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집콕에, 이케아 6년 만에 최대실적···문제는 노사 갈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달 이케아 코리아 노조원들이 경기도 광명시 본점 앞에서 동종 업계 평균 수준의 노동 환경을 제공해달라며 파업 선포 기자 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지난달 이케아 코리아 노조원들이 경기도 광명시 본점 앞에서 동종 업계 평균 수준의 노동 환경을 제공해달라며 파업 선포 기자 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집 꾸미기에 투자하는 수요가 증가했다. 북유럽 스웨덴에 본사를 둔 글로벌 가구업체 이케아(IKEA)는 지난해 국내 진출 6년 만에 최대 실적을 올렸다. 하지만 지난해 출범한 노조와의 갈등이 여전히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아 이케아는 속앓이하고 있다.

이케아 코리아는 지난해 4월 노조와 단체협약 교섭을 시작했지만, 최종 합의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케아 코리아 관계자에 따르면 노사는 노조가 요구한 180여개 항목 중 절반가량인 90여개 항목에 대해서만 협의를 마쳤다.

이와 관련해 국내 이케아 노조는 지난해 12월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나흘간 파업에 나서기도 했다. 노조에 가입한 1500여 명 중 절반인 750여 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영업시간을 단축한 이케아 고양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스1]

지난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영업시간을 단축한 이케아 고양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스1]

주요 쟁점 중 하나는 사내 식당을 무료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케아 직원 식당은 아침·점심·저녁 식사를 제공하고 있다. 중·석식의 경우 직원은 2500원, 외부인은 5000원을 지불한다.

노조는 단협과 별개로 임금 인상도 요구하고 있다. 한국 이케아 직원의 시급은 9200원으로 책정돼 있다. 노조 관계자는 “국내 직원의 시급이 해외 매장 평균 시급(1만7000원)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며 2차 파업과 함께 프레드릭 요한손 이케아 코리아 대표에 대한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회사는 노조의 요구에 난감해 하고 있다. 사내 식당의 경우 외부에 용역을 맡기지 않고 회사가 직원을 고용해 운영하는 만큼 전액 무료는 어렵다는 것이다. 이케아 코리아 관계자는 “양질의 식사를 제공하기 위해 최소한의 자기 부담은 불가피하다”며 “현재는 회사가 식비의 50%를 보조하고 있지만 이를 60~70%로 늘리는 방안을 노조에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임금의 경우 국내 이케아와 해외 법인의 매출 규모가 달라 단순 비교가 불가하다는 주장이다. 대신 입사 첫해 20일의 연차를 제공하고, 출산 시 유급 휴가를 6개월간 쓸 수 있도록 하는 등 국내법 기준을 웃도는 복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이케아 코리아 측은 설명했다.

서울의 이케아 플래닝 스튜디오 천호에서 직원이 고객에게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뉴스1]

서울의 이케아 플래닝 스튜디오 천호에서 직원이 고객에게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뉴스1]

2014년 한국에 진출한 이케아는 광명·고양·기흥·부산 등 4개 지역에서 점포를 운영 중이다. 서울 신도림과 천호에 도심형 매장인 ‘플래닝 스튜디오’를, 성수에 팝업 스토어 ‘이케아 랩’을 각각 열었다. 700여 명이었던 직원 수는 현재 2500여 명으로 늘었다.

이에 힘입어 이케아 코리아의 2020년 회계연도(2019년 9월~2020년 8월) 매출은 전년 대비 33% 증가한 663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부산점과 도심형 매장을 추가로 출점한 효과도 있지만 코로나19 확산과 맞물려 온라인 매출이 상승해 전체 실적을 끌어올렸다.

또 정부가 백화점·대형마트 등을 재난지원금 사용 제한 업종으로 지정한 데 반해 외국계 기업인 이케아는 여기에서 제외돼 국내 다른 업종과 비교해 코로나19 특수를 봤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하지만 노사 간 갈등이 장기화한다면 이케아의 기업 이미지에도 적잖은 손상이 예상된다. 이케아 코리아 관계자는 “지난해 노조가 처음 출범했기 때문에 협상의 기간도 길어지는 것이라고 본다”며 “함께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신중하게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경미 기자 gae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