한국미의 본바탕을 체득했다고 말할 수 없다”고 썼다.

오랫동안 공식명칭이 백자대호였던 달항아리가 본격적으로 새 이름을 각인시킨 계기는 2005년 국립고궁박물관 개관 특별전이다. ‘백자 달항아리’라는 간명한 제목의 전시회는 총 9점의 달항아리만 파격적으로 내놨다. 그러면서 도록에 “세계 도자사상 이처럼 거대한 둥근 항아리가 제작된 예는 조선 백자 달항아리 이외에 찾아보기 힘들다”고 그 멋과 독창적인 미를 예찬했다. 이어 2011년 문화재청은 국보·보물로 지정된 백자대호 7점의 공식 명칭을 ‘백자 달항아리’로 바꿨다. 황정연 학예연구사는 “2010~2011년에 걸쳐 국민들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한자식으로 된 문화재 지정명칭을 우리말로 개선하는 작업을 했는데, 이때 다수 문화재위원들의 공감을 얻은 이름이었다”고 설명했다. 기준은 약 40cm 이상의 백자대호 도자기 중에 구연부(윗부분)와 바닥이 좁고 상대적으로 어깨와 배가 많이 불룩해 둥근 달 모양과 같은 것이었다고 한다.

관련기사

달항아리 제작 과정

달항아리 제작 과정

크기가 있다 보니 전통 방식의 달항아리는 한번에 통째 제작하지 못한다. 위·아래 반구형을 각각 빚어 반건조 상태에서 붙이고 다시 깎아 형태를 완성한다. 그러다보니 완전한 구형체가 아니라 좌우 비대칭이 생긴다. 애호가들은 이처럼 어딘가 이지러진 달항아리의 불완전성을 고유의 아름다움으로 본다. 한쪽으로 약간 기운 달이 더 운치 있고 멋스럽듯 말이다. 최순우는 “인간이 지닌 가식 없는 어진 마음의 본바탕을 보는 듯한 느낌”이라고 쓰기도 했다.

이 같은 백자 달항아리는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에 꽃을 피웠다. 임진왜란·병자호란을 거치고 사회가 안정기에 접어든 숙종~영·정조 대의 자신감과 여유가 느껴진다. 이수경 학예연구관은 “조선 자기는 애초 고려청자와 달리 실용성과 견실성을 중시해 기벽도 든든하고 굽도 안정되고 고려청자의 장식적 기교가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면서 “무늬 없는 백자 항아리는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많이 만들어졌는데 달항아리 형태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까지 약 100여 년간 집중 제작됐다”고 설명했다. 이 시기 백자는 창백한 흰색보단 유백색, 설백색을 띠며 둥근 몸태가 원숙한 느낌을 준다. 19세기에 이르면 목이 더욱 높이 세워지고 몸체가 길어져 고구마형에 가깝고 유색은 청백색을 띠게 된다.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3층 분청사기 백자실 초입에 사기장의 공방을 재현해 관객들이 자기 제작 기법을 엿보게끔 했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3층 분청사기 백자실 초입에 사기장의 공방을 재현해 관객들이 자기 제작 기법을 엿보게끔 했다.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이 최근 개편해 선보인 상설전시관 3층 분청사기 백자실의 모습.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이 최근 개편해 선보인 상설전시관 3층 분청사기 백자실의 모습.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 백자실 개편에선 이 같은 조선 자기의 흐름을 시간순으로 이해할 수 있게끔 동선을 짰다. 입구 쪽엔 전통 사기장의 공방을 재현해 전통 제작 기물들을 배치하고 제작 과정을 영상으로 보여준다. 이어 분청사기와 백자가 시작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소장 유물을 통해 엿볼 수 있게 했다. 분청사기는 회청색 흙으로 만든 그릇에 백토를 입힌 뒤 여러 기법으로 장식한 도자기로 고려 말 상감청자에서 유래하여 16세기 전반까지 제작됐다. 반면 백자는 1300도가 넘는 고온에서 구워낸 최고급 도자다. 15세기~16세기 중엽까지 분청사기와 백자가 함께 사용됐다가 1467년(세조 13) 무렵 국영 도자기 제작소인 관요(官窯) 체제가 확립되면서 백자가 대세로 자리 잡았다. 달항아리는 이렇게 만들어진 다채로운 백자 가운데 한 부류에 해당한다. 조선 후기엔 수입 안료에 바탕한 청화백자가 유행했는데, 중국·일본과 달리 꽃·나무·물고기·새 등 단순한 문양 속에 선비화의 전통을 이어간 경향도 흥미롭게 만날 수 있다.

이애령 미술부장은 “기형과 기법 변화 속에 조선인의 삶이 반영되는 과정을 담고자 했다”면서 “조선 자기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동안 편안한 휴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분청사기 백자실을 나와 복도 건너편 세계문화관의 세계도자실도 엮어서 보면 좋다. 네덜란드에서 빌려온 희귀도자기 등 총 243점을 진열해 도자기 무역을 통한 동서교류의 역사를 돌아보게 했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