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현대가 4년 공들인 전기차 '아이오닉5'…최대 장점은 이것 [영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장재훈 사장(오른쪽)을 비롯한 현대자동차 경영진이 신차 아이오닉5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현대차]

장재훈 사장(오른쪽)을 비롯한 현대자동차 경영진이 신차 아이오닉5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현대차]

현대자동차가 수년간 공들여 개발한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를 시장에 내놨다.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은 정의선(51) 현대차그룹 회장이 구상하는 ‘미래형 모빌리티’ 사회의 핵심이다. 4년 넘는 개발 기간을 거친 아이오닉5는 출발점에 있는 모델이다.

4년 넘게 개발한 첫 전용 전기차

현대차는 23일 소셜미디어(유튜브)를 통해 신차 아이오닉5를 전 세계 동시 공개했다. 외관만 놓고 보면 1975년 출시된 현대의 첫 고유 모델 ‘포니’의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계승했다. 롱레인지(항속형) 모델의 경우, 1회 충전만으로 최대 430㎞(국내 기준)를 운전할 수 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경부고속도로(전체 길이 416㎞)를 완주하고도 남는다. 400V와 800V가 모두 가능한 멀티 충전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갖췄다.

아이오닉5의 최대 장점은 실내 공간이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을 탑재했기 때문에 내연기관 차량과 비교해 바닥이 평평하다. 특히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센터 콘솔은 앞뒤로 자유자재 움직일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했다. 센터 콘솔을 뒤로 밀면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조수석 문을 통해 바깥으로 나갈 수도 있다. 주차 공간이 빽빽할 때 유용할 대목이다. 차량 길이(4640㎜)만 놓고 보면 준중형 SUV 투싼(4630㎜)과 비슷하지만, 축간거리(휠베이스)는 3m로 현대차의 대형 SUV 팰리세이드(2900㎜)보다 오히려 더 길다.

아이오닉5의 차량 내부는 마치 집처럼 활용할 수 있다. 뒷좌석 쪽에 있는 전기 콘센트에 전원을 꽂아 노트북도 칠 수 있고, 충전도 가능하다. 전기차가 단순히 전력을 소모하는 용도에서 벗어나 전력저장장치(ESS) 수준으로 발전한 대목이다. 아이오닉5의 디자인 총책임자인 이상엽 현대차 전무는 “자동차가 아니라 집에서 편하게 소파에 앉아있는 느낌을 주기 위해 노력했다. 앞으로 충전과 전력 공급이 양방향으로 이뤄지면 전기차로 더 많은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기차, ‘제2의 집’으로 진화…노트북 충전도 가능

내연기관 차량을 만들 때도 현대차는 경쟁 메이커와 비교해 “내부를 넓게 뽑는다”는 평가를 받았다. 포니의 디자인 유산을 계승했듯, 아이오닉5의 실내 공간은 현대차의 기존 장점을 전기차에도 그대로 반영한 부분이다. 현대차는 2025년까지 전기차 12개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올해는 아이오닉5뿐 아니라 제네시스의 첫 전기차를 하반기에 출시한다. 지난해 전체 판매량 대비 3% 수준인 전기차 비중을 2030년에는 19%, 2040년 78%로 높이는 게 회사의 목표다.

아이오닉5는 마치 사람의 거주 공간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실내 공간을 넓혔다. [사진 현대차]

아이오닉5는 마치 사람의 거주 공간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실내 공간을 넓혔다. [사진 현대차]

현대차의 친환경차 목표.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현대차의 친환경차 목표.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아이오닉5는 현대차의 울산 공장에서 양산해 다음 달 유럽을 시작으로 전 세계 시장에 판매한다. 국내에선 이틀 뒤인 25일부터 사전 계약(롱레인지 모델)을 받는다. 가격은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상한선(6000만원) 아래인 5000만원 초중반대다. 서울 거주 고객 기준으로 전기차 보조금(1200만원)과 개별소비세 혜택(최대 300만원)을 반영하면 3000만원대에 살 수 있다.

코나 전기차, 조만간 배터리 교체 시작

이날 현대차는 코나 전기차 화재 사태와 관련해서도 답변을 했다. 장재훈 사장은 “하루라도 빨리 고객 안전을 위한 근본적 해결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조만간 정부 공식 채널을 통해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코나 전기차의 배터리를 전부 교체하는 방안을 담은 제작결함 시정(리콜) 안을 조만간 국토교통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김영민 기자 brad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