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삐뚤빼뚤 ‘칠곡할매 서체’ 방송인 정재환씨가 전국에 알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8면

홍보대사로 위촉된 정재환씨가 칠곡할매 서체가 담긴 족자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 칠곡군]

홍보대사로 위촉된 정재환씨가 칠곡할매 서체가 담긴 족자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 칠곡군]

방송인 출신 정재환(58)씨가 ‘칠곡할매 서체’ 홍보대사로 활동한다. 현재 역사학자이자 대학 교수이기도 한 그는 한글문화연대를 만들어 우리말·글 사랑 운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우리말 사랑 운동 펼치는 교수 #할머니들 손글씨 홍보대사로

경북 칠곡군은 1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접촉 온라인 위촉식을 오는 열고, 정씨를 홍보대사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칠곡군 관계자는 “정씨가 한글사랑 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친다는 것을 알고, 군에서 먼저 연락해서 홍보대사 활동을 제안해 승낙을 받았다”고 말했다.

홍보대사까지 얻게 된 칠곡할매 서체는 지난해 칠곡군이 개발한 글꼴이다. 한글을 막 깨우쳐 삐뚤빼뚤하면서, 어린이 같은 글씨를 쓰는 칠곡 시골 할머니들의 손글씨를 글꼴로 만든 것이다. 유명인이나 역사적인 인물이 아닌 시골에 사는 할머니들의 손글씨가 서체로 만들어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칠곡할매들은 한글 배워 시 쓰는 할매로 유명하다. 시 쓰는 할머니들은 모두 칠곡군 25개 시골 마을에 사는 할머니들. 한글을 깨우친 기념으로 시를 지었고 그 순수한 감성이 들어있는 할머니들의 시를 책으로 묶어 세차례 발간했다. 시 쓰는 칠곡할매들은 다큐멘터리 영화 ‘칠곡 가시나들’로도 알려졌다.

칠곡군은 시집 발간에 참여한 할머니들(400여명) 가운데 5명을 선정해 각각 다른 5개의 칠곡할매 서체를 만들었다. 서체는 시 쓰는 할머니 중에 손글씨에 개성이 있는 김영분(75), 권안자(77), 이원순(84), 이종희(79), 추유을(87) 할머니의 글씨다. 그래서 서체 이름도 할머니들 이름 뒤에 ‘체’를 붙여 쓴다. 추유을체, 김영분체, 권안자체 같은 형태다.

할머니들은 지난해 하반기 수개월간 펜을 몇 번씩 바꾸어 가며 한 명 당 종이 2000여장에 글씨를 써가며 서체 만들기에 정성을 기울였다. 할머니들이 하기엔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유독 할머니들을 힘들게 한 건 영어와 특수문자였다. 이때 지원군으로 나선 건 손주들. 손주들이 옆에서 할머니들의 도우미로 서체 만들기를 도왔다.

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