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헤엄귀순' 전말…"CCTV 10번 포착·2회 경고음에도 무대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에서 시작되는 DMZ 평화둘레길 입구. 뉴스1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에서 시작되는 DMZ 평화둘레길 입구. 뉴스1

북한 남성이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 인근 해안으로 월남할 당시 경계용 폐쇄회로(CC)TV에 10차례 포착됐는데도 군이 8번이나 놓치는 등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합동참모본부는 23일 지난 16일 동해 민간인통제선(민통선) 북방에서 신병이 확보된 북한 남성 A씨의 월남 경위와 군의 대응 조치 등에 대한 검열단의 현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합참에 따르면 A씨가 사건 발생 당일인 16일 고성군 통일전망대 인근 해안에 상륙한 뒤 남하하는 과정에서 군의 CCTV 등에 포착된 건 모두 10차례다. 그러나 당시 근무자의 상황보고 및 대응은 9번째 및 10번째 포착 때에서야 이뤄졌다.

A씨가 해안으로 올라온 뒤 민통선 소초까지 이동해 식별될 때까지 3시간 11분 동안 군은 상황을 파악하지 못했고 소초에서 포착된 지 31분 만에 주요 부서와 직위자들에게 상황을 전파한 것으로 드러났다.

합참은 A씨가 북한에서부터 잠수복·오리발을 착용하고 동해상으로 헤엄쳐 내려와 16일 오전 1시 5분쯤 남측 통일전망대 인근 해안에 상륙한 것을 보고 있다. 합참은 “이 남성의 해상 이동은 북한 모처에서 잠수복을 입고 해상으로 헤엄쳐 이동한 것으로 추정한다”며 “현재 관계기관에서 합동정보조사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후 A씨는 잠수복 등을 벗고 오전 1시 40~50분쯤 해안철책 하단 배수로를 통과해 철로 및 7번 국도를 따라 남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A씨는 이 과정에서 오전 1시 5~38분쯤 우리 군의 해안감시 카메라 4대에 총 5차례 포착됐고, 이와 관련해 경계감시시스템상에도 2차례 ‘이벤트’(경보음 및 팝업)이 발생한 것으로 기록됐지만 그에 대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A씨는 또 7번 국도를 따라 내려오던 중 오전 4시 12~14분쯤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내 우리 해군 합동작전지원소 울타리 경계용 CCTV에도 3차례 포착됐던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합참은 “경계감시시스템상의 ‘이벤트’가 없었고, 이 때문에 위병소 근무자도 미상인원(A씨)를 인지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A씨는 CCTV에 총 10차례 포착됐다. 군은 9, 10번째 포착됐을 때야 식별하고 상황을 전파했다. 민통선 소초에서 오전 4시 16분에 식별하고 31분이 지난 4시 47분에야 고속상황전파체계로 주요 부서와 직위자에게 전파했기 때문에 이마저도 늑장 보고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군은 또 A씨가 오전 1시 40분에서 1시 50분 사이 해안 철책 배수를 통과할 때도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합참은 “미상 인원(북한 남성)이 통과한 것으로 추정되는 배수로를 확인하기 위해 해안 수색 간에 부대 관리 목록에 없는 배수로 3개소를 식별했다”면서 “배수로 차단물의 부식 상태를 고려할 때 미상 인원 통과 전부터 훼손된 상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7월 탈북민이 강화도 해안철책 하단 배수롤 지나 재입북한 사건 이후 일선 부대에 수문 및 배수로 일제 점검을 지시했지만 이번 사건이 발생한 22사단은 지시를 이행하지 않은 것이다.

합참은 이번 사건에서 “식별된 문제점을 기초로 과학화경계체계 운용 개념을 보완하고, 철책 하단 배수로·수문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조속한 시일 내에 보완하도록 하겠다”며 “합참의장 주관 작전지휘관 회의를 통해 이번 사건 조사결과를 공유하고 전 제대 지휘관을 포함한 경계작전 수행요원의 작전기강을 확립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합참은 “군은 이번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환골탈태의 각오로 근본적인 보완 대책을 강도 높게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동해안 북한 남성 월남 상황. 연합뉴스

동해안 북한 남성 월남 상황. 연합뉴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