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감염병 투자는 눈앞 성과보다 미래 재앙 대비 목적"

중앙일보

입력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21일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진행하는 나라는 50여개국이다. 여기에는 개도국은 거의 없다. 개도국에게 백신은 그림의 떡이다. 코벡스 퍼실시티가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만 백신이 선진국에 빨려들어가고 있어 쉽지 않은 듯하다. 코로나19를 종식하려면 빈국에도 백신이 공평하게 분배돼야 하는데, 갈길이 아주 멀다.
 코로나19만 그런 게 아니다. '소외 감염병'이 한둘이 아니다. 국내외 기업의 백신 개발과 대응 기술 개발 연구를 지원하는 데가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이다. 이 펀드의 손명세 이사장(연세대 의대 명예교수)을 만나 국산 코로나19 백신 개발, 미래 팬데믹 대응 기술 개발 등을 알아봤다.

손명세 라이트펀드 이사장.

손명세 라이트펀드 이사장.

라이트펀드는 보건복지부, 한국 9개 기업(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GC녹십자, 종근당, 제넥신, KT, 에스디바이오센서, 유바이오로직스, 바이오니아),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이 공동 출자한 기금을 활용해 신종 감염병 및 개발도상국 풍토성 감염병 백신, 치료제, 진단, 디지털 헬스 기술 연구개발(R&D)을 지원한다.

손명세 라이트펀드 이사장 인터뷰

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해 다양한 소외감염병 대응 기술 연구를 지원한다는데.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백신, 치료제, 진단 기술은 수익성이 낮고 수요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기업에만 맡겨 두면 연구 개발을 진행하기 어렵다. 또한 소외감염병은 선진국보다 저개발국에 만연해 있고, 선진국과 달리 저개발국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자리잡았다. 이때문에 소외감염병 대응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정부와 민간이 함께 책임을 나누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이 됐다.

왜 민간과 같이 하나.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원이 보건의료 분야에서 백신, 치료제 등 새로운 생명과학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다. 자본과 기술, 경영 노하우 등을 갖춘 민간 역량을 활용하면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라이트펀드 지원이 개도국 지원으로 연결되나.
라이트펀드는 의료자원이 부족한 개도국의 수요를 반영한 백신, 치료제, 진단 기술 등을 공모해서 지원한다. 지원받으려면 ‘글로벌 엑세스(Global Access) 정책’에 동의해야 한다. 향후 개도국 대상의 공헌기부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가능한 한 충분한 수량과 접근 가능한 가격으로 공급해야 한다.
최근 게이츠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이 대표적 예이다. 다른 백신과 달리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예정이다. 개도국 공급가는 더 낮게 책정되었고 공급 비율도 공평하게 유지한다.

지난해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공동이사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라이트펀드 기금을 2배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했는데.
게이츠 이사장은 한국의 저가 고품질 백신 제조기술과 우수한 진단 기술을 높게 평가하고, 특히 ICT 강국으로서 개도국 부족자원을 대체할 디지털 헬스 기술 분야에서 한국 기업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한다. 보건복지부도 라이트펀드 기금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올해부터 출연금 확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산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비롯해 미래 팬더믹 대응 기술 개발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나.
코로나 이전에는 제약회사가 감염병 연구를 그만두면 오히려 주식이 올랐다. 지금은 백신 개발에 모든 산업의 증시가 움직인다. 감염병 연구는 당장 눈앞의 결과나 수익보다는 향후 재앙에 대비한 투자로 인식해 지원해야 한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지속할 수 있다. 그래서 정부와 민간이 함께 나서야 한다.

신성식 기자 sssh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