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말 바루기] 헷갈리는 ‘되레’와 ‘외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분명 화낼 사람은 따로 있는데 오히려 잘못한 당사자가 펄쩍 뛰는 경우가 있다. 이런 일이 닥친다면 “잘못은 네가 해 놓고 되레 나한테 화를 내면 어떡해!” “잘못한 놈이 외려 큰소리야!” 등과 같이 말하게 된다.

이처럼 예상·기대와는 다르게 되는 경우 ‘되레’나 ‘외려’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다. “도와주려고 한 일이 되려 폐만 끼쳤다” “자기가 잘못하고선 외레 큰소리친다” 등처럼 ‘되레’ 대신 ‘되려’, ‘외려’ 대신 ‘외레’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각각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

우선 ‘되레’는 ‘도리어’의 준말이다. ‘도리어’가 줄어들면 ‘되려’가 되는 게 아닐까 생각하기 쉽지만 ‘되레’가 맞는 말이다. 사람들 사이에서 ‘되려’보다 ‘되레’가 많이 쓰인다는 판단 아래 ‘되레’가 표준어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외려’도 ‘외레’가 맞는 말일까? 이 경우에는 반대다. ‘오히려’의 준말로 ‘외레’가 쓰이기도 하지만 ‘외려’를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비슷한 경우이지만 모양이 다른 ‘되레’와 ‘외려’가 각각 표준어다.

하지만 일반인으로선 같은 구조의 ‘되레’와 ‘외레’, ‘되려’와 ‘외려’로 짝을 지어 생각하기 때문에 헷갈릴 수밖에 없다. 즉 ‘되레’가 바른 표현이기 때문에 ‘외려’ 역시 ‘외레’가 아닌가 생각하기 쉽다. 또 ‘외려’가 바른 표현이란 것을 아는 사람이라면 ‘되려’를 써야 하는 것이 아닌가 여기기 십상이다.  ‘도리어’의 ‘어’와 ‘오히려’의 ‘려’가 준말에 그대로 남아 있다고 기억하면 ‘되레’와 ‘외려’로 바르게 쓰는 데 도움이 된다.

김현정 기자 nomadicwriter@naver.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