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집단면역 연내 11개국…1호는 이스라엘, 내달 완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오는 11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공식 선언한 지 1년을 맞는 가운데 세계는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이라는 '출구'를 향해 나가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1년<상> #블룸버그, 하루 접종 횟수와 인구로 추산 #미·영 9·10월에 인구 75% 2회 접종 완료 #국가별 수개월서 최장 10년 격차 추산 #물량 늘고, 접종 본격화하면 일정 당겨져 #백신 여권 도입·추진 17개국 달해, EU도

블룸버그 통신의 '백신 트래커'에 따르면 현재 접종에 들어간 111개국 중 10여개 국은 연내 집단면역 목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별 하루 평균 접종 횟수, 인구수 등을 근거로 추산한 결과다. 하지만 집단면역 도달 시점이 국가별로 차이가 나는 '면역 격차'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가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도달 예상 소요 기간.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국가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도달 예상 소요 기간.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에 따르면 7일 기준 이스라엘은 다음 달, 미국과 영국은 각각 오는 9월과 10월에 인구의 75%가 백신 2회 접종을 마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포함해 연내 접종률 75%의 집단면역에 도달하는 국가는 11개국으로 집계됐다. 칠레, 헝가리, 세르비아, 아랍에미리트, 몰타 등이다. 대부분 백신 접종 시작이 빨랐고, 인구수 대비 하루 접종 횟수가 많은 나라들이다.

반면 여전히 출구를 가늠하기 어려운 나라들도 많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호주·뉴질랜드·일본·남아프리카공화국 등 10여 개국은 현재 접종 속도가 이어진다면 집단면역에 도달하는 데 10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추산됐다. 접종을 늦게 시작한 데다, 상대적으로 속도도 나지 않는 국가들이 대부분이다.

다만 백신 공급 물량이 늘어나고, 접종이 본격화하면 집단면역 도달 시점은 이보다 앞당겨진다. 실제로 블룸버그는 지난달 초 전 세계가 집단면역 수준을 이루는 데 7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으나, 최근엔 4년으로 예측해 한 달 만에 3년이 당겨졌다.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그럼에도 선도국과 후발국간 상당 기간 격차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글로벌 경제분석 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경우 미국과 유럽 대부분 국가는 연내, 한국·일본·러시아 등은 내년 중반에야 접종을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팬데믹이란 터널의 '입구'로 들어서는 시점은 비슷했지만, 탈출 시점은 나라마다 차이가 나게 되는 것이다.

연내 집단면역이 예상되는 나라들은 이미 일상 회복의 시동을 걸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지난달 “3월 말까지 모든 성인의 백신 접종을 마치고, 4월까지 봉쇄를 완전히 푸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20일 접종에 돌입한 이스라엘은 인구의 42.3%가 2회 접종까지 완료했다.

미국에선 6일 기준 코로나19 백신 2회 접종을 완료한 사람이 2977만6160명(인구의 9%)으로 집계됐다. 최근 들어 하루 평균 200만회 분 이상의 접종이 이뤄진 결과다. 최근 미 식품의약국(FDA)이 얀센 백신도 긴급 사용 승인하면서 접종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지난 2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 모든 성인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시점을 당초 오는 7월에서 5월로 두 달 앞당기기도 했다. 접종이 속도를 내고, 하루 확진자 수가 대폭 감소하자 미국의 주 정부들은 일부 상업시설의 문을 여는 등 속속 방역 규제 완화에 나서고 있다.

영국 역시 최근 하루 평균 34만 회분 이상 접종 등 속도가 붙고, 확진자가 급감하면서 오늘 6월 완전한 봉쇄 해제를 계획하고 있다.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접종 속도가 빠른 나라들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자에게 여행과 일상생활의 자유를 주는 ‘백신 여권’의 도입과 추진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스라엘은 그리스, 키프로스 등과 백신 여권 소지자에게 자가격리 등을 면제하는 협정을 맺었다. 현재 백신 여권을 도입했거나 추진 중인 국가는 17개국에 이른다. 미국과 영국도 도입을 논의 중이다. 27개 회원국이 있는 유럽연합(EU)도 백신 여권 도입을 추진하고 있어 이런 나라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블룸버그는 한국의 경우 최근 하루 평균 백신이 3만9699회분 접종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 속도라면 인구의 75%가 2회 접종 완료하는 데 5년 3개월이 소요된다고 추산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6일 기준 29만6380명이 1차 접종을 마쳤다. 인구 대비 접종률이 약 0.6%다. 한국의 경우 접종 속도에 가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큰 만큼 집단면역 시점이 이보다 앞당겨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정부가 집단면역 목표 시점을 올 11월로 밝힌 데 대해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각국의 백신 확보 경쟁이 치열하고, 물량이 제때 들어올지도 불확실해 정부가 밝힌 11월 집단면역 형성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면역 격차'는 후발국에 '면역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집단면역을 빨리 얻은 나라들을 중심으로 교류와 무역이 재개돼, 경기 회복 속도에서도 격차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7일 보고서를 통해 선진국은 대체로 올해 말쯤 집단면역을 이루는 반면, 신흥국은 나라별로 편차가 큰 가운데 대체로 내년 중반 이후에 집단면역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선진국은 올해 2분기를 지나며 경기 회복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이지만 신흥국은 연말 이후에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국가별 면역 격차가 계속 벌어질 경우 팬데믹 탈출은 물론 세계 경제 회복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 전세계 상품·서비스 공급망이 촘촘히 연결된 상황에서 선진국 역시 '부메랑'을 맞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난 1월 전미경제연구소(NBER)는 고소득 국가가 집단 면역을 달성하더라도 개발도상국 등이 백신 접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지 못할 경우 올 세계 국내총생산(GDP) 손실이 약 9조 2000억달러(약 1386조 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임선영·정영교·석경민 기자 youngc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