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정은경 “교내 코로나 전파 2%뿐” 등교 개학론 재점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정은경

정은경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최근 낸 논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를 폐쇄했지만 얻는 이득은 제한적이고 개인적·사회적인 피해가 크다”고 분석했다. 비대면 수업 기간이 길어지면서 학력 격차가 커지고 아동학대 조기 발견이 어려워지는 등 부작용이 크다는 지적과 같은 맥락이다. 이 논문이 공개되면서 ‘등교 개학’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학교 폐쇄 이득 제한적, 피해 키워” #한림대 의대 연구팀과 논문 발표 #작년 5~7월 확진 소아·청소년 조사

정 청장은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연구팀과 공동으로 지난해 12월 27일 소아감염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코로나19 확진 아동·청소년 가운데 학교를 통해 감염된 사례는 2% 정도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5월 1일~7월 12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소아·청소년(3~18세) 127명의 사례조사서와 역학조사서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학교 안에서 감염된 사례는 3명(약 2%)이었다. 가족과 친척을 통한 감염이 59명(46%)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입시학원, 과외를 통한 감염 18명(14%), 노래방·PC방·교회 등 다중이용시설을 통한 감염 8명(6%) 순이었다. 연구 기간 발생한 총 국내 확진자는 1만3417명으로 이 가운데 0~19세 연령 확진자 비율은 7.2%였고 학교 폐쇄 전후 차이가 없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0일 기자설명회에서 정 청장의 논문에 대해 “우리나라에서 등교를 다시 시작한 후 아동·청소년의 코로나19 감염 규모, 경로 등을 파악해 등교 적절성 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했다”고 설명했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 팀장은 “교육계와 방역 당국의 사전 검사, 조기 격리 등 방역 수칙이 잘 수행돼 가능한 성과였다”고 말했다.

정 청장과 함께 연구를 진행한 최영준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조교수는 “나라마다 상황은 다르지만 학교 안에서 방역 수칙을 잘 지킨다면 코로나19 전파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아일랜드, 호주, 이스라엘, 홍콩, 싱가포르 등에서도 학교 안에서 방역 수칙을 준수한 결과 학교 안 전파 사례는 적었다. 일본의 경우 지난해 6월 1일~7월 31일 코로나19에 걸린 소아·청소년 207명 가운데 학교 안에서 걸린 사례는 7명뿐이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역시 지난해 12월 6일부터 한 주간 초·중·고교에서 대면수업을 한 카운티와 온라인 수업만을 한 카운티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비슷했다는 보고서를 최근 냈다. CDC는 “이런 사실을 고려하면 초·중·고교는 방역 조처를 시행할 때 가장 나중에 문을 닫아야 하고 안전해지면 가장 먼저 문을 열어야 하는 곳이다”고 권고했다.

윤영호 서울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현재 연구만으로는 학교를 코로나 19 전파가 잘 안되는 공간으로 봐야 할지, 학교에서 방역 수칙을 잘 지켰기 때문에 확진자가 적었던 것인지 등을 명확히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오히려 학교에서 방역 수칙을 잘 지킨다면 학생의 증상을 빨리 파악해 조기 진단과 지역 사회 내 감염 확산을 예방하는 효과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우주 고려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과거 신종플루의 경우 학생이 주요 감염원으로 작용했지만 코로나19는 활동이 많은 20~50대가 주요 감염원이다”며 “감염병마다 다른 특성을 고려해 등교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태윤 기자 lee.tae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